• Title/Summary/Keyword: 충주호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Flying Technique of Virtual Reality Spatial and Stereo Image restoration for Water Filled Area by Chung-Ju Dam. (충주댐 수몰지구의 3차원 영상복원 및 가상현실공간 비행기법연구)

  • 연상호;연창훈;홍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95-401
    • /
    • 2003
  • 다목적 대형 댐의 건설로 수몰된 과거의 삶의 공간을 20년이 지나서 다시 복원한다는 것은 그곳에 살던 실향민 등에게는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초에 완공된 충주댐으로 인하여 물 속에 잠긴 청풍지구를 수몰이전의 입체 지형 공간적으로 원형복원하기 위한 원격탐사 기법을 적용한 것이다. 비교적 해상도가 좋은 인공위성 사진자료와 댐 수몰이전의 디지털 위성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몰직전에 제작된 지형도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자료의 통합 적용하여 수몰직전의 지형공간정보를 현재시간으로 영상 복원하기 위하여 원격탐사 기법을 적용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형도에서 추출한 등고선과 현재의 등고선과의 접목을 통하여 청풍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당시의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였다. 또한 이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투시조감도를 각 방향에서 생성함으로서 수몰이전의 아름다운 모습을 3차원적으로 영상복원 하였다. 또한 좀더 가까이서 수몰마을을 보기 위한 근접비행시뮬레이션 동영상을 제작하여 과거 기억 속의 고향을 영상에서 찾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PDF

열정! 건설현장 - 쌍용건설, 단양IC-대강 도로건설공사 현장

  • Jeong, Tae-Yeong
    • The Safety technology
    • /
    • no.200
    • /
    • pp.21-23
    • /
    • 2014
  • 충북 단양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산수(山水)의 고장으로 꼽힌다. 남한강과 소백산이 만들어낸 단양팔경은 국내에서도 내로라하는 관광명소다. 그야말로 도시생활에서 지친 몸과 미음을 치유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인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단양을 찾는 이들에게는 조금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단양IC에서 단양역까지 이르는 도로는 남한강(충주호)을 끼고 있어 최고의 절경을 볼 수 있는 드라이브 코스로 유명하지만 왕복 2차선에 불과해 주말, 휴가철에는 병목현상이 빈번했기 때문이다. 또 그만큼 교통안전 여건도 좋지 않았다. 이런 문제점들은 2016년 4월이면 완벽히 해소될 전망이다. 쌍용건설이 이 구간을 4차선으로 확장하는 건설공사를 한창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쌍용건설은 이룰 통해 도로이용자들의 교통안전을 확보하고, 지역 균형발전에 이바지한다는 계획이다. 때문에 이곳 현장에서는 무엇보다 안전을 최우선 가치에 두고 있다. 이곳의 안전관리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찾아가 봤다.

  • PDF

Status and Causes of Cyanobacterial Blooming in the Downstream of Jecheon Stream (제천천 하류 지역에서 녹조 발생 현황 및 원인 분석)

  • Yu-Ho Jeon;Do-Hwan Kim;Kyoung-Hee Oh;Young-Cheol Ch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5 no.2
    • /
    • pp.111-119
    • /
    • 2022
  •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l blooming and the contaminant sources were analyzed in the downstream of Jecheon Stream, a tributary of Chungju Reservoir.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 at the Myungseo Fishing Point (GPS; 37°03'25.5"N, 128°03'13.6"E) were 399.2 and 184.8 mg m-3 on October 18, 2015 and September 25, 2016, respectively, and the concentrations of total microcystins, a cyanobacterial toxin mainly produced by Microcystis, were 124.09 and 79.71 ㎍ L-1, respectively.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l blooming at the downstream of Jecheon Stream was closely related to the water level of Chungju Reservoir. The cyanobacterial blooming occurred after the increase of water level in Chungju Reservoir, when the water body stagn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of the upper region of Jecheon Stream, the main source of pollutant was Jangpyeong Stream, the tributary of Jecheon Stream, and the discharge water from Jecheon Wastewater Treatment Plant located in Jangpyeong Stream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contaminant.

Polygonum plebeium R.Br. (Polygonaceae):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한반도 미기록 식물: 애기마디풀(Polygonum plebeium R.Br.; Polygonaceae))

  • Jung, Su-Young;Lee, You-Mi;Park, Su-Hyun;Yun, Seok-Min;Yang, Jong-Cheo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4
    • /
    • pp.247-250
    • /
    • 2010
  • We report Polygonum plebeium R.Br. (Polygonaceae) as an unrecorded species from the Geumgang River, Buyeo-gun; Galmae-dong, Guri-si; the Chungju Reservoir, Jecheon-si; the Daecheong Reservoir, Okcheon-gun; and the Daecheong Reservoir, Daejeon, in Korea. It is distinguished from P. aviculare by pedicels that articulate in the middle and by its smooth and shiny achenes. The new Korean name, 'Ae-Gi-Ma-Di-Pul', is given considering the small-sized plant. In this study, a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the species and photos of the habitat are provided.

호소의 부영양화 및 관리

  • 공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1994.05a
    • /
    • pp.51-53
    • /
    • 1994
  • 담수는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우리는 매일 일정량의 물을 섭취하고 있으며, 일상에서 직접, 간접적으로 물과 관련되지 않고서는 생활할 수 없다. 지구 표면의 약 70%가 물로서 덮여 있다고는 하지만 인간의 생활에 직접적인 이용가치가 있는 담수(지표수)는 전체 물의 용적의 2%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mm로서 세계 연평균 강수량인 970mm보다 많은 편이나 인구 1인당 연간 강수량은 약 3,000m3으로서 세계 평균인 34,000m3의 11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수자원총량중 지하침투와 증발에 의해 손실되는 양을 제외한 하천유출량은 전체의 55%인 697억m3으로서 이것이 곧 가용수자원량이다. 그러나 하절기 강우집중도가 높은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가용수자뭔량중 수자원총량의 37%가 홍수시 유출되고 실제 이용량은 수자원총량의 18%인 230억m3에 불과하여 인구증가와 함께 수자원의 가치가 더욱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지하수 이용량은 19억m3에 불과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실제 이응수자 원량의 90% 이상을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중 약 40%가 호소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자원 이용효율의 취약성으로 인해 제한된 수자원 용량과 생활 및 농공용수의 과수요에 따른 불균형으로 근래 많은 하천이 갈수기나 평수기시 친천화되어 가고 있어 수중생태계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산업발달과 함께 수질오염원은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증가일로에 있어 기존의 유기 및 중금속 오염물질을 포함해 수많은 신생 유기화합물질이 수계에 유출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질소 및 인으로 대표되는 영양물질의 유입과다로 국내 대다수의 호수가 부영양화의 새로운 위협에 직 면해 있다. 우리나라에는 적은 유입유량에 큰 저수용량 및 긴 체류시간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자연호는 없으며, 대부분이 매단위 강을 막아 형성된 체류시간 1년 이하의 인공호로서 그 중 안동호, 충주호, 대청호 등은 비교적 체류시간이 긴 호소형 인공호로, 팔당호나 기타 대부분의 호수는 체류시간이 짧은 하천형 인공호로 대별된다(Table 1). 이처럼 국내 호소는 국외의 자연 호와는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짐에 따라 부영양화 특성 역시 매우 상이하고, 호소형 인공호와 하천형 인공호간의 차이 역시 현저하여 일률적인 관리대책을 설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 또한 각 호수의 유역특성이 상이함에 따라 호수별로 유역 오염원의 오염부하율이 현저히 달라(Table 2) 호수에 따른 특성적인 유역관리(Lake-specific management)가 요구되고 있다 정상상태(Steady state)가 아닌 국내 호소에 대해 국외 자연호의 인단순모델 (Simple phosphorus budget model)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 다소 무리한 점이 따르나, 평균적인 개념으로 OECD의 유역부하량 및 호소특성에 따른 부영양화 판정모델을 적용한다면, 국내 주요 호수는 모두 부영양 수준에 있다. 또 각 호수별로 부영양화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인의 삭감부하량은 상당량이 되어 현실적으로 관리가 이미 어려운 실정에 와 있다. 호수의 부영양화는 조류 발생으로 이어지며, 그에 따른 폐해는 각종 형태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이취미 발생이나 유해조류에 의한 독성물질의 배출, 정수처리 과정의 THM 발생등이 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호수의 구조적 특성별 부영양화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영향 및 관리방안에 관한 종합적 고찰이 차후 수질관리를 위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납조류로 대표되는 유해조류의 독성영향에 관한 연구는 시급한 실정에 있다.

  • PDF

A New Small Redbean Cultivar 'Geomguseul' with Lodging Resistance and High-Antioxidant Activity (쓰러짐에 강하고 항산화 활성이 높은 팥 '검구슬')

  • Song, SeokBo;Ko, JeeYeon;Seo, MyungChul;Kwak, DoYeon;Woo, KoanSik;Moon, JungKyung;Han, SangIk;Han, WonYoung;Choe, MyeongEn;Park, ChangHwan
    •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 /
    • v.49 no.4
    • /
    • pp.390-395
    • /
    • 2017
  • A new small red bean cultivar, 'Geomguseul', was artificially crossed between 'Chilbo' and 'SA8412-3-1-4-3-3-2-3' in 1998, fixed excellent agronomic characters by pedigree breeding method, and selected for the further trials with the name of 'Miryang 10'. It was prominent and showed good result, such as high grain quality, lodging resistance, and high-antioxidant activity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and released for the public consumption as the name of 'SA9801-24-4-3-1' in 2011. 'Geomguseul' has a semi-determinate growth habit, yellow flower, green embryonic axis, black seed coat, white hilum, and small spherical seed (12.2 grams per 100 seeds). The average yield of 'Geomguseul' was 2.01 MT/ha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which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1.98 MT/ha) of the check variety, 'Chungju'.

An Evaluation Method of Water Supply Reliability for Dams by Firm Yield Analysis (보장 공급량 분석에 의한 댐의 물 공급 안전도 평가기법 연구)

  • Lee, Sang-Ho;Kang, Tae-Uk;Jung, Eui-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294-298
    • /
    • 2005
  • 신뢰도를 이용하여 댐의 물 공급 안전도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보장 공급량 분석에 의한 댐의 물 공급 안전도 평가 절차를 제안하였고,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물 공급 안전도를 평가하였다. 여러 묶음의 월 유출 시계열을 모의발생시키기 위하여 SAMS-2000을 사용하였고, 보장공급량 결정을 위한 저수지 모의운영에는 HEC-5가 사용되었다. 50년 계획 기간에 대하여 설계 유출자료에 의한 소양강댐 보장 공급량의 물 공급 안전도는 $80.5\%$로 평가되었고, 준공 후 기록 유입량에 의한 보장 공급량의 물 공급 안전도는 $53.7\%$였다. 기록 유입량 자료의 보장 공급량(15.85억 $M^3/yr$)을 계획 공급량으로 하면 연간 0.94억 $m^3 $의 용수를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충주댐의 설계 유출자료에 의한 보장 공급량 34.22억 $M^3/yr$를 계획 공급량으로 하면 모든 시계열에 대하여 반드시 물 부족이 발생하였다. 이는 설계 당시 유입량의 과대평가에 기인한다. 제안된 절차를 적용하면 보다 객관적으로 댐의 물 공급 안전도를 평가할 수 있다.

  • PDF

Regional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by Using GIS and Geostatistics Around the Southern Area of Chungju Lake (GIS와 지구통계학을 이용한 충주호 남부지역의 광역적인 사면안정평가)

  • 문상기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3 no.2
    • /
    • pp.117-128
    • /
    • 2000
  • Regional evaluations of slope stability by the failure criterion and by environmental geological factors were conducted. The failure criterion is the general conditions for plane failure which consider the geometrical conditions between geological discontinuities and topographical slope planes. The factor focused in this condiction is dip and dip direction. Geostatics, named semivariogram was used for establishing structural domains in slope stability evaluation by the failure criterion. The influential range was calculated to 6 km in the case of dip direction of dominant joint set and 7 km in the case of dip of the same dominant joint set. Then applying this failure criterion to the study area produced a slope stability map using the established domains and slopes generated by TIN module of ARC/INFO GIS. This study considered another regional slope stability analysis. 5 failure-driven factors 9the unstable slope map, geology, engineering soil, groundwater, and lineament density) were selected and used as data coverages for regional slope stability evaluation by geoenvironmental factors. These factors were weighted and overlayed in GIS. From the graph of cumulatave area (%) and instability index, finding critical points classified the instability indices. The most unstable slopes are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of Mt. Eorae, Dabul-ri, and the eastern area of Junkok-ri in the first area is plane failure. Also, the expected orientations of failure are 59/338 and 86/090 (dip/dip direction).

  • PDF

On the Reduction of a Ship Resistance by Attaching an Air Cavity to Its Flat Bottom (선저에 부착된 공기공동에 의한 선박의 저항감소에 관한 연구)

  • Jin-Ho Jang;Hyo-Chul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6 no.2
    • /
    • pp.1-8
    • /
    • 1999
  • Extensive resistance tests for a passenger boat(now in service at Chung-Ju lake) have been performed in a towing tank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artificial air cavity attached to the hull bottom on the reduction of the ship resistance. The attached air cavity has been observed at various air sully rates, from which we have determined a proper shape of an air supply device. In order to prevent the supplied air from leaking near the bilge of the ship, longitudinal barrier strips have been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device. The investigation on their effectiveness reveals that a cascade system of the air supply device reduces the resistance of the ship furthermore. Energy saving of more than 10% is achieved at the design speed in spite of the additional power necessary for the air supply.

  • PDF

Movement range and behavior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and catfish (Parasilurus asotus) in Chungju Lake (충주호에서의 쏘가리와 메기의 이동범위 및 행동)

  • Kang, Kyoung-Mi;Shin, Hyeon-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46 no.2
    • /
    • pp.148-15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habitat environment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zeri) and catfish (Parasilurus asitus) with acoustic telemetry method in Chungju Lake, Korea. Mandarin fish tended to stay within 1km from the release points in downstream, and had a strong diurnal behavior. They approached to the lakefront at night. They also preferred to stay at deep water off the lakefront. The average swimming speed was faster at night (0.4BL/s) than during a day (0.2BL/s). They swam the shallow water area at night. Catfish frequently moved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Catfish tended to act during a day. The average swimming speed was faster during a day (0.3BL/s) than at night (0.2 BL/s). The average swimming depth was 14.3m, and they tended to float about 4m during a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