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충동적 구매성향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패션제품 충동구매행동에 대한 브라우징의 중재효과 (Mediating Effects of Browsing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 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9_10호
    • /
    • pp.1340-1348
    • /
    • 2005
  • Consumers are prone to engage in browsing because they are, for a variety of reasons, open to spending opportunities that grab their attentions. In-store browsing is the in-store examination of a retailer's merchandise for recreational or/and informational purposes without an immediate intent to buy. Browsers made more unplanned purchases than non-browsers in a regional mall setting. As a form of on-going search, in-store browsing is a central component in the impulse buying proce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shion involvement, hedonic consumption, browsing and impulse buying behavior, and 2)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rowsing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measured on a 7-point rating scale. Data were obtained from 413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Busan.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given during a scheduled clas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odel of this study is appropriate to explain the mediating effects of browsing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The model shows that fashion involvement and hedonic consumption are important as antecedents of browsing in fashion stores, and consumers browsing longer in fashion stores would ten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impulse buying behavior. That is, browsing in store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riggering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some insights into retail marketing theory supporting the trait and behavioral aspects of impulse buying. Future research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ddressed.

웰빙트랜드가 식품포장디자인의 색채에 끼친 영향 (Influences of Well-being Trend on Color of Packaged Food Products)

  • 신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84-192
    • /
    • 2007
  • 사회적 트랜드는 소비대중의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줌으로써 상품의 구매성향에 변화를 초래한다. 이런 연유에서 트랜드는 제품의 기획과 생산과정에서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된다. 새로운 트랜드가 출현하여 어떤 변화가 일어났다면 우선 그 트랜드에 의한 영향의 폭과 깊이를 가늠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웰빙물결과 이로 인해 나타난 식품포장디자인의 변화는 주목할 만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웰빙트랜드의 영향으로 식품포장디자인이 어떤 형태로 변화되었는지에 알아보았다. 연구의 범위는 의식주 중에서 웰빙트랜드의 영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식품을 대상으로 하였고 범위를 좁혀 공장에서 생산되고 대형할인점을 통해 판매되는 포장식품으로 한정했다. 식품포장디자인은 판매의 최종단계에서 소비자에게 충동적 구매를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공적인 디자인을 위한 제 요소들 중에서 색채는 그 중심적 위치에 있다. 색채는 트랜드의 변화를 민감하게 나타내고 소비자는 그 같은 상품의 구매를 통하여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본 연구의 기초 자료는 시장조사를 통해 포장식품을 대분류한 후 사용된 색상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4대 기본색상의 역할과 변화를 분석하여 트랜드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웰빙트랜드에 민감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수가 공감하는 웰빙칼라를 선정하였다.

인터넷 패션 소비자의 충동구매성향이 긍정적, 부정적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Impulse Buying Tendency on Positive and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 이은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11-522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impulse buying tendency on positive and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December 15 in 2010, and 407 responses from internet fashion consumers who made impulse purchases on the internet at least once for the last 6 month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impulse buying tendency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was classified into pure impulse buying, reminder impulse buying, suggestion impulse buying, and stimulus impulse buying. The positive purchasing behaviors such as re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were influenced by the impulse buying tendency. The all factors of impulse buying tendency had an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while purchas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e reminder impulse buying, suggestion impulse buying, and stimulus impulse buying. The negative purchasing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delay in decision making and switching intention of purchase. The delay in decision making was influenced by the stimulus impulse buying, suggestion impulse buying, and reminder impulse buying. Also, the reminder impulse buying, suggestion impulse buying and pure impulse buying had an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of purchas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ulse buying tendency and delay in decision making between male and female internet fashion consumers.

소셜 미디어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연령의 이미지가 미래 자기 연결성 및 지연 보상 선택에 미치는 영향: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How Age Diverse Images on Social Media Influence Self-continuity and Impatience in Intertemporal Preference: Focusing on Women in 20s)

  • 임지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2호
    • /
    • pp.191-216
    • /
    • 2021
  • 자신의 미래 시간을 느끼는 정도는 그 사람의 다양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미래를 대비하는 행동인 저축, 혹은 미래에 상관없이 지금 감정에 맞춰 행동하는 충동구매 등 다양한 소비행동이 미래 시간 인식과 맞닿아 있다. 본 연구는 미래 자기 연결성에 초점을 맞춰 현재와 미래의 자기가 이어져 있다고 느끼는 정도가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통해 얼마나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했다. 그리고 이 변화를 통해 실제 지연 보상 선택 경향성, 즉 미래의 큰 보상을 위해 현재의 쾌락적 선택을 포기하는 정도가 얼마나 늘어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이 관계가 노년에 대한 긍정적 지각과 성향적 낙관성에 따라 변화할 지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나이의 사람들을 SNS를 통해 보여주는 것은 실제 참여자(20대)의 미래 자기 연결성과 소비 선택에서의 인내심을 증가시켰다. 또한 이 관계는 나이 듦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라 변화하였다.

쇼핑성향에 따른 여대생의 충동구매와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pulse Buying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Women by Thei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 강경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127-138
    • /
    • 1999
  • The college student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groups by their impulse buying pattern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cause them. Their life styles, fashion leadership, self-confidence and self-image in clothing were the subjects of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llege women students could be classified into several groups by their impulse buying orientations. 2. The student life styles were different by their shopping orientations. The high shopping involved shopping type and the leisure pursuit shopping typ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material life and modern life style. The economic shopping type took the intellectual self-image seriously, and the low shopping involved type thought much of the traditional life style. 3. The high shopping involved type and the leisure pursuit shopping type were more impulse buying oriented. They showed the tendencies to the fashion innovativeness and fashion opinion leadership. But the economic shopping involved shopping type and low shopping involved shopping type showed quite different tendencies. The high shopping involved shopping type and low shopping involved shopping type were contrast in their self-confidence in shopping. The former showed the highest self-confidence and the latter showed the lowest self-confidence. 4. The high shopping involved shopping type were more extroversive, dominant, sensitive and pioneering. Thes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upposed to contribute to their impulse buying. 5. The high shopping involved shopping type and the leisure pursuit shopping type perceived themselves as more sophisticated, modern, creative and sociable. They thought they had diverse life styles. These two groups were more impulse buying oriented, and their self-images were different from economic shopping type and low shopping involved shopping type.

  • PDF

Tobit 모형을 이용한 지역축제 방문객의 지출 영향요인 -두 지역 쌀 축제를 중심으로-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s' Spending on Local Festivals by applying the Tobit Model -Based on Rice Festivals in Two Regions-)

  • 백운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79-488
    • /
    • 2012
  • 본 연구는 경기도 이천 쌀 문화축제 및 충북 진천 쌀 축제를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두 지역축제 참가자들이 각 축제를 지각하는데 있어서의 지출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고, 지역축제의 재방문을 위한 시장전략수립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방문객들이 평가를 바탕으로 기존의 매력요소를 강화시키고, 신규 매력요소를 창출을 통해 향후 지역축제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토빗(Tobit)모형을 적용하여 축제별로 방문객의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추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두 축제 간의 행태차이를 추정하기 위해, 우도비율검정(LR-검정)을 통해 각 축제 방문객만을 대상으로 추정된 결정요인들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두 축제 간의 지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축제방문객의 지출성향을 요약해 보면, 두 쌀 축제방문객들의 지출성향은 충동적구매가 유사하거나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축제기획단계에서부터 이들의 지출의지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대책수립이 요구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역축제를 기획하고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축제프로그램과 축제시설 그리고 축제공연 등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