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충돌 탐지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4초

이동 영상에 의한 충돌 방지 시스템의 개발 (A Development of a Collision Prevention System by a Moving Image)

  • 박영식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1-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움직이는 영상을 충돌방지 시스템에 의해 검출한다. 이런 영상의 노이즈는 평균 필터로 제거시킨다. 그리고, 이진 차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경우에는 라벨링과 투영방법에 의해 움직임 영역만 정확히 추출하였다. 그 후에 시스템의 추적모드에 의해서 이미지가 천천히 움직일 경우 추적창의 중심은 이전 프레임의 추적창으로부터 이동한다. 그리고, 추적 창은 추적모드와 탐지모드로 나누고, 차 영상 데이터의 대차 상관 값에 의해 결정하였다. 탐지모드는 외란에 의한 에러를 감소하기 위해서 탐지-시간 값의 비교로 추적단계를 계속 진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였다. 이와 같은 움직이는 영상의 탐지와 추적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였다.

  • PDF

군집 비행 드론의 충돌 방지를 위한 UWB 레이다의 속도 감응형 CFAR 최적화 연구 (Adaptive CFAR implementation of UWB radar for collision avoidance in swarm drones of time-varying velocities)

  • 이새미;문민정;천형일;이우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56-46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군집 드론 시스템에서 이동 드론의 충돌방지를 위해 레이다를 도입하였다. 드론은 비행 중 불규칙한 속도 변화로 인해 반사파의 클러터가 증가되어 탐지 성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충돌 방지 레이다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UWB(Ultra Wide-Band) 레이다를 적용하여 비행하는 드론을 탐지하고, 반사파 신호 분석을 통해 획득한 거리 및 속도 정보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동 드론의 속도 변화에 따른 속도 감응형 CFAR(Constant False Alarm Rate)를 구현하여 오경보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클러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안을 구현한다.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실제 상용 드론에 대한 레이다 관측 실험을 수행하고 불규칙하게 비행하는 드론의 탐지 성능이 개선됨을 보인다.

열화상 시스템에 의한 유빙의 탐지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tection Characteristic of Draft Ice by Thermography System)

  • 조용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02-307
    • /
    • 2017
  • 북극해 지역은 해수면의 변화와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유빙들이 형성되고 이는 자원 개발을 위한 해양시스템 및 운항선박과의 충돌사고에 의한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극지방의 유빙은 운항중인 석박뿐만 아니라 한 장소에서 오랜 기간 작업을 수행하는 해양자원 시추 및 생산 시스템에 대한 잠재적 사고요인이 된다. 유빙과의 충돌사고 방지를 위해 북극해의 해양자원 시추 및 생산 시스템과 북극 항로를 운항하는 선박에서는 위성 영상 정보 및 탐지 레이더를 이용하여 유빙을 탐지하고 있다. 하지만 가시광선 위성영상은 야간 활용이 불가능하고, 레이더에 의한 탐지도 소형 유빙에 대해서는 탐지확률이 현격히 저조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빙의 탐지를 위해 주야간 운용이 모두 가능한 열화상 시스템의 이용 방안에 주목하고 유빙의 탐지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화상 시스템의 야간 운용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실험조건을 설정하고 계측 각도 변화에 따른 열화상을 계측하였으며, 실험과 동일 조건에 대한 유빙과 해수의 복사에너지를 이론적으로 계한함으로써 계측 결과와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였다.

유효한 XML 환경에서 유효성과 병행수행의 결합을 위한 낙관적 기법 (An Optimistic Mechanism for Combining Concurrency Control and Validation in Valid XML)

  • 윤일국;고한영;박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C)
    • /
    • pp.15-20
    • /
    • 2008
  • 데이터베이스가 DTD를 가지는 valid XML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XML 문서를 변경하는 트랜잭션들에 대한변경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효성의 검증 범위는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노드들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유효성 검증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검증 범위에 속하는 데이터 아이템들이 다른 트랜잭션들에 의해서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병행수행 제어 기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유효성과 병행수행에 대한 낙관적 처리 기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충돌 탐지와 같은 검증 범위에서의 유효성 검사를 통해 변경 연산의 트랜잭션들의 병행수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하고 기존연구의 유효성 검증과 충돌 탐지 기법을 비교, 분석한다.

  • PDF

OpenMP 디렉티브 병렬프로그램에서의 동적 자료경합 탐지를 위한 감시 필터링 기술의 실험적 비교 (An Empirical Comparison of Monitoring Filtering Techniques for Dynamic Data Race Detection in Parallel Programs with OpenMP Directives)

  • 조아라;하옥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1-2
    • /
    • 2016
  • 다중 스레드 기반 병렬 프로그램에서의 자료경합 탐지는 동시에 수행되는 스레드 간의 비결정적인 상호작용 때문에 탐지하기 어려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동적 분석기술을 사용하여 자료경합을 탐지할 경우 프로그램 수행의 감시와 충돌하는 모든 메모리 연산의 분석을 위해 추가적인 오버헤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동적 분석의 추가적인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으로 감시 필터링 기술이 소개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동적 자료경합 탐지를 위한 감시 필터링 기술 중 OpenMP 디렉티브 병렬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두 기술을 대상으로 실용성과 효율성을 실험적으로 비교한다.

  • PDF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를 위한 침입 방지용 통합 보안 기술

  • 김정녀;장종수;손승원
    • 정보와 통신
    • /
    • 제21권9호
    • /
    • pp.75-90
    • /
    • 2004
  • 기존의 정보통신 보안 인프라 강화를 위하여 많은 개별 보안 시스템들이 활용된다. 침입차단, 침입탐지, 그리고 가상사설망 장비들을 설치하여 보안성을 향상 시켰는데, 이로 인하여 각 보안 시스템 간의 정책 충돌이 발생하기도 하여 보안상 효율성이 떨어지기도 하고, 여러 보안 시스템들을 관리하여야 하는 관리상의 복잡성과 비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침입탐지, 침입차단, 그리고 가상사설망 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통합 보안 엔진 개념이 부각되었으며, 이러한 통합 보안 엔진 기능을 라우터에 탑재하여 정보통신 인프라의 보안성을 강화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 보안 엔진을 라우터나 스위치 등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 탑재하여 안전한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안 프레임웍을 소개한다. 또한, 침입탐지, 침입차단, 가상사설망 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라우터용 통합 보안엔진의 구조를 소개하고, 이를 위해 구현된 핵심 기능을 기술한다. 이러한 통합 보안 엔진이 탑재된 보안 라우터와 기존의 보안 기능이 있는 상용 라우터와의 비교를 통하여 통합 보안 엔진이 탑재된 보안 라우터 시스템의 효율성을 설명한다.

어선용 레이더 리프렉터 개발

  • 김우숙;안영섭;임정빈;박성현;김인현
    • 선박안전
    • /
    • 제14권
    • /
    • pp.30-43
    • /
    • 2004
  • 국내 소형 어선은, 목선이 80% 이상, FRP선이 20%내외, 강선이 1% 이내를 차지하고 있다. 소형 목선과 FRP선은 크기가 작고 구성물질이 레이더 전자파를 반사키는 강도가 약하므로 중. 대형 선박에서 탐지하지 못하여 충돌에 의한 해난사고가 가장 큰 비율로 발생하고 있다.<중략>

  • PDF

광산안전관리를 위한 충돌방지시스템의 개발현황과 적용사례 (Review of Collision Avoidance Systems for Mine Safety Management: Development Status and Applications)

  • 이채영;서장원;백지은;최요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5호
    • /
    • pp.282-2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광산안전관리를 위한 충돌방지시스템의 개발 현황과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광업 선진국인 미국과 호주에서 사용하는 충돌방지시스템의 용어를 정의하고 이용되는 센서 기술들을 비교하였다. 또한 해외의 광산 회사들이 개발한 충돌방지시스템인 $MineAlert^{TM}$ Collision Awareness System, Cat $MineStar^{TM}$, Intelligent Proximity Detection 기술 등에 대해 소개하였다. 국내 광업 분야에서는 충돌방지시스템을 개발한 사례가 없었으며 건설과 철도 분야에서 이와 유사한 개념의 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충돌방지시스템을 도입하면 광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고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며, 해외의 개발 사례를 통해 국내 광산 환경에 적합한 센서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