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돌평판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Airborne Pulsed Doppler Radar Development (비행체 탑재 펄스 도플러 레이다 시험모델 개발)

  • Kwag, Young-Kil;Choi, Min-Su;Bae, Jae-Hoon;Jeon, In-Pyung;Yang, Ju-Yoel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0 no.2
    • /
    • pp.173-180
    • /
    • 2006
  • An airborne radar is an essential aviation electronic system of the aircraft to perform various missions in all weather environments.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development, and test results of the multi-mode pulsed Doppler radar system test model for helicopter-borne flight test. This radar system consists of 4 LRU units, which include ANTU(Antenna Unit), TRU(Tx Rx Unit), RSDU(Radar Signal & Data Processing Unit) and DISU(Display Unit). The developed technologies include the TACCAR processor, planar array antenna, TWTA transmitter, coherent I/Q detector, digital pulse compression, DSP based Doppler FFT filtering, adaptive CFAR, IMU, and tracking capability. The design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radar system is verified through various helicopter-borne field tests including MTD (Moving Target Detector) capability for the Doppler compensation due to the moving platform motion.

  • PDF

Investigation of plasma effect for defect-free nitrogen doping of graphene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11.2-211.2
    • /
    • 2016
  • 그래핀은 본연의 우수한 물성으로 인하여 전자소자, 에너지 저장매체, 유연성 전도막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실제적인 응용을 위해서는 구조적인 결함을 최소화하며, 특성을 자유로이 제어하거나 향상시키는 공정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그래핀을 전자소자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화학적 도핑은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을 제어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적 도핑은 그래핀을 구성하는 탄소원자를 이종원자로 치환하거나 표면에 흡착시켜 기능화 된 그래핀을 얻는 방법으로, 특정 가스 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하거나 활성종들이 존재하는 플라즈마에 노출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특히 플라즈마를 이용한 도핑방법은 저온에서 단시간의 처리로 도핑이 가능하고, 플라즈마 변수를 변경하여 도핑정도를 수월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플라즈마내의 극성을 띄는 다양한 활성종들의 충돌효과로 인하여 구조적인 손상이 발생하여 오히려 특성이 저하될 수 있어 이를 고려한 플라즈마 공정조건의 설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에 노출된 그래핀의 Raman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화학적 도핑과 구조적인 결함의 경계를 확립하고 구조결함의 형성을 최소화한 효율적인 도핑조건을 도출하였다. 그래핀은 물리적 박리법을 이용하여 300 nm 두께의 실리콘 산화막이 존재하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제작하였으며, 평행 평판형 직류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의 위치, 인가전력, 처리시간을 변수로 암모니아($NH_3$) 플라즈마를 방전하여 그래핀의 Raman 특성변화를 관찰하였다. 그래핀의 구조적 결함 및 도핑 효과는 라만 스펙트럼의 D, D', 2D밴드의 강도와 G밴드의 위치와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의 변화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인가전력과 처리시간에 따라 결함형성과 질소도핑 영역이 구분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결함형성을 최소화한 효율적인 도핑조건이 접지전위, 0.45 W의 인가전력, 처리시간 10초이며, 최적조건에서 계산된 도핑레벨은 $1.8{\times}10^{12}cm^{-2}$임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ison of Dry Etching of GaAs in Inductively Coupled $BCl_3$ and $BCl_3/Ar$ Plasmas ($BCl_3$$BCl_3/Ar$ 유도결합 플라즈마에 따른 GaAs 건식식각 비교)

  • ;;;;;S.J Peart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62-62
    • /
    • 2003
  • 고밀도 유도결합 플라즈마(high density inductively coupled plasma) 식각은 GaAs 이종접합 양극성 트랜지스터(HBTs)와 고속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EMTs)와 같은 GaAs 기반 반도체의 정교한 패턴을 형성하는데 더욱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밀도 플라즈마 소스(source)인 평판형(planar) 고밀도 유도결합 플라즈마 식각장치를 이용하여 $BCl_3$$BCl_3/Ar$ 가스에 따른 GaAs 식각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공정변수는 ICP 소스 파워를 0-500W, RIE 척(chuck) 파워를 0-150W, 공정압력을 0-15 mTorr 이었다. 그리고 가스 유량은 20sccm(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Ar 첨가 비율에 따른 GaAs의 식각결과를 관찰하였다. 공정 결과는 식각률(etch rate), GaAs 대 PR의 선택도(selectivity), 표면 거칠기(roughness)와 식각후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 가스등을 분석하였다. 20 $BCl_3$ 플라즈마를 이용한 GaAs 식각률 보다 Ar이 첨가된 (20-x) $BC1_3/x Ar$ 플라즈마의 식각률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각률 증가는 Ar 가스의 첨가로 인한 GaAs 반도체와 Ar 플라즈마의 충돌로 나타난 결과로 예측된다. $BCl_3$$BC1_3/Ar$ 플라즈마에 노출된 GaAs 반도체 모두 표면이 평탄하였고 수직 측벽도 또한 우수하였다. 그리고 표면에 잔류하는 성분은 Ga와 As 이외에 $Cl_2$ 계열의 불순물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매우 깨끗함을 확인하였다. 이번 발표에서는 $BCl_3$$BCl_3/Ar$ 플라즈마를 이용한 GaAs의 건식식각 비교에 대해 상세하게 보고 할 것이다.

  • PDF

The Study on the Phenomenon of Heat Transfer on a Downward Isothermal Circular Surface by an Impinging of Upward Circular Nozzle Jet (상향 원형노즐 제트에 의한 하향 등온 원형평면에서의 열전달 현상에 관한 연구)

  • Lee, In Jae;Eom, Yong Kyoon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8 no.11
    • /
    • pp.450-457
    • /
    • 2016
  • While many studies on the heat transfer effect of an impinging jet have been published, most studies focus on the downward impinging je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inging jet heat transfer phenomenon when water at a temperature of $24^{\circ}C$ impinges on the downward isothermal circular plate at 60, 70, and $80^{\circ}C$ and when the upward round jet nozzle is 4, 6, and 8 mm diameter with a flow rate 3.6, 4.6, and 5.6 L/min, respectively, and when the ratio of the nozzle clearance/nozzle diameter (H/D) is 1.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nozzle diameter decrease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s at a constant flow rate. The correlation equation of $Nu_r$, $Pr_r$, and $Re_{jg}$ is obtained in the impinging and constant velocity flow region $(Nu_r/Pr^{0.4}_r)Dr=4.6[Re_{jg}(r/R_c)Dr]^{0.8}$ at all flow rates, in the deceleration and falling flow regions $(Nu_r/Pr^{0.4}_r)Dr=42.7{\mid}Re_{jg}(r/R_c)Dr-345.7{\mid}^{0.3}$ at 3.6 L/min, $(Nu_r/Pr^{0.4}_r)Dr=92.4{\mid}Re_{jg}(r/R_c)Dr-16.8{\mid}^{0.2}$ at 4.6 L/min, and $(Nu_r/Pr^{0.4}_r)Dr=322.4{\mid}Re_{jg}(r/R_c)Dr-536.2{\mid}^{0.01}$ at 5.6 L/min.

Turbine Case Containment Capability Evaluat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터빈 케이스의 컨테인먼트 성능 평가)

  • Jun-woo Baek;Sang-woo Kim;Soo-yong Lee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7 no.5
    • /
    • pp.19-27
    • /
    • 2023
  • In this study, we used finite element analysis to conduct a containment capability evaluation of a turbine case. When analyzing the impact behavior of structures subjected to impact load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train rate, as it affects the increase in flow stress. Therefore, we applied three material models (Cowper-Symonds, Johnson-Cook, and Modified Johnson-Cook) for the impact analysis. To validate these material models, we performed an impact test on an aluminum 6061 plat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we determined that the Modified Johnson-Cook material model exhibited the least error. As a result, we applied this material model to evaluate the containment capability of the turbine case. This evaluation involved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penetration, as well as the stress and strain induced at the collision area due to the initial velocity of the blade.

친환경 평판 디스플레이 세정을 위한 $CO_2$ Snow Jet 세정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

  • Jeong, Ji-Hyeon;Gang, Bong-Gyun;Kim, Min-Su;Lee, Jong-Myeong;Lee, Gyu-Pil;Park, Jin-Gu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66.1-66.1
    • /
    • 2011
  • 반도체를 비롯하여 LCD,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FPD: Flat Panel Display) 분야는 국가 선도 사업으로써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하지만 기술의 성숙도가 높아짐에 따라 최근 중국과 대만 업체와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더불어 환경문제가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어 신기술 개발을 통한 생산 수율 향상 및 친환경 공정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생산 수율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써 공정 중 발생하는 미세 오염 입자를 들수 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세정 기술은 전체 기술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생산 수율 및 제품의 품질에도 큰 영향을 주는 공정이다. 세정 공정은 일반적으로 습식 세정 공정이 낮은 공정비용을 바탕으로 널리 적용되어 왔으나, 기판의 대형화와 패턴의 미세화에 따라 정밀한 세정 스펙이 요구되며 더불어 막대한 양의 초순수와 화학액의 사용으로 인한 공정비용 증가와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폐수 처리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폐수의 양을 줄이며 건조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건식 세정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CO_2$ snow jet 세정 기술은 건식 공정으로써 $CO_2$ 가스를 특수하게 제작된 분사 노즐에서 고압으로 가스를 분사하여 이 때 발생되는 순간적인 감압에 의한 단열 팽창으로 생성된 $CO_2$ snow 입자가 기판 표면의 오염물과 물리적 충돌을 하어 세정이 이루어지는 기술이다. 특히 $CO_2$ 세정은 환경과 인체에 무해하며 공정 후 바로 승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폐수처리 공정 등이 필요하지 않고, 건식 공정으로써 수세(Rinse)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물반점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는 친환경 건식 공정으로써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CO_2$ snow jet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공정조건을 변화시켜 세정효율을 측정하는 한편, 최적화 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더불어 $CO_2$ snow의 세정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CO_2$ snow 입자를 배출 할 수 있는 공정 조건으로써 5 bar의 캐리어 가스 압력을 사용하여, 세정력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분사 노즐과 기판 사이의 거리 및 분사 노즐의 각도 등을 변화시켜 각 조건에 따른 세정효율을 평가하였다. 세정 오염물은 Silica, PSL 표준 입자(Duke scientific, USA)를 정량적으로 웨이퍼에 오염 시킨 후, 파티클 스캐너(Surfscan 6500, KLA-Tencor, USA)를 이용하여 세정 전 후의 오염입자 개수 변화를 통해 정량적으로 세정효율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CO_2$ snow jet를 이용한 친환경 고효율 건식 세정 공정 메커니즘을 분석하였으며, 노즐과 기판 사이의 간격 및 분사 노즐의 각도 등을 최적화 한 세정 공정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X-band Pulsed Doppler Radar Development for Helicopter (헬기 탑재 X-밴드 펄스 도플러 레이다 시험 개발)

  • Kwag Young-Kil;Choi Min-Su;Bae Jae-Hoon;Jeon In-Pyung;Hwang Kwang-Yun;Yang Joo-Yoel;Kim Do-Heon;Kang Jung-W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7 no.8 s.111
    • /
    • pp.773-787
    • /
    • 2006
  • An airborne radar is an essential aviation electronic system for the aircraft to perform various civil and/or military missions in all weather environments.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development, and test results of the multi-mode X-band pulsed Doppler radar system test model for helicopter-borne flight test. This radar system consists of 4 LRUs(Line-Replacement Unit), which include antenna unit, transmitter and receiver unit, radar signal & data processing unit and display Unit. The developed core technologies include the planar array antenna, TWTA transmitter, coherent I/Q detector, digital pulse compression, MTI, DSP based Doppler FFT filter, adaptive CFAR, moving clutter compensation, platform motion stabilizer, and tracking capability. The design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radar system is verified through various ground fixed and moving vehicle test as well as helicopter-borne field tests including MTD(Moving Target Detector) capability for the Doppler compensation due to the moving platform motion.

이종 타겟을 지닌 대향 타겟 스퍼터링 방법으로 제작된 AZO 박막의 광학적·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Seo, Seong-Bo;Bae, Gang;Kim, Dong-Yeong;Choe, Myeong-Gyu;Kim, Hwa-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37-337
    • /
    • 2014
  •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박막은 높은 투과율과 낮은 비저항 덕분에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 평판 디스플레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양산되고 있는 ITO (indium tin oxide)는 90% 이상의 높은 투과율과 우수한 전도성으로 인해 TCO 박막 가운데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런데, ITO의 인듐산화물에 의한 간질성 폐렴(interstitial pneumonia)의 유발 위험이 있다든가, 인듐의 매장량이 적어 원자재 가격이 비싼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 ITO를 대체할 수 있는 TCO물질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AZO (aluminum-doped zinc oxide)는 그 중 대표적인 대체물질로서 독성이 없고 가격도 저렴하여 많은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현재 AZO는 sol-gel 방법이나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스퍼터링 방법 등으로 증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이종타겟(hetero target)을 장착한 대향 타겟 스퍼터링(facing target sputtering: FTS) 장치를 사용하여 AZO 박막을 제작한다. 기존의 여러 증착법과 달리, FTS 장치는 두 타겟 사이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내의 ${\gamma}$-전자를 구속하게 되며, 낮은 가스 압력에서 고밀도 플라즈마가 생성되어 빠른 증착 속도와 안정적인 방전을 유지한 상태에서 박막을 증착할 수가 있다. 또한 기판과 플라즈마가 이격되어 있어 높은 에너지를 갖는 입자들의 기판 충돌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들을 갖는다. 이종 타겟인 ZnO와 Al2O3를 사용하고 각 타겟에 인가되는 파워 변화를 통해 AZO 박막 내 Al2O3의 성분비를 조절하였다. ZnO 타겟의 증착 파워를 100 W로 고정할 경우, Al2O3 타겟의 증착 파워가 (50~90) W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Al2O3 타겟의 증착 파워가 70 W일 때 AZO 박막의 Al2O3 성분비는 2.02 wt.%이며 박막의 비저항 값은 $5{\times}10^{-4}{\Omega}{\cdot}cm$로 최소값을 보였다. 이러한 비저항의 변화는 파워에 따른 AZO 박막의 캐리어 이동도(Hall mobility)와 캐리어의 농도(Carrier Concentration)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AZO 박막의 캐리어 농도와 캐리어 이동도는 AZO 박막을 형성하고 있는 결정립의 크기에 의존하는 것이 X-선 회절 패턴과 SEM으로부터 확인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이종 타겟(hetero target) Al2O3와 ZnO를 장착하고 각각의 파워를 변화시켜 도핑 량을 조절할 수는 대향 타겟 스퍼터링(FTS: facing-target spu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AZO 박막에 대해 전기적, 광학적 및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 ITO의 대체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Fabrication of Metal Discs Using Molten Tin and Brass Droplets (주석과 황동 용탕 드롭렛을 이용한 디스크형 응고체 제조)

  • Song, Jeongho;Lee, Tae-Kyeong;Rhee, Gwang-Hoon;Song, Ohs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8
    • /
    • pp.714-721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simple process to fabricate tin and brass metal discs with a large surface area from molten droplets for the wet-refining process of nonferrous metals by assuming they have precious metal elements. To optimize the droplet condition in a graphite crucible, the appropriate nozzle size was determined using a simulation program (STAR-CCM+) by varying the diameters (0.5, 1.0, and 2.0 mm).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both tin and brass do not fall out with a 0.5 mm diameter nozzle but they do fall out in continuous ribbon mode with a 2.0 mm nozzle. Only the 1.0mm nozzle was expected to fabricate droplets. Finally, solidified metal discs were fabricated successfully with the 1.0 mm nozzle within 10 minutes by impacting the droplets with a cooling water flowing over a Ti plate placed at the $40^{\circ}$ falling direction. The weight, average thickness, and surface area of the tin discs were 0.15 g, $107.8{\mu}m$, and $3.71cm^2$, respectively. The brass discs were 1.16 g, $129.15{\mu}m$, and $23.98cm^2$, respectively. The surface area of the tin and brass disc were 8.2 and 17.6 times the size of the tin and brass droplets, respectively. This process for precious metal extraction is expected to save cost and tim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ugmentation of Heat Transfer by Impinging Air Jets with Swirl (충돌선회분류(衝突旋回噴流) 열전달증진(熱傳達增進)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 Ohu, Su-Cheol;Park, Sung-Soo
    • Solar Energy
    • /
    • v.13 no.1
    • /
    • pp.22-30
    • /
    • 1993
  • This Paper deals with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axisymmetric air jet impinging vertically on the flat heating surface with and without swir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ugmentation of heat transfer rate, turbulent intensity, and the comparison of heat transfer rate, the optimal swirling condition about the swirl and nonswirl axisymmetric air jet. In order to augment the heat transfer on the flat heating surface without introducing any additional power, the technique used in the present work was placement of twisted tape inserted pipe in front of the nozzle exit in order to make a swirl. The effect of swirl degree is investigated in case of S=0., 0.056, 0.111, 0.222 and the velocity of the jet was 14, 20, 26, 32, 38, 44m/s. The distance between the nozle exit and the stagnation point on the impinging plate was the H/D=$1{\sim}14$. In order to analyze of the flow structure which increase heat transfer, the velocity and the turbulent intensity of the axisymmetric jet was measured by a hot wire anemometer according to the swirl number and H/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