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격지수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ractional Differencing, Long-memory Dynamics, and Asset Pricing (분수차분 장기기억과정과 증권의 가격결정)

  • Rhee, Il-Ki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1
    • /
    • pp.1-21
    • /
    • 2001
  • 주가가 장기기억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면 주가과정에 가해진 충격은 쌍곡선감소율로 소멸한다. 따라서 충격의 영향이 대단히 느리게 감소하여 충격이 지속성을 가진다. 반면 주가가 단기 기억과정을 따르면 지수율로 감소하여 소멸한다. 지수율감소는 충격의 영향을 급속히 소멸시키므로 충격의 영향이 조만간 소멸한다. 따라서 충격으로 변화된 주가는 평균으로 회귀한다. 충격의 영향이 영원히 존재하는 과정도 존재한다. 장기기억과정은 쪽거리차분과정 또는 분수차분과정이다. 차분모수가 분수일 것이 요구되는 시계열은 장기기억과정이다. 주가가 장기기억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정하였다. 장기기억과정을 형성시키는 차분모수는 분수차분모수이다. 일별 주가지수의 수익률을 사용하여 차분모수를 추정하였는 바 그 값이 0에 근접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Kospi, Nasdaq과 Mib30은 장기기억모수가 0에 접근하고 있으나 0이 아니다. 따라서 이 지수들은 장기기억과정에 의하여 생성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Dow Jones, S&P 500와 Dax는 장기기억모수가 0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지 않고 있어 이 지수들은 단기기억과정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평균회귀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Stochastic Shocks and Structural Breaks of Securities Markets (충격(衝擊)의 확률적 장기영향과 자본시장의 구조변화(構造變化))

  • Rhee, Il-Ki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1
    • /
    • pp.91-110
    • /
    • 2000
  • 충격이 경제에 가해질 때 이 충격이 경제 내에 일시적으로 존속하는 경우도 있고 이 충격이 영구히 존속하는 경우도 있다. 이 양극단 사이의 과정도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을 표상한 것이 stopbreak 과정이다. 충격의 효과가 영구적 효과와 일시적 효과 사이에서 파동하는 시계열을 모형화한 것이 이 과정인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일정한 기간에는 영구적인 평균이동이 발생하여 구조변화가 발생한다. 다른 기간에 발생하는 충격은 그 효과가 급속히 소멸한다.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두 주가의 비율은 한 주가의 변동이 제시하는 것을 분석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다른 주가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한 주가의 변동이 발생하면 이 두 주가의 비율은 변동한다. 그러나 한 주가의 변동의 정보성이 인정되어 이 정보가 다른 주가에 반영되어 조정되면 두 주가의 비율은 변동이전의 수준으로 회귀할 것이다. 변동이 영구적이면 두 주가비율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 반면 다른 주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정보이면 두 주가의 비율은 변동된 상태에서 지속될 것이다. 일정기간은 영구적 구조변화가 발생하고 그 이외의 기간에는 구조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stopbreak 과정을 사용하여 정확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주가지수들이 stopbreak 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즉 주가지수들은 확률적 영구구조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시계열들이다. 종합주가지수/제조업지수 역시 확률적 영구구조변화를 가지는 stopbreak 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과정을 실제에 적용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파악하면 예측이 가능하다. 특히 연관성이 깊은 두 주식의 주가비율을 사용할 때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hanges in Oil Price on Dry Bulk Freight Rates and Intercorrelations between Dry Bulk Freight Rates (국제유가의 변화가 건화물선 운임에 미치는 영향과 건화물선 운임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Chung, Sang-Kuck;Kim, Seong-Ki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7 no.2
    • /
    • pp.217-240
    • /
    • 2011
  • In this study, vector autoregressive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s in the short-run dynamics are consider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crude oil prices on Baltic dry index, Baltic Capesize index and Baltic Panamax index, and the intercorrelations between Capesize and Panamax prices, respectively. First, using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crude oil pric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or Capesize at lag 1, for Panamax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t lag 3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or Baltic dry index at lag 1. From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the international crude oil price causes Baltic dry index to increase in the sort-run and the effect converges on the mean after 3 months. Second, using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he empirical results for the spillover effects between Capesize and Panamax markets provide that in the case of the deviation from a long-run equilibrium the Panamax price is adjusted toward decreasing. The increases in freight rates of the Capesize market at lag 1 lead to increase the freight rates in Panamax market at present. The Panamax responses from the Capesize shocks increase rapidly for 3 months and the effect converges on the mean after 5 months. The Capesize responses from the Panamax shocks are relatively small, and increase weakly for 3 months and the effect disappears thereafter.

The Dynamics of Intraday Price Transmission Across the Stock Index Futures Markets: The Standard & Poor's 500, the New York Stock Exchange Composite, and the Major Market Index Futures (주가지수선물시장 상호간의 가격정보 전달구조에 관한 연구)

  • Kim, Min-H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2 no.2
    • /
    • pp.239-271
    • /
    • 1995
  • 본 연구는 현재 미국에서 거래되고 있는 세 가지 주가지수선물 상호간의 일중(intradaily) 가격선도(price leadership)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이다. 본 연구가 기존의 연구와 다른점은, 기존의 연구가 주가지수선물과 그 기준이 되는 현물 가격사이의 가격 선도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반하여 본 연구는 주가지수선물 시장 사이에서 존재하는 가격 선도관계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증 분석의 대상이 된 주가지수선물들은 Chicago Mercantile Exchange의 Standard and Poor's 500 Index(S&P 500), New York Futures Exchange의 New York Stock Exchange Composit Index (NYSE), 그리고 Chicago Board of Trade의 Major Market Index(MMI)이다. 만약 이들 시장들이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효율적(informationally efficient) 이라면 이들 가격간에 선도-지연(lead-lag) 현상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한 시장이 새로운 정보를 선물가격에 반영하는데 다른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다면, 이들 시장 상호간에는 가격의 전이(transmission)현상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이들 선물간의 일중 가격선도 관계 연구는 이러한 시장의 효율성 문제를 밝히는데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간의 단기적 가격 괴리를 이용하려는 차익거래자들에게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주가지수선물들이 가격 선도성을 가질 수 있는 이유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가설은, 가격의 선도성은 거래량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즉, 이들 주가지수선물 중 가장 거래량이 많은 S&P 500 선물이 다른 선물을 선도할 것이라는 가설이다. 둘째, 가격의 선도성은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주식의 수에 비례한다는 가설이다. 다시 말하면, 보다 않은 수로 구성된 주가지수일수록 정보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가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포함된 주가지수선물 중 가장 많은 수의 주식을 대상으로 하는 NYSE 선물이 다른 선물을 선도할 것이다. 마지막 가설은 정보의 처리는 대형주 혹은 기관선호주(institutionally-favored)들이 주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로 이와 같은 주식들로 구성 된 MMI 선물이 선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위의 가설들을 검증하고 시장간의 가격 선도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vector autoregressive(VAR) 모형을 이용하여 충격-반응 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s)를 계산하고, 분산분해(variance decomposition)를 수행하였다. 또한 가격 상호간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공적분(cointegration)관계를 Johansen(1991)과 Jokansen and Juselius (1992) 등이 제시한 다변량 공적분 검정(multivariate cointegration test)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1986년 1월부터 1990년 7월까지이며, 각 주가지수선물들의 5분 간격 dat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충격-반응 분석은 어느 한 시장에서의 충격(shock)은 다른 시장으로 매우 빠르게 전달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충격의 지속정도는 그 충격의 진원지에 따라 달랐다. 즉, NYSE나 MMI 선물로부터 발생 한 충격은 다른 시장의 가격에 5분 안에 반영을 끝냈지 만 S&P 500 선물에서 발생한shock은 그 이상 지속되었다. 또한, 분산분해 결과 S&P 500 선물이 자기자신 뿐만 아니라 다른 시장의 예상하지 못했던 움직임(unexpected movements)을 설명하는데 가장 큰 설명력(explanatory power)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S&P 500 선물이 다른 선물을 약 5분 간격으로 선도하였다. 이는 가격의 선도가 거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 PDF

Financial Integration in East Asia: Evidence from Stock Prices (주가지수를 통해 살펴본 동아시아의 금융통합에 대한 연구)

  • Zhao, Xiaodan;Kim, Yoonba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3 no.4
    • /
    • pp.27-48
    • /
    • 2011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xtent of global and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using stock price index as a measure of economic performance. We employ a structural VAR model to separate the underlying shocks into "global", "regional" and "country-specific" shocks.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country-specific shocks still play a dominant role in East Asia although their role appears to have declined over time, especially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Global and regional shocks are responsible for small but increasing shares of stock price fluctuations in all count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ock markets in East Asia remain dissimilar and are subject to asymmetric shocks in comparison to European countries.

  • PDF

Impact Characteristics of Multi-Density Insoles for DM Shoes (당뇨화 다밀도 안창의 충격특성)

  • 금영광;정임숙;강성재;김영길;김명웅;김영호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4 no.1
    • /
    • pp.31-36
    • /
    • 2003
  • Impact characteristics of six DM(Diabetes Mellitus) shoe insole materials (Podian, Plastazote black, Plastazote white, Flexible PU foam, Podialene 200 blue and Podia flex) and three multi-density insoles (AP, OS and PW insoles) were determined in the present study, using a self-designed impact measurement system. The coefficient of restitution, the median frequency and the attenuation index were calculated for each material, based on impact forces and linear accelerations. Podian revealed the superiority in the coefficient of restitution and the attenuation index. The median frequency of the Flexible PU foam was the smallest.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heel region was the most impact-attenuated among other areas in the insole. OS insole showed the better characteristics in the coefficient of restitution and the median frequen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enuation index. Similar impact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all areas in PW insole. since it was basically of the same dual-density polyurethane.

Surface Fracture Behaviors of Unidirectional and Cross Ply Glass Fiber/Epoxy Lamina-Coated Glass Plates under a Small-Diameter Steel Ball Impact (일방향 및 직교형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로 피막된 판유리의 미소강구 충격에 의한 표면파괴거동)

  • Chang, Jae-Young;Choi, Nak-Sam
    • Composites Research
    • /
    • v.22 no.4
    • /
    • pp.33-40
    • /
    • 2009
  • Fiber orientation effects on the impact surface fracture of the glass plates coated with the glass fiber/epoxy lamina layer were investigated using a small-diameter steel-ball impact experiment. Four kinds of materials were used: soda-lime glass plates, unidirectional glass fiber/epoxy layer(one ply, two plies)-coated, crossed glass tiber/epoxy layer (two plies)-coated glass plates. The maximum stress and absorbed fracture energy were measured on the back surface of glass plates during the impact. With increasing impact velocity, various surface cracks such as ring, cone, radial and lateral cracks appeared near the impacted site of glass plates. Cracks in the plate drastically diminished by glass fiber coating. The tiber orientation guided the directions of delamination and plastic deformation zones between the tiber layer and the glass plate. Impact surface-fracture indices expressed in terms of the maximum stress and absorbed energy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evaluation parameter of the surface resistance.

A study on the forecasting models using housing price index (주택가격지수 예측모형에 관한 비교연구)

  • Lim, Seong Si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1
    • /
    • pp.65-76
    • /
    • 2014
  • Housing prices are influenced by external shock factors such as real estate policy or economy. Thus, the intervention effect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forecasting model for housing price index.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degree of effective power of external shock factors for forecasting housing price index and analyzed time series models for efficient forecasting of housing price index. It is shown that intervention models are better than other models in forecasting results using real data based on the accuracy criteria.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between BDI with CCFI and SCFI Shipping Freight Indices (BDI와 CCFI 및 BDI와 SCFI 운임지수 사이의 변동성 파급 효과)

  • Meng-Hua Li;Sok-Tae Kim
    • Korea Trade Review
    • /
    • v.48 no.1
    • /
    • pp.127-163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among BDI, CCFI and SCFI. This paper will divide the empirical analysis section into two periods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volatility spillover effect between shipping freight indic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separately. First, in order to compare the mean spillover impact and index lead-lag correlations in BDI and CCFI indices, along with BDI and SCFI indices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co-integration analysis and the test of Granger causality built on the VAR model were utilized. Second, the impulse response and variance decomposition are employed in this work to investigate how the shipping freight index responds to shocks experienced by itself and other freight indices in a short period. Before the COVID-19 epidemic,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BDI freight index is the Granger cause of the variable CCFI freight index. But the BDI and CCFI freight indices have no apparent lead-lag relationships after COVID-19, and this empirical result echoes the cointegration test result. After the COVID-19 epidemic, the SCFI index leads the BDI index. This study employs the VAR-BEKK-GARCH joint model to explore the volatility spillover results between dry bulk and container transport markets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after COVID-19, fluctuations in the BDI index still affect the CCFI index in the maritime market. However, there is no proof of a volatility spillover relationship between the BDI and SCFI after the COVID-19 epidemic. This study will provide an insight into the volatility relationship among BDI, CCFI and SCFI before and after the the COVID-19 epidemic occurred.

금융위기 전후의 시장간 동태적 균형관계 분석

  • Kwak, Jong-M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5 no.1
    • /
    • pp.191-212
    • /
    • 1999
  • 1997년에 우리 나라는 외환충격으로 인한 금융위기 속에서 시장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하였다. 이로 인해 차익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차입과 대출이 크게 제약되었고, 이것은 시장간 균형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이러한 금융위기에서도 주요 시장간의 균형관계가 유지되었는지를 검정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분석자료로 KOSPI 200 현물 종가 및 선물 결제가격, 연간 회사채 수익률, 양도성 예금 연간이자율, 기준환율의 일일 자료를 사용하였다. 1996년 5월 3일부터 1998년 5월 21일까지의 기간을 외환충격에 의한 금융위기 전, 중, 후의 3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백터오차수정모형 분석과 충격반응분석을 하였다. 금융위기 이전인 제1단계에서는 5개 내생변수간의 균형관계가 존재하였다. 금융위기가 급속하게 진행된 제2단계에서는 균형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주가지수, 주가지수 선물가격 및 기준환율 변수를 내생변수로 하고, 나머지 변수를 외생변수로 분석한 경우에는 균형관계가 존재하였다. 금융위기 진정단계인 제3단계에서는 5개 내생변수간의 균형관계가 성립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