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격음 저감재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rrelation between Dynamic Characteristics of Isolation Material and Impact Noise Reduction of Light-weight Impact Source (충격음 저감재의 동특성과 실험실 경량충격음레벨 저감량의 상관관계)

  • 이주원;정갑철;권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05a
    • /
    • pp.191-195
    • /
    • 2003
  • 충격음 저감재의 동탄성계수와 감쇠계수는 차단성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물성치가 된다. 저감재의 동탄성계수는 뜬바닥구조의 고유진동수를 결정짓게 되며, 저감재의 동탄성계수가 높을수록, 즉 고유진동수가 높아짐에 따라 실험실 경량충격음레벨 저감량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됨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저감재를 포함한 뜬바닥구조를 1자유도 진동계로 가정한 이론값과 실험실 경량충격음레벨 저감량의 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 감쇠계수의 영향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 PDF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of floor coverings (바닥 상부 마감재의 충격음 저감성능에 대한 평가방법 개선)

  • Jin-Yun Chung;Han-Sol Song;Guk-Gon Song;Yong-Jin Y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2
    • /
    • pp.161-167
    • /
    • 2023
  • Recently, floor impact sound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improve floor impact sound performance using floor covering installed on the floor of apartment houses. KS F ISO 717-2 and KS F 2863 require measurement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resilient material is not installed. But most apartment houses in Korea install resilient materials to reduce floor imapct sou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floor covering should provide reduced performance for use by residents of apartment houses with resilient material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reduction performance evaluation under the conditions in which a resilient material is install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floor covering.

Investigation of the level difference of floor impact noises through the shape variation of EVA resilient materials with composite floor structure (EVA 완충재의 형상변환을 통한 복합구조의 바닥충격음 변이 조사)

  • Jakin Lee;Seung-Min Lee;Chan-Hoon Ha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3 no.1
    • /
    • pp.60-71
    • /
    • 2024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vel difference of floor impact noises of composite floor structure using EVA resilient materials. In order to this, four different types of resilient materials were designed combining PET, PP sheet and EVA mount including Flat type, Deck type, Cavity type and Mount type. Totally 9 different samples were made for acoustic measurements which were carried out twice with bang-machine and impact ball as the heavy-weight floor impact noise sources. All the floor impact noise measurements were undertaken at the authentication institution. As a result, concerning Flat and Cavity types, it was found that 2 dB ~ 5 dB of heavy-weight floor impact noise was reduced supplementally when PET was added, while floor impact noise larger than 50 dB was acquired when single resilient material was used. Especially, most high performance was obtained for Mount type with 1st grade of light-weight floor impact noise and 2nd grade of heavy-weight floor impact noise. This is because of material property with low dense PET sound absorption materials which fill all around EVA mounts. Also, it was considered that this results are due to the sound impact absorption by the both EVA mounts and the air cavity between EVA mount and PP sheet. Also, it was found that at least 36 EVA mounts per 1m2 area of resilient panel make more noise reduction of heavy-weight floor impact noises.

Effect of the Interface Structure and Section Shape of Isolation Material in Floating Floor Impcat Vibration Level Decrease (뜬바닥 구조에서 층간차음재의 계면구조 및 단면형상이 충격진동량 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

  • 김범수;양수영;제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96-299
    • /
    • 2004
  • 단열 완충재의 하부단면에서 양각 형태가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진동 충격음 저감량을 실험하였다. 양각 형태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더라도 진동 충격음 저감량에는 큰 성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바닥 구조에서 슬래브와 상판 사이에 단열완충재를 설치할 경우 중량 충격음이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뜬 바닥 구조에서 완충재의 설치로 인하여 슬래브와 상판간의 거동이 다르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 PDF

Development of a Laboratory Test Devic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weight Impact Sound (경량충격음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실용 시험장치 개발)

  • 양수영;홍병국;송화영;김범수;이동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505-508
    • /
    • 2004
  • 단열완충재 제품간의 경량충원 저감성능 평가를 객관적이고 신속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실험실용 시험장치를 개발하였다. EVA계열 및 EPPㆍEPS계열의 단열완충재들에 대한 경량충격원 시험에서 제품간의 성능비교가 가능하였으며,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 측정과 병행함으로써 제품들간의 우열성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sound absorbent gypsum board in the ceiling on low-frequency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흡음 석고보드 천장재에 의한 저주파 중량 바닥충격음의 저감 효과)

  • Song, Han-Sol;Ryu, Jong-Kw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5
    • /
    • pp.323-330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absorbent gypsum board in the ceiling on low-frequency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through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nd floor impact sound measurement.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were measured with sound absorbent gypsum board, glass wool on gypsum board, and a double panel absorbent gypsum board (absorbent gypsum board + glass wool + absorbent gypsum board). Result showed that the absorbent gypsum board had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of 0.1 ~ 0.7 from 200 and 630 Hz octave band.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was increased in all frequency range by adding glass wool. Additional absorbent gypsum board increased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up to 250 Hz octave band, but decreased over 250 Hz.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s were measured in test building for three materials above, gypsum board, and bare slab. Result showed that glass wool on gypsum board and a double panel absorbent gypsum board reduced by 3 dB ~ 4 dB (single number quantity)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Comparing with bare slab condition,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was mainly found from 125 Hz to 500 Hz octave band, and the maximum reduction was shown in the 250 Hz octave band.

Noise and Rooms Acoustic Control in Multi-Purpose Space (다목적 공간의 소음 및 실내음향 제어)

  • Jeong, Jeong-Ho;Kim, Jung-Joong;Cho, Cha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04a
    • /
    • pp.42-45
    • /
    • 2008
  • 다목적 공간 및 공연장은 공연 또는 강연을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상점, 식당 및 체육 공간 등 다양한 용도의 공간이 인접되고 있다. 다양한 공간이 인접할 경우 기존의 다목적 공연장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던 다양한 소음 진동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강연 및 공연을 위한 다목적 공간 상부에 식당 및 체육 시설로 활용되는 공간이 배치되어 바닥충격음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바닥충격음의 강당으로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기본 구조체에 대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측정하여 적절한 저감 대책을 수립하였다. 저감대책으로는 상층부 철골 슬래브와 강당의 철골 구조의 구조적 분리, 유연한 마감재 적용, 슬래브로의 충격진동 차단을 위한 제진재 적용, 이중천장 구조 및 천장내부 흡음구조 형성 등의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였다. 또한 강당 공간은 강연 및 집회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절한 잔향시간 및 음성 명료도 확보가 필요하다. 플러터 에코, 과도한 잔향시간, 음의 사각지대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측벽 형태 개선, 천장 반사판 형태를 개선하였다. 또한 측벽에서 진동 등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떨림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측벽 내부를 흡음재로 충전하는 등의 대책을 수립하여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Floor Impact Sound due to Resilient Materials in Apartment Buildings (공동주택의 소음 저감재 설치로 인한 바닥 충격음에 관한 연구)

  • 김병길;김수련;곽규성;오상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5-10
    • /
    • 2004
  • Apartment Buildings have particularity to cluster together, especially, floor is close to resident, it is subject to dissatisfaction about impact noise between up and down floors. However, we require standard for counterplan to reduce the impact noise of floor. In point of fact, it difficult to objective evaluate for performance sound insulation that not physical sound volume but orignal form, means and effect of sound caused to complex noise in apartment house. Unique type of dwelling and structure pattern cause to noise of floor impact which is established by law for standard regulation. It is object to analysis and compare the result of performance sound insulation of upper floor impact and sample construct the subject resilient material of sound insulator

  • PDF

Study on the Test Method of Impact Sound Pressure Level Using the Miniature Mortar (축소모형 시험판을 이용한 바닥충격음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Cheol-Yong;Hong, Gu-Pyo;Lee, Sang-Jun;Kim, Jin-Kyu;Kim, Kyu-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1446-1449
    • /
    • 2007
  • 인정바닥구조는 신청에서부터 인정서 발급까지 기본적으로 2개월 이상이 소요되며, 신청 제품이 많을수록 그 기간은 길어지게 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완충재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완충재 설치 이후 습식으로 시공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와 모르터를 사전에 일정 크기로 제작(축소모형 시험판)한 후 골조가 완성된 현장에서 바닥충격음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완충재 2개 제품에 대하여 축소모형 시험판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와 전체 세대를 시공한 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경량충격음은 축소모형 시험판이 훨씬 낮은 결과를 나타냈지만 중량충격음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로써 축소모형 시험판을 이용하여 바닥충격음을 측정하는 것은 경량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재료 선정 및 제품 시스템 구성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장에서 중량충격음 차단성능을 신속하게 검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