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출아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72초

Transformation-associated recombination cloning에 의한 유전자 분리에 사용되는 target hook에 대한 GC content의 영향 (Effect of GC Content on Target Hook Required for Gene Isolation by Transformation-Associated Recombination Cloning)

  • 김중현;신영선;윤영호;장형진;김은아;김광섭;정정남;박인호;임선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28-134
    • /
    • 2003
  • Transformation-associated recombination (TAR) 클로닝법은 목적 유전자를 포함한 게놈 DNA와 그 유전자의 5' 또는 3' 말단 서열을 포함하고 있는 선형의 TAR vector를 동시에 출아효모의 spheroplast내로 co-penetration 시켜 상동부위에서 일어나는 재조합에 의해 환형의 Yeast Artification Chromosome(YAC)으로 분리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TAR 클로닝법에 의한 목적의 single-copy 유전자 분리 빈도는 전체 형질전환체의 0.01~1% 정도이다. 이러한 TAR 클로닝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Tg.AC transgenic mouse를 모델계로 사용하여 유전자 분리에 대한 target hook 내의 GC content 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한쪽에는 다양한 GC content(18~45%)를 지닌 transgene 특이적 hook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은 B1 반복서열을 가지는 radial TAR vector를 사용하여 transgene 분리 빈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target hook의 GC content는 23% 이하의 경우, ~40%인 경우에 비해 두 배 정도 클로닝 빈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TAR vector를 제작할 때, 유전자 분리에 이용되는 target hook의 GC content는 약 40% 일때 가장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target hook 내의 GC content(65%)위치분포에 의한 차이는 클로닝 빈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accharomyces cerevisiae TSA1의 보존된 아스파트산 잔기 및 세린 잔기의 변이가 과산화효소 활성 및 샤페론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tation at Two Conserved Aspartate Residues and a Serine Residue on Functions of Yeast TSA 1)

  • 이송미;조은이;김강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1-86
    • /
    • 2017
  • 퍼옥시레독신은 티오레독신, 티오레독신 환원효소, NADPH로 이루어진 티오레독신 시스템의 환원력을 이용하여 과산화물을 제거하는 티오레독신 과산화효소 활성과 다른 단백질의 열변성에 의한 응집을 막아주는 샤페론 활성을 갖는 효소이다. 정형 2-Cys Prx군에 속하는 퍼옥시레독신 참고서열 1,024개 중 부분적인 서열 등을 제외한 967개 서열을 정렬하였을 때 75번과 103번 아스파트산 잔기는 99% 보존되었고, 73번 세린 잔기는 97% 보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잘 보존된 아스파트산 잔기와 세린 잔기에 대해 알려지지 않았다. 이 잔기가 TSA1의 두가지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활성도를 알아보았다.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잘 보존된 잔기인 103번 아스파트산은 75번 아스파트산보다 티오레독신 퍼옥시레독신 활성 및 분자 샤페론 활성에 더 영향을 미치고, 103번의 음전하는 분자 샤페론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과산화효소활성에는 75번과 103번의 음전하가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3의 세린 잔기 역시 과산화효소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임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출아 효모 퍼옥시레독신인 TSA2의 79번과 109번의 세린 잔기를 시스테인 잔기로 변이시킨 경우 두 변이 단백질 모두 과산화효소 활성과 샤페론 활성이 증가되었는데 이는 ${\beta}$-sheet 구조의 증가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28]. 이들 두 세린 잔기는 TSA1 구조에 의하면 모두 ${\alpha}$-나선 구조에 위치하였다. 반면에 73번의 세린 잔기는 ${\beta}$-sheet의 C-말단에 위치하는 잔기로 과산화효소 활성에 대한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추후 생체 내 실험을 통하여 아스파트산 잔기의 변이가 과산화물 저항성이 미치는 영향 및 열 저항성(thermal stress)에 미치는 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아스파트산 잔기와 과산화물과의 반응 및 분자 샤페론과의 반응에 장애가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피마자 수집종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astor Bean (Ricinus communis L.) Collections)

  • 김인재;남상영;김민자;노창우;이정관;윤태;송항림;김홍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
    • /
    • 2009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유전자원센타로부터 국내외에서 수집되어진 피마자 40종을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생육 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마자 수집종의 출아소요일수는 15${\sim}$16일에 82.5%가 출현하였으며, 출현에서 개화까지의 소요일수는 63${\sim}$68일이었다. 경장의 분포는 전체 평균이 211.8 cm로 173${\sim}$251 cm의 변이폭을 보였으며, 줄기 굵기는 평균 24.2 mm로 20.4${\sim}$24.9 mm가 52.5%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절수는 평균 18.9개 였으며 그 범위는 13${\sim}$22개로 넓게 분포하였다. 삭수는 주당 7${\sim}$33개로 폭 넓게 분포하였으며, 종실 1${\ell}$ 무게는 평균 502.9 g으로 최소 432.3 g, 최대 572.5 g로 140.2 g의 큰 차이가 있었다. 100립중은 최소 20.3 g에서 최대 38.3 g으로 소립종과 대립종 간 18.0 g의 많은 차이를 보였다. 주당 종 실수는 최소 72개에서 최대 1,011개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 465.2개이었다. 주당 종실수량은 평균 128.1 g이었으며, 최저 20 g, 최고 266.2 g으로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파종기별 채엽이 들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te and number of defoliation by different seed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perilla(Perilla ocymoids cv. Saeyupsildlkkae))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이철희;박충범;김홍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4-149
    • /
    • 2002
  • 채소로서 들깨 잎을 이용함에 따른 종실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하고자 새엽실들깨를 4월 30일부터 20일 간격 4회 파종하여 채엽 유무에 따른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채엽에 따른 개화 및 성숙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출아일수, 개화기 그리고 성숙기는 단축되었으며 , 채엽 유무와 파종기간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채엽 유무에 따른 지상부 생육은 차이가 없었으나, 만파할수록 경장은 140cm에서 96cm, 주경절수는 19마디에서 11마디, 주당 건경중은 541g에서 186g로 감소하였다. 3. 엽수량은 5월 20일까지 파종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화방군장과 주당 화방군수는 파종기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으나, 화방당 삭수는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32개에서 25개로 감소하였으나, 1,000립중은 3.42g에서 4.62g으로 증가하였다. 5. 종실수량은 채엽 유무에 따른 파종기 간 차이는 없었으나, 파종기에 따라 6월 10일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이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 폭이 컸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산림토양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미생물학적 특성과 생리기능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Unrecorded Yeasts from Mountains Soi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nam-do, Korea)

  • 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38-144
    • /
    • 2016
  • 대전광역시 연자산과 충청남도 주요 산림 토양들로부터 분리, 동정한 야생효모들 중 국내 미기록종으로 Pseudozyma prolifica HL9-1, Trichosporon coremiiforme NS19-2, Candida cretensis SA4-1, Cryptococcus diffluens TJ4-3, Cryptococcus pinus YB17-2 등의 유포자효모와 Candida vartiovaarae DD2-5, Pichia galeiformis DM3-5, Candida pseudolambica JW2-3, Trichosporon xylopini NS5-1, Trichosporon moniliiforme NS5-7, Tetrapisispora iriomotensis NS14-2, Tetrapisispora nanseiensis SA17-1 등의 무포자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2균주 모두 구형~타원형이었고 출아법으로 영양증식하였으며 yeast extract 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다. 특히 Candida cretensis SA4-1과 Tetrapisispara iriomotensis NS14-2은 10%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들이었다. Candida vartiovaarae DD2-5외 3균주들은 유당을 자화시켰으며 Tetrapisispora nanseiensis SA17-1은 xylose를 자화시키고 동시에 발효시켰다. Candida cretensis SA4-1과 Tetrapisispara iriomotensis NS14-2 두 호염성 효모들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의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각각 71.3%와 68.4%로 높았다.

대전광역시 도시 자연공원 부엽토와 주변 산림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동정 및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Humus-rich Soil in City Park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the Unrecorded Wild Yeasts)

  • 한상민;이상엽;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5-82
    • /
    • 2018
  • 대전광역시 유성구 복용 자연공원 부엽토와 주변 토양 85점을 채취하여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한 결과, 야생효모 49종 91균주들이 분리, 동정되었다. 가장 많이 분리된 야생효모는 Cryptococcus속 균이었고 Cryptococcus aureus이 11균주로 가장 많았다. 또한 분리균 중 Kwoniella mangroviensis JSS0500, Candida corydali JSS0501, Candida bombi JSS0503, Candida multigemmis JSS0504, Cryptococcus dimennae JSS0506, Cryptococcus saitoi JSS0507, Cryptococcus victoriae JSS0508, Metschnikowia pulcherrima JSS0502, Papiliotrema aurea JSS0505, Debaryomyces vanrijia JSS0509, Occultifur externus JSS0510, Filobasidium floriforme JSS0511과 Yamadazyma scolyti JSS0512 등 13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효모 균주들로 선별되었고 이들 야생효모들은 구형으로 출아법으로 영양증식하였다. Candida corydali JSS0501 등 7균주들이 vitamin을 함유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잘 생육하였고 Cryptococcus victoriae JSS0508 등은 10% NaCl를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들이었다.

향신료 재배 토양과 주변 산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Soils of Spice Fields and Mountains)

  • 김지윤;한상민;박선정;장지은;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1-160
    • /
    • 2020
  • 향신료 재배 토양 내에서 분리한 효모 중 이들의 분포와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의 향신료 재배토양에서 35종 58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Trichosporon moniliiforme균이 우점균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둔산 일대 산림토양에서 46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이들 향신료 토양들과 산림 토양 등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Pseudozyma alboarmeniaca CD23-5, Filobasidium stepposum SFG1-4, Aureobasidium caulivorum HD17-5, Metschnikowia noctiluminum HD29-2, Papiliotrema anemochoreius NK2-12, Hannaella surugaensis DCH25-5, Microbotryozyma collariae DCH1-4, Rhodosporidiobolus lusitaniae DCH30-2, Wickerhamiella azyma DCH46-3등 10균주의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출아, 분열법으로 영양 증식하였다. Filobasidium stepposum SFG1-4균주를 포함하는 5균주들은 포자를 형성하였고 Pseudozyma alboarmeniaca CD 23-5등 3 균주들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모두 생육하였다. Wickerhamiella azyma DCH 46-3는 20% 포도당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균주는 5% NaCl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거의 없거나 10% 미만이었지만,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Filobasidium magnum SFG1-3가 28.6%로 높게 나타났으며,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은 Rhodotorula mucilaginosa GHP40-2 균주의 무세포추출물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 상주보와 금강중류 대청댐 주변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Obtained from Waters and Soils of Riversides in Sangjubo of Nakdong River and Daechung Dam of Geumgang Midstream,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 한상민;박동재;김지윤;임효진;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7-249
    • /
    • 2020
  • 경상북도 낙동강의 상주보와 금강중류인 대전시 신탄진의 대청댐주변의 야생효모들의 종 분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이들지역의 토양과 물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낙동강의 상주보에서 채취한 시료 47점에서 모두 39종 94 균주의 야생효모들이 분리, 동정되었고 Cryptococcus속 균들이 가장 많았다. 이들중Rhodosporidium azoricum JSL-GRU-009를 포함한 3균주들이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또한, 금강중류지역인 대전시 신탄진의 대청대교와 대청댐주변 토양과 물등 130종의 시료들로부터 105종 209균주들이 분리, 동정되었고 이들 야생효모 균주들로부터 Bullera pseudoalba JSL-GRU-005를 포함한 10종의 균들이 국내 미기록 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낙동강 상주보와 대청댐등에서 선별된 13균주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출아, 분열법으로 영양 증식하였다. R. azoricum JSL-GRU를 포함한 9균주들이 포자를 형성하였고 10균주들이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 생육하였다.R. azoricum JSL-GR균주는 20% 포도당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고, R. oryzicola JSL-GRU-003를 포함한 3 균주는 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였다.

까마중(Solanum nigrum L.)의 생육특성과 전초수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olanum njgrum L.)

  • 최성규;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96-602
    • /
    • 2012
  •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까마중을 수집하여 생육특성을 비교한 결과, 1과중은 285~300 mg이고, 1과당 종자수는 28~32개 였으며, 종자의 천립중은 185~193 mg 이었다. 종자 발아율은 60%이상이었으며, 4월 20일 포장에 파종 했을 때 출아기는 5월 12일~15일이었다. 종자 채종 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휴면이 타파되어 파종 후 2~3주가 지나면서 발아가 자연적으로 진행되었다. 생육은 초장 65~75 cm이고, 경직경 7.1~8.2 mm 그리고 1주당 엽수가 237~270 매였고, 가지수는 12~17 매이었다. 수집지역별 생장특성은 유의성이 인정 되지 않았다. 개화는 8월 10일 처음으로 시작되어 9월 4일 까지 계속 개화 되었으며 수집종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까마중의 1주 생체중은 265~279 g이었으며, 건조중은 생체중의 23~25% 정도였다. 10a당 전초수량은 1.298~1.367 kg이었다. 까마중 재식포장에 발생된 해충은 꽈리허리노린재(Acanthocoris sordidus),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itioctopunctata), 아메리카굴잎파리(Liriomyoza trifolii)등 3종이 발생되어 피해를 주었다.

해바라기 수집종의 작물학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Collections)

  • 김인재;남상영;이윤호;김성진;최성열;노창우;이정관;송인규;김홍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10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국내외에서 수집된 해바라기 328종을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바라기 수집종의 출아소요일수는 7~12일이었으며, 개화 소요일수는 55~86일로 폭넓게 분포하였다. 수집종 해바라기의 경장은 평균이 259 cm로 그 분포는 131~345 cm의 변이를 보였고, 성숙일수는 평균 35일이었다. 주당 두화수(頭花數)는 1개~23개로 큰 변이를 보였으며, 두화의 크기는 평균 17.6 cm 로 14.7~21.3 cm가 72.8%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두화당 종자수는 평균 1,430개 정도, 종실중은 평균 91.4 g로 28~379 g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종실길이는 평균 11.7 mm, 범위는 9.0~21.5 mm 이었으며, 종실 폭은 평균 6.4 mm, $1\;{\ell}$ 무게는 평균 322.5 g이었으며, 천립중은 평균 63.3 g, 주당 종실중은 평균 204 g이었다. 생육 및 종실 특성 중에서 두화 당 종자수의 변이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주당종실 중의 변이가 컸다. 수집종들의 형질 간 상관분석 결과, 경장이 클수록 종실폭은 커지고 개화일수도 길어졌으나, 성숙일수와 생육일수는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