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산결과

Search Result 54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의 자어출산에 관한 연구

  • 김경민;이정의;양상근;김성철;황형규;강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8-59
    • /
    • 2003
  • 연안정착성 어류인 쏨뱅이는 대부분의 볼락류와 더불어 자어를 출산하는 종이다. 그러므로 종묘생산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자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이번 실험은 쏨뱅이 어미를 실내사육하고 자어 출산을 유도하여, 우량의 자어를 다량 확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출산시기, 출산횟수, 자어마리수, 자어크기 등 쏨뱅이의 출산생태에 대하여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간 실내 자연출산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1. 쏨뱅이 어미의 출산횟수. 쏨뱅이는 한 마리의 어미가 수회에 걸쳐 자어를 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7년에서 1999년까지 전년 12월에서 4월까지 쏨뱅이 출산기간동안 출산횟수를 조사한 결과 1997년에는 24마리의 어미 중 총 8마리의 어미가 출산에 가입하였고, 이중 5마리는 1회 출산이 이루어 졌으며, 2마리는 2회, 1마리는 3회 출산이 일어났다. 1998년에는 24마리의 어미를 수용하여, 6마리의 어미에서 출산이 이루어 졌으며, 이중에 4마리가 1회만 출산하였고, 각각한 마리가 2회와 4회 출산하였다. 전장 23.6cm(체중 244.7g)의 쏨뱅이 어미는 총 4회 출산하면서 215,000마리의 자어를 나누어 낳았다. 1999년에는 21마리의 암컷 중 11마리가 출산하였다. 이중 9마리가 1회 출산하였으며 2마리가 2회 출산하였다. 종묘생산 된 쏨뱅이를 대상으로 자어 출산을 조사한 결과 만 2년어부터 출산에 가입하고 있었으며 출산기간동안 1회 출산하였다. 2. 출산자어의 마리수. 1997년과 1998년에 각각 24마리, 1999년에 31마리의 쏨뱅이 어미를 이용하여 출산자어 마리수를 조사하였다. 1997년 쏨뱅이 어미(전장 19.2~23.9cm, 체중 150.0~354.0g)에서 1회 출산 할 때마다 18,000~46,000 마리의 자어를 출산하였다 . 마리당 총출산량은 20,000~56,000 마리 였다. 1998년 쏨뱅이 어미 (전장 19.2~24.7cm, 체중 144.3~317.9g)는 1회 출산에 8,000~90,000마리의 자어를 출산하였고, 마리당 총출산량은 8,000~215,000 마리의 자어를 낳아서 개체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1999년에는(어미 : 전장 20.7~25.5cm, 체중 205.5~396.4g) 1 회 출산때마다 7,000~50,000 마리의 자어를 출산하였다. 3. 출산간격. 다회 출산한 쏨뱅이 어미가 첫 번째 출산에서 다음 출산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조사한 결과 13일에서 25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회 출산 한 1998년 쏨뱅이 어미는 첫 번째 출산 후 19일만에 두 번째 출산이 이루어 졌고 각각 13 일과 14 일만에 세 번째, 네 번째 출산이 이루어져 총 46일 동안 4회에 거쳐 자어를 출산하였다. 4. 출산자어의 크기. 1997년 3회 출산한 쏨뱅이의 출산시기별 자어 크기를 조사한 결과 첫 번째 출산에서는 평균전장 4.1$\pm$0.07mm의 자어를 낳았으나 두 번째 출산에서 자어의 크기는 평균전장이 3.9$\pm$0.11mm, 세 번째 3.8$\pm$0.12mm로 점차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 Kim, Du-Seop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67-95
    • /
    • 2007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3년 전국출산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49세 기혼 여자의 총출생아수와 1998년 이후의 출생아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대상을 1997년 이전에 결혼하였거나 재혼한 부인들과 1997년 이후 처음 결혼한 부인들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출산력 수준과 출산행태를 비교함으로써 IMF 외환우기 이전과 이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총출생아수에 대한 분석 결과. 부부의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출산수준은 대체로 뒤집어진 J 자형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출산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높은 집단은 바로 밑의 집단 보다 출산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런데, 최근의 출산수준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과는 뚜렷하게 대조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출산수준 감소의 폭은 기존의 출산수준과 정비례하는 방식으로 미루어졌다. 출산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급속한 출산력 저하가 이루어졌으며 출산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완만하였다. 그 결과, 최근의 출산수준은 중상층에 해당하는 사회경제적 지위를 지닌 집단이 가장 높고, 다음이 최상위 집단, 그리고 하위 집단의 순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경향은 부부의 교육수준, 직업, 종사상 지위, 주관적 계층에 따른 최근 출산력의 변화양상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The Emergence of A New Pattern of Childbearing : Fertility in Korea During The 1980s (1980년대 한국 출산력의 변동추이 분석)

  • Han, Seung-Hyun;Griffith Feeney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6 no.1
    • /
    • pp.59-68
    • /
    • 1993
  • 본 연구는 1980년대 우리나라 출산력의 급격한 변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1988년 한국보건사회 연구원에서 실시한 전국규모의 출산력 및 가족보건조사자료를 기초로 출산순위진도 측정방법에 의하여 출산력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년도별 출산력과 출산순위분포, 출산순위별 진도율 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80년 초에는 출산력이 2.8에서 1986년 이후에 대체수준이하인 1.8로 계속적인 하향추세를 보였다. 출산순위별 진도율에서는 둘째에서 세째아이로 진도한 비율이 1980년초에서 1986년사이에 약 71%가 감소하였고, 세째순위에서 네째순위로 33%가 감소하였다. 세째이상으로 진도한 비율의 감소율이 90%를 상회하고 이중 둘째에서 세째사이의 변동율이 50%를 나타내었다. 출산순위분포에서는 둘째아이에 64%가 집중되어 있으며 출산진도율은 결혼에서 첫째아이로 진도되는 확률이 90%, 첫째에서 둘째로 85%, 둘째에서 세째로는 18%가 나타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한국부인의 82%가 둘째아이에서 단산하는 경향을 보이고 한자녀만 갖는 확률은 15%로 풀이되고 있다.

  • PDF

기혼여성의 자녀출산계획에 대한 공간효과 분석

  • Sin, In-Cheol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2
    • /
    • pp.59-85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인구학에서 공간적 접근을 시도하는 논의들이 활발해지는 경향과 함께 지역 적합적 저출산 대응정책의 필요성의 대두라는 정책적 수요에 부합하고자 자녀출산계획에 있어 지역의 공간적 효과가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혼여성의 연령, 출산한 자녀의 수가 자녀를 출산할 계획을 가질 확률에 대한 비선형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층모형과 같이 최근 지역연구에서 이용되고 있는 실증분석방법들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Geo-Additive Model을 적용하였다. 동 방법론은 한 모형 내에서 공간의 구조적 효과와 비구조적 효과, 연속형 변인의 비선형효과 등을 동시에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분석자료로 통계청의 2005년도 인구주택총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 중 2% B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혼여성이 자녀를 출산할 계획을 가질 확률에 기혼여성의 연령과 출산한 자녀의 수는 비선형적 효과를 주었으며, 특히 각 개인들은 현재의 출산 상태에서 자녀 한명을 추가로 출산하는 것이 동일한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혼여성들의 첫출산 시점이 결혼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고 결혼코호트에 따라 다르더라도 첫출산 자체가 여전히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가정을 받아들인다면,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정책의 대상은 첫째아를 이미 출산한 여성들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녀를 출산할 계획을 가질 확률에 지역의 구조적 공간효과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 합계출산율의 공간 자기상관분석 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출산계획의 구조적 공간효과가 양의 효과를 미치는 지역에서는 실제 출산행위인 합계출산율도 높지만, 구조적 공간효과가 부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합계출산율도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자체들의 정책수요나 자원 및 재정의 부담능력 등 지역별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정책의 추진을 지양하고, 지역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에 적합한 출산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Chung, Sung-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5 no.1
    • /
    • pp.31-5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in Korea. Using a recent nationwide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low fertility policies on plan of further birth among young married wom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ir children. Awareness of polic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is relatively high, showing the great differences among policy measures. In contrast, the degree of polic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is very low. ranging from 2.0% to 27.6%. The distribution of awareness and experienc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awareness of polic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such as economic support, promotion of equality of the sexes significantly affects on plan of further birth. However, this effects disappear when we apply parity specific approach. For example, the plan for first child is quite universal as no difference is found by their awareness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Similar results are found in married women having plan for second child and third child.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experience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the results show that economic support, work-family coexistence, and promotion of equality of the sexes significantly affects the plan of further birth. Like awareness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these effects disappear as we apply parity specific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differs by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Thus, consideration of such difference would help us deepen our understanding of fertility behaviors and polic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 PD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Tenure and Birth in Newlywed Couples by Using Panel Data (패널자료를 이용한 신혼가구의 주택점유형태와 출산 관계 연구)

  • Shin, Hyungsub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3
    • /
    • pp.39-55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ousing tenure and childbirth by exploiting the correlation probability effect method that accounts for household heterogeneity. Using the newlywed household panel from 2011 to 2022, we find that home own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childbirth in newlyweds. Specifically, newlywed households with housing tenure show a 6.2%p higher birth rate and a 5.7%p higher second childbirth than newlywed households living in rented houses. For the case of first childbirth, we employ the probability effect probit model since the endogeneity was not detected between housing tenure and birth rate. We document the differential effects of housing tenure on childbirth in that the first childbirth rate is higher for households without housing tenures. The negative effects on first childbirth could be attributed to the economic burden due to initial housing ownership, while housing tenure could eventually provide housing stability, leading to positive effects on more than one childbirth. Finally, we identify that households with childbirth over the last year show a 4.2%p and 3.9%p lower probabilities of housing tenure in the total sample and second childbirth sample,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the increased living cost due to childbirth could delay home ownership.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천 추이와 결정요인

  • Jeong, Seong-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1-22
    • /
    • 2005
  •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천과 그 결정요인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출산력 감소의 속도와 인구변천 단계에서의 출산력 변화, 그리고 인구변천 후기에 출산력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지난 40년간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화 추이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변천 과정을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련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사회경제 지표들과 영아사망률 및 출산력과의 관계는 대부분 예상했던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관계의 통계적 유의성은 조사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표 중 문맹률은 조사 시기에 관계없이 모두 출산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고 있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출산력이 낮아진다는 일반적인 견해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화율과 소득이 각각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은 시기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성을 달리 하고 있다. 연구 모형에서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영아사망률은 출산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영아사망률을 통하여 출산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도 비교적 잘 드러나고 있다.

Influence of the Hoping Number of Children, the Policy of Childbirth, and the Causes of Reduced Childbirth to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in Health-Line College Students (일 지역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희망자녀수, 출산정책, 출산저하 원인이 출산인식에 미치는 영향)

  • Jung,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5031-5041
    • /
    • 2014
  • Purpose: The influence of the hoping number of children, the policy of childbirth, and the causes of reduced childbirth to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which will be the subject of future childbirth, was surveyed by health-line college students. Results: In terms of the attitude to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childcare, insufficient support of childbirth, and breeding of descendants had the largest influence on childbirth, and in terms of the attitude to the hoping number of children, economic reasons, childcare expenses, and education expenses had the largest influences. Second, when the causes of social demographic properties influencing childbirth was analyzed, sex showed significance to all the factors on the hoping number of children in terms of growing areas, to all the factors excluding childbirth policy in terms of the economic level, and hoping number of children in terms of the parents' jobs. Third, when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a correlation was found in every area excluding the hoping number of children in terms of the causes of childbirth reduction and economy, childbirth policy in terms of the personal causes, personal factor in terms of the causes of childbirth policy, and family factor in terms of the causes of childbirth reduction and economy. Fourth, when the influences of the causes of hoping number of children, childbirth policy, and childbirth reduction to perception of childbirth were analyzed, the case hoping no or one child, the case hoping 2 or more children, childbirth policy, and childbirth reduction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Conclusion: The childbirth rate will be improved if the following occur: childbirth policy and laws are established at the level of government,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and operated for the formation of the value of perception of childbirth, and a new support policy is established after analyzing the current childbirth support policie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in college students who are future subjects of childbirth, successive studies will be needed to verify the effect of aforesaid measures.

Influences of Quality and Supply of Infrastructures related with Pregnancy and Childbirth on intentions of childbirth and Settlement (지역내 임신·출산인프라 수준이 출산 및 거주지이전 의사에 미치는 효과)

  • Jehee Lee;Hee-Sun Kim;Eunju Choi;Jong-Keun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3
    • /
    • pp.153-158
    • /
    • 2023
  •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 between pregnancy-childbirth infrastructures and intention to childbirth and relocation. We conduc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infrastructure level over the people's intentions to have any additional pregnancy and to relocate to other city. The results have showed that the younger the age and the higher the income is, the stronger the intention to have an additional pregnancy becomes, and that of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infrastructure, only the level of pediatrics service would affect the intention to have another pregnancy. As for the intention to relocate or move to another location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such intention tends to decline where there are overall sufficient and good pregnancy and childbirth infrastructure in place.

Factors influencing Fertility intentions of unmarried men and women - Appl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미혼 남녀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 계획적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적용)

  • Kim, Jeong-Yeon;Kim, Young-Ju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93-100
    • /
    • 2022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at applies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birth intention of unmarried men and women.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05 to April 23, 2021 for 168 unmarried men and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in general characteristics, male, old, highly educated, occupational, and non-regular work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hildbirth inten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constitu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childbirth, the greater the subjective norm, and the greater the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 higher the intention to give bi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fertility intention on men and women. The factors affecting fertility intention in men was attitud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62.2% and the factors affecting fertility intention in women were attitude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on fertility intention was 69.0%.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give birth, a comprehensive approach is needed, and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low birth rat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