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력 저하

Search Result 45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Converter Design for a Photovoltaic-Powered Bag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컨버터를 적용한 PV 충전 가방)

  • Lee, Hyunji;Kim, Katherine 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175-176
    • /
    • 2016
  • 기존의 태양광 시스템은 대체로 고정된 형태로 사용되었지만 태양광 시스템의 응용분야가 확장됨에 따라 전기자동차, 웨어러블 기기 등의 이동식 태양광 시스템 또한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동식 태양광 시스템의 경우 불균일한 태양빛에 많이 노출되며, 이러한 불균일한 태양빛은 극심한 시스템 효율 저하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DPP) 컨버터를 병렬로 적용한 photovoltaic (PV) 충전 가방을 제시하였다. DPP 컨버터는 PV 충전 가방이 불균일한 태양빛에 노출되어도, 각각의 태양전지가 고유의 최대 전력점에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PV 충전 가방은 4개의 태양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분한 태양빛 아래, 5 W의 출력전력을 가질 수 있다. PV 충전 가방은 하나의 front-end 컨버터와 4개의 DPP 컨버로 구성되었으며, P-SIM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front-end 컨버터와 DPP 컨버터의 정상 작동을 입증하였다. 또한 동일한 태양빛에 노출된 경우, 기존의 연결 방법 중 하나인 병렬 배열은 1.49 W의 출력 전력을 가진 반면, DPP 시스템은 4.35 W의 출력 전력을 가져 약 3배 높은 출력 전력을 확인하였다.

  • PDF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의 광추출효율 향상을 위한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공정

  • Byeon, Gyeong-Jae;Hong, Eun-Ju;Park, Hyeong-Won;Lee, He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27.2-27.2
    • /
    • 2009
  • 현재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는 액정소자의 백라이트유닛, 모바일폰, 차량용램프, 교통신호등 등 다양한 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응용분야는 앞으로도 크게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는 발광다이오드의 저전력, 장수명, 친환경적인 장점에 의한 것으로, 일반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를 미래의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출력이 보다 향상되어야 한다. 발광다이오드의 광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는 다양한 문제점이 있지만 특히 낮은 광추출특성으로인한 광출력저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의 광추출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공정을 도입하였다. UV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서 p형 질화갈륨 및 인듐주석산화물 투명전극 층에 sub-micron 급 광결정패턴을 형성하였으며, 광루미네선스와 전기루미네선스 측정을 통하여 광결정패턴으로 인한 광출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SPA-based X-band Transmitter with Graceful Degradation (점진적 성능저하 기능을 가지는 X-대역 SSPA 송신장치 개발)

  • Song, Hyeong-Min;Kim, Ji-Deok;Kang, Hyun-Chul;Song, Jae-Gyeong;Park, Chul-Soon;Rhee, Kye-Jin;Lee, Choung-Hyun;Kim, Dong-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5
    • /
    • pp.853-862
    • /
    • 2019
  • In this paper, we designed a 4.5kW X-band SSPA transmitter to replace the TWTA search radar transmitter with low MTBF and high maintenance cost. The transmitter is designed for the performance of over 520W average transmission output and 4.0kW maximum transmission output. In particular, by implementing a graceful degradation, it is designed to maintain better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TWTA transmitter up to 40% (13 assembly modules) failure level of 200W power amplifier assembly. Through an experiment on the effective range of X-band, the performance of proposed transmitter verified the values of the maximum transmission output 6.1kW, spurious output 69.16dBc, RF pulse rising time 15.2ns and RF pulse falling time 16.3ns. The experiment confirmed the change of output power according to the graceful degradation due to fault injection.

Numerical Modelling of Weak Oscillation Phenomena in RF Repeaters (RF중계기 미세발진현상의 수치적 모델링)

  • Lee Hak-Yong;Song Seung-Joon;Lee Hong-Bae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8a
    • /
    • pp.43-45
    • /
    • 2002
  • 이동통신 무선망 설계 시에는 전파강도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부분적인 음영지역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지국 신호를 재증폭하는 중계기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중계기는 입출력 안테나 사이에 충분한 격리도를 확보하지 않으면 증폭된 출력신호가 입력단으로 유입되어 시스템 발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격리도에 따라 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저하시키는 수준의 미세발진이 발생하거나 출력증폭기의 한계점에 도달시키는 완전발진이 발생 된다. 기지국에 입력된 신호를 복조하여 신호의 상태에 따라 단말기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중계기의 발진현상은 시스템 성능의 현저한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으로 발견된 중계기 발진현상을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중계기의 특성 및 입출력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와 미세발진현상과의 관계를 규명한다. 아울러 실험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링의 타당성을 증명한다.

  • PDF

A Study on the Solar Cell Output characteristics by shadow effect (그림자 영향에 따른 태양전지의 출력특성에 관한 연구)

  • Piao, Z.G.;Choi, S.J.;Choi, M.H.;Lee, S.K.;Kim, Y.J.;Cho, G.B.;Baek, H.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162-1163
    • /
    • 2008
  • 태양전지 발전량은 온도와 일사량에 의존하고 또한 태양전지 어레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일출 및 일몰시에 어레이에 그림자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태양전지 발전량의 감소원인이 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격거리에 따른 그림자 영향과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어레이 이격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하여 12월 20일 9:30부터 오후 15:30시 태양고도를 기준으로 이격거리에 따른 그림자영향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이격거리의 배율을 2이상으로 선정하면 양호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그림자 영향을 받으면 출력전류가 현저히 저하됨으로서 발전량이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온고습 환경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Kim, Ju-Hui;O, Won-Uk;Bae, Su-Hyeon;Kim, Dong-Hwan;Park, No-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94.1-494.1
    • /
    • 2014
  • 태양광은 세계적으로 유망한 에너지 중의 하나이며, 태양광 모듈은 실제 옥외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장기 신뢰성과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최소 20년 이상을 안정적으로 작동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실제 태양전지는 옥외에 장기 노출됨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며, 그 원인으로는 셀 균열, 부식, 접착 강도 손실 및 박리, 그리고 변색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식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완화하기 위해 희생금속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성능 향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태양전지는 4 cell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미니 모듈을 이용하였고, 희생금속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두 종류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한 시료에는 Al 희생금속을 태양전지 리본 위에 부착하였으며, 나머지 한 시료는 비교 시료로 Al 희생금속을 부착하지 않았다. 시료는 $85^{\circ}C$ 85%의 상대습도인 고온고습 조건에서 2500시간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2500시간의 고온고습 시험이 진행된 시료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희생금속이 없을 경우 28.8%의 출력 저하가 있었으며, 희생금속이 있을 경우 19.3%의 출력 저하가 확인되었다. 또한, 희생금속이 없을 경우, 충실도는 21.5% 감소하였으며, 단락전류 역시 약 6% 정도 감소하였다. 반면, 희생금속이 있을 경우, 충실도는 16.1%로 감소하였고, 단락전류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

Automatic conversion circuit of transformer Vcc auxiliary windings under wide output voltage range (넓은 출력전압 범위에서의 변압기 Vcc 보조 권선비 자동 변환 회로)

  • Choi, Shinwook;Kim, Moonyoung;Kang, Jeongi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11a
    • /
    • pp.83-85
    • /
    • 2018
  • 저전력에 사용되는 Flyback 컨버터에서는 일반적으로 트랜스포머의 보조권선을 통하여 구동 IC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하지만, USB PD와 같이 5~20V의 넓은 출력전압을 가지는 경우 IC Vcc 정격 전압을 위하여 Linear regulator 사용이 필수적이나, 이는 소자발열 및 시스템 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출력전압 변동에 따라 변압기의 보조권선을 변환 시키는 회로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PWR원전의 출력손실 방지기법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6 no.12 s.46
    • /
    • pp.47-53
    • /
    • 1986
  • 다음에 소개하는 간단한 기법은 최근 미국에서 원전의 열소비율저하원인을 구명하고 갑작스러운 기기고장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수정하며 설비개선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정확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 PDF

Study on PID Phenomenon Reduction for Output Recovery of Photovoltaic Module (태양광 모듈의 출력회복을 위한 PID 현상 저감에 관한 연구)

  • Sim, Woosik;Jo, Jongmin;Kim, Jicha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366-367
    • /
    • 2018
  • 본 논문은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저하 특성을 야기하는 PID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현상의 발생원인 및 출력회복을 위한 PID 저감 기법을 연구하였다. 태양광 모듈의 프레임과 셀 간에 발생하는 전위차로 인한 PID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인 분극현상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PID 현상이 태양광 모듈의 출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I-V 특성곡선 변화를 통해 해석하였다. PID 현상의 발생 원인을 기반으로 태양광 모듈의 전극 출력단인 양극과 음극을 단락시키고 접지된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태양광모듈의 출력특성을 회복하는 PID 저감 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The Effect Of Electrical Output Of PV Module According to Mechanical Stress (기계적 스트레스가 태양전지모듈의 전기적 출력에 미치는 영향)

  • Kong, Ji-Hyun;Ji, Yang-Geun;Kang, Gi-Hwan;Kim, Kyung-Su;Jung, Tae-Hee;Shin, Jun-Oh;Kim, Tae-Bum;Yu, Gwon-Jong;Ahn, Hyung-Guen;Han, Deuk-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126_1127
    • /
    • 2009
  • 태양전지모듈에 물리적 하중이 가해지면 전면유리의 연신율에 따라 모듈이 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 열 봉합되어 있는 태양전지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한다. 이 균열이 태양전지모듈의 단락전류 및 개방전압의 출력을 떨어뜨리는데 이는 균열로 인한 저항성분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모듈내의 특정한 셀에서 미세균열(Micro-crack)의 발생은 출력의 저하, 셀 출력 Mismatch로 인한 모듈 내의 Hot-Spot발생, 균열로 인한 저항성분으로서의 열 발생과 같은 전체 태양전지모듈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질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가운데 기계적 스트레스에 의한 미세균열(Micro-crack)이 전기적 출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본 논문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