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력 밀도

Search Result 44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Nonlinear Approximations Using Modified Mixture Density Networks (변형된 혼합 밀도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선형 근사)

  • 조원희;박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543-546
    • /
    • 2004
  • Bishop과 Nabney에 의해 소개된 기존의 혼합 밀도 네트워크(Mixture Density Network)에서는 조건부 확률밀도 함수의 매개변수들(parameters)이 하나의 MLP(multi-layer perceptron)의 출력 벡터로 주어진다. 최근에는 변형된 혼합 밀도 네트워크(Modified Mixture Density Network)라고 하는 이름으로 조건부 확률밀도 함수의 선분포(priors), 조건부 평균(conditional means), 그리고 공분산(covariances) 등이 각각 독립적인 MLP의 출력벡터로 주어지는 경우를 다룬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건부 평균이 입력에 관해 선형인 경우를 위한 버전에 대한 이론과 매트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일반적인 혼합 밀도 네트워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혼합 밀도 네트워크의 출력인 다층 퍼셉트론의 매개변수를 각각 다른 다층 퍼셉트론에서 학습시키는 변형된 혼합 밀도 네트워크를 설명한 후, 각각 다른 다층 퍼셉트론을 통해 매개변수를 얻는 것은 동일하나 평균값은 선형함수를 통해 얻는 혼합 밀도 네트워크 버전을 소개한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이러한 혼합 밀도 네트워크를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본다.

  • PDF

LGP Pattern Design by Using a Pattern Density Function with Simple Exponential Function (간단한 지수함수를 패턴 밀도 함수로 이용한 LGP 패턴 설계)

  • Kim, Young-Chul;Kim, Dae-Wook;Oh, Tae-Sik;Lee, Yong-Min;Ahn, Seung-Joon;Kim, Ho-Seob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1 no.3
    • /
    • pp.97-102
    • /
    • 2010
  • A pattern density function using simulation analysis for controlling LGP output distribution was proposed. The pattern density function was found as [Pexp(-y/70)+Qexp(+y/25)]R. We analyzed the LGP output distribution of a hemi-sphere pattern using the function and then found that its output distribution was clear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equi-distance pattern. We found that the density function works well for the pyramid pattern case as well as.

Stochastic Parameter를 가지는 집속 유동계에서의 선밀도 불균제 한계

  • Heo, Yu;Kim, J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54-54
    • /
    • 2004
  • 집속체의 드래프트 공정(롤러 인발 공정)의 경우, 선밀도의 변동성(irregularity)은 드래프트 비, 롤러 간격 등의 공정조건과 집속체, 응집도, 엉킴 등으로 대표되는 openness 애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계 내에서의 집속체 동적거동을 묘사하는 기본 방정식을 바탕으로 openness 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모델의 주요 파라메타($\mu$)의 변동을 auto-covariance function 으로 묘사되는 확률과정 신호(stochastic signal)로 생각하여, 이 신호를 생성하고,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출력 집속체의 선밀도 변동을 살펴 보았으며, 출력 집속체의 선밀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출력구간 근처에서 선밀도 불균제 특성을 해석하였다.(중략)

  • PDF

Nonlinear Approximations Using Modified Mixture Density Networks (변형된 혼합 밀도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선형 근사)

  • Cho, Won-Hee;Park, J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4 no.7
    • /
    • pp.847-851
    • /
    • 2004
  • In the original mixture density network(MDN), which was introduced by Bishop and Nabney, the parameters of the conditio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re represented by the output vector of a single multi-layer perceptron. Among the recent modification of the MDNs, there is the so-called modified mixture density network, in which each of the priors, conditional means, and covariances is represented via an independent multi-layer perceptron. In this paper, we consider a further simplification of the modified MDN, in which the conditional means are linear with respect to the input variable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ATLAB program for the simplification. In this paper, we first briefly review the original mixture density network, then we also review the modified mixture density network in which independent multi-layer perceptr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learning for the parameters of the conditional probability, and finally present a further modification so that the conditional means are linear in the input.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ed method is shown via an illustrative simulation example.

High Efficiency Output Filter Design and Application for High Accuracy and High Stable Switching Type MPS (고정밀, 고안정 스위칭 전자석 전원장치를 위한 고효율 출력필터의 설계 및 응용)

  • Kim, S.C.;Ha, K.M.;Huang, J.Y.;Choi, J.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998-999
    • /
    • 2006
  • 포항가속기 연구소의 선형가속기에는 22개의 솔레노이드 전자석, 16개의 사극전자석 그리고 전자빔의 궤도 조절을 위한 16개의 2극 전자석이 있다. 선형가속기의 빔을 저장링으로 공급해주는 빔 전송선에는 22개의 사극전자석과 13개의 빔 궤도 조절용 이극 전자석이 있다. 전자빔의 정밀 제어를 위하여 전자석의 전원장치는 출력전류 분해능은 16bit 이상이고 출력전류의 안정도는 최대출력에 대하여 ${\pm}50ppm$ 이하의 고정밀 고안정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풀-브릿지 4상한 DC/DC 컨버터를 이용한 전자석전원장치를 개발 하였다. 전원장치의 입력전압 직류 40V이고 출력전류는 단방향 전원장치는 최대 50A/50V 이고 양방향 전원장치는 ${\pm}20A/20V$이다. 스위칭 주파수는 50 kHz이다. 전원장치의 출력부에 필터가 없으면 출력전류에는 스윗칭과 관련된 주파수 성분이 포함 되고 전자빔은 이들 주파수 성분에 대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출력 필터의 cut-off 주파수는 5 kHz 이하가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밀 고안정 스윗칭 전자석전원장치를 위한 출력필터의 설계, 제작 그리고 이를 적용한 전자석전원장치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 한다.

  • PDF

축전 결합 차폐막(faraday shield)이 없는 평판형 유도 결합 아르곤 플라즈마에서 전자 에너지 분포 및 플라즈마 전위에 대한 연구

  • 서상훈;홍정인;장홍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17-217
    • /
    • 1999
  • 축전 결합 차폐막(Faraday shield)이 없는 평판형 유도 결합 플라즈마 장치에서 방전 모드 전이 중출력 결합 변화동안 전자 가열에 대한 연구가 행하여졌다.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EEDF)의 전개가 RF 보상탐침을 사용, 교류 충첩 방법으로 측정된다. RF 출력에 따른 전자 밀도, 유효 전자 온도 및 특히, 플라즈마 전위의 동향이 제시된다. bi-Maxwellian EEDF를 가진 플라즈마에서 플라즈마 전위가 고 에너지 전자 그룹에 의해 결정됨을 보이고, 플라즈마 전위와 EEDF 상호 관계가 논의된다. 실험 결과로부터 RF출력에 따른 플라즈마 전위의 변화가 전자 가열에 있어 축전 출력 결합의 상대적인 기여의 변화를 반영함을 알 수 있다.

  • PDF

A New Weinberg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Low Current Ripple for Geosynchronous Satellite (정지궤도 위성에 적합한 높은 효율 및 작은 출력 전류 리플을 갖는 Weinberg 컨버터)

  • Kim, Dong-Kwan;Lee, Nayoung;Park, Jeong-Eon;Moon, Gun-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216-218
    • /
    • 2018
  • Weinberg 컨버터는 입출력 전류 리플이 작아 필터 사이즈가 작고, 스위치 및 다이오드가 소프트 스위칭을 하여 높은 효율을 갖는 장점으로 인해 정지궤도 위성용 배터리 방전 조절기와(Battery Discharge Regulator, BDR) 같이 높은 전력밀도 및 높은 효율을 요구하는 제품에 유용한 승압형 컨버터이다. 최근 정지궤도 위성의 큰 전력 요구사양에 맞춰 버스 전압 사양이 커지면서 Weinberg 컨버터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첫째 다이오드의 큰 순 방향 전압 강하로 인해 도통 손실이 증가한다. 둘째 다이오드의 기생 커패시터와 누설 인덕턴스간의 공진으로 인한 전압 맥동이 심화되면서 EMI 특성이 악화된다. 셋째 스위치 턴-오프 시 발생하는 큰 출력 전류 스파이크로 인해 출력 필터 크기가 커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 스위치 및 커패시터를 이용해 다이오드 차단시 그 전압을 기존보다 크게 낮춤으로 써 도통 손실 개선 및 EMI 특성 개선을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출력 필터 사이즈 저감을 위해 출력 전류 리플을 줄일 수 있는 추가 스위치의 적절한 구동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하는 컨버터는 더욱 높은 전력 밀도 및 효율을 얻을 수 있어 차세대 정지궤도 위성용 BDR에 적합하다. 본 컨버터는 100V/750W의 출력전압/전력을 갖는 시작품을 통해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Effect of Flow Channel Shape on Performance in Reverse Electrodialysis (유로 형상이 역전기투석 장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Kwon, Kilsung;Kim, Deok Han;Kim, Daejo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1 no.5
    • /
    • pp.347-352
    • /
    • 2017
  • Reverse electrodialysis (RED), which generates electrical energy from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two solutions, has been actively studied owing to its high potential and the increased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resulting from the Paris Agreement on climate change. For RED commercialization, its power density needs to be maximized, and therefore various methods have been discussed. In this paper, the power density was measured using various flow shapes based on the aspect ratio, opening ratio, and number of distribution channels. We found that the power density is enhanced with a decrease in the aspect ratio and an increase in the opening ratio and number of distribution channels.

Optimization of Quantum Dot Structures for High Power 808 run Laser Diode (고출력 808 nm 레이저 다이오드를 위한 양자점 구조 최적화)

  • Son, Sung-Hun;Kim, Kyoung-Chan;Chan, Trevor;Seo, Yu-Jeong;Kim, T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30-130
    • /
    • 2010
  •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는 광 디스크, 고체 레이저 여기, 광섬유 증폭기, 레이저 프린터, 위성 간 통신 등의 여러분야에 응용되고 있고. 고효율, 저가격, 초소형등과 같은 장점으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최근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출력 향상 및 열적 안성성를 위해 양자점(Quantum Dot) 응용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양자점 기반 레이저 다이오드는 전자가 3차원으로 구속되어 있어 열적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낮은 문턱전류밀도로 인해 열 발생이 적어 광출력 감소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면에서의 재결합 확률이 낮아 표면재결합에 의한 신뢰성 열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고신뢰성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개발할 수 있다. 고출럭 808 nm 양자점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을 위해서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활성 영역인 양자점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된 고출력 808 nm 양자점 레이저 다이오드 에피 성장을 위해 에피 구조에 대한 2D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양자점 밀도 및 에피층 변화에 따른 최적 양자점 구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