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축 추출

Search Result 32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mparison of Accuracy for Chromosome Classification using Different Feature Extraction Methods based on Density Profile (Density Profile 추출 방법에 따른 염색체 분류정확도 비교분석)

  • Choi, Kwang-Won;Song, Hae-Jung;Kim, Jong-Dae;Kim, Yu-Seop;Lee, Wan-Yeon;Park, Cha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226-22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density profile 특징추출에 기반한 염색체 자동분류방법들의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density profile은 염색체의 밴드패턴을 가장 잘 표현한 특징으로 염색체의 중심축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밝기 값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염색체의 밴드패턴은 염색체의 끝단까지를 잘 표현해주어야만 정확한 염색체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염색체의 중심축을 추출하여 염색체 끝단까지 확장 처리한 방법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염색체 중심축에 위치한 화소만을 이용한 프로파일은 잡음에 민감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염색체의 중심축에 대한 화소 값 대신 주변 밝기 값들에 대한 평균을 이용한 국소평균방법과 중심축의 수직라인 상에 존재하는 화소 값들에 대한 평균을 구한 수직평균방법을 비교하였다. 분류알고리즘은 k-NN을 사용하였고, 실험데이터는 (주)Gendix 로부터 제공받은 임상적으로 정상인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으로부터 추출한 4600개의 염색체 영상을 훈련데이터와 테스트데이터로 각각 50%씩 랜덤하게 분리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중심축을 확장하고 수직평균에 대한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추출하여 분류한 경우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Feature Extraction by Line-clustering Segmentation Method (선군집분할방법에 의한 특징 추출)

  • Hwang Jae-H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4 s.107
    • /
    • pp.401-408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lass of segmentation technique for feature extraction based on the statistical and regional classification at each vertical or horizontal line of digital image data. Data is processed and clustered at each line, different from the point or space process. They are designed to segment gray-scale sectional images using a horizontal and vertical line process due to their statistical and property differences, and to extract the feature. The techniques presented here show efficient results in case of the gray level overlap and not having threshold image. Such images are also not easy to be segmented by the global or local threshold methods. Line pixels inform us the sectionable data, and can be set according to cluster quality due to the differences of histogram and statistical data. The total segmentation on line clusters can be obtained by adaptive extension onto the horizontal axis. Each processed region has its own pixel value, resulting in feature extraction. The advantage and effectiveness of the line-cluster approach are both shown theoretically and demonstrated through the region-segmental carotid artery medical image processing.

The study on the extraction of the minutiae and singular [oint for fingerprint matching (지문인식 정합을 위한 특징점과 특이점 추출 연구)

  • 나호준;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75-278
    • /
    • 2004
  • 지문 인식 방식은 기존의 영상 처리와는 달리 여러 가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지문에는 기준 좌표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회전되어 채취된 지문에 대한 처리가 어려우며, 신체의 일부로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채취될 때마다 모양이 달라 보이고, 지문이 손상될 수 있어 저 품질의 지문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성의 흐름 패턴을 이용한 특이점 추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추출된 특이점 정보는 현재 구현되어진 특징점 추출 정보와 연계해 정합을 위한 기준점으로 활용한다. 기준점을 축으로 생성되어진 직교좌표는 지문 영상의 회전변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여 지문의 정합도를 높여준다.

  • PDF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Display with Twin Image Noise Rejection Using Off-axis Hologram Converting (탈 축 홀로그램 합성을 이용한 쌍 영상 잡음 제거와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 Kim, You-Seok;Kim, Tae-Geun;Kim, Jin-Tae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0 no.6
    • /
    • pp.328-333
    • /
    • 2009
  • We proposed a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display technique without twin image noise by converting a complex hologram to an off-axis hologram. To implement the proposed technique we record the complex hologram of a three dimensional object that is composed of two slides located with different depth locations. We added spatial carrier to the complex hologram and after that, extract the real part of the spatial-carrier-added hologram. This converts the complex hologram to an off-axis hologram. We also reconstruct the off-axis hologram using a spatial light modulator for three dimensional display.

Activity Recognition using a 3-axis Accelerometer on a Smartwatch and a Barometer on Smartphone (스마트워치의 3축 가속도 센서와 스마트폰의 기압센서를 이용한 행동 인식)

  • Cho, Hunyeon;Ha, Sangho;Moon, Chanki;Nam, Y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51-55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워치의 3축 가속도 센서와 스마트폰의 기압센서를 이용한 행동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워치에서 획득한 3축 가속도 값을 수직, 수평 성분으로 추출하고, 스마트폰에서 획득한 기압센서의 차이를 추출하여 행동을 인식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3축 가속도 센서 기반의 행동 인식률은 66.62%를 보였으나 제안한 3축 가속도 센서와 기압센서를 이용한 행동인식률은 95.45%를 보였다.

Evaluation of Lighting Environments in Residential Area and Task Area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이선영;김상진;고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10-313
    • /
    • 2002
  • 본 연구는 공간특성이 서로 다른 두 공간,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평가구조를 비교 검토하고 각 공간의 행위에 적합한 조명환경을 제시하고자 슬라이드 사진을 이용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대상 슬라이드수는 주거공간이 28장, 사무공간이 26장이다 실험은 각 공간별로 분위기항목과 행위항목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분위기항목이 21가지, 행위항목이 14가지이다. 각 공간의 평정치를 이용하여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거공간과 사무공간 모두 <활동성>,<안정감),<고급감)의 3인자축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주거공간의 경우는 <활동성>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으며, 사무공간의 경우는 <고급감>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다. 행위항목의 인자분석 결과는 주거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단란행위>의 3인자축이, 사무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의 2인자축이 추출되어 주거공간의 경우, 활동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은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반대로 활동성평가가 낮은 조명환경일수록 휴식행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공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업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 인자는 활동성으로 나타나 활동성평가 높을수록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후식행위는 평가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and Flight Test Verification of T/A-50 Engine Horsepower Extraction Capability (T/A-50 엔진 축마력(Horsepower) 능력 해석 및 비행시험 검증)

  • 이상효;이부일;정주현;이상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7
    • /
    • pp.105-111
    • /
    • 2006
  • The aircraft engine is to generate thrust for the maneuver of aircraft and to provide the power to the related hydraulic system and electrical system. Since the power provided to the systems is extracted from the high pressure compressor of aircraft engine, the extracted power is called horsepower extraction (HPX). If the HPX provided from the engine is smaller than the HPX required from the related systems, there could be abnormal engine behavior, like engine rollback or stall. Analysis on comparing the required HPX and the engine HPX capability had been performed during the T/A-50 FSD (Full Scale Development) period. The analysis results make the engine schedule changed, and T/A-50 flight test has been performed with the changed engine schedule. The analysis results and changing the engine control schedule were verified to be valid with the flight test results.

A Study on the Statistical Diagnosis for A Rotor System (로터시스템의 통계적 이상진단 시스템에 대한 연구)

  • 김성철;김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17-720
    • /
    • 2000
  • 베어링을 이용한 회전축은 모든 회전축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회전축은 발전기 터어빈, 고정밀 공작기계 등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대규모의 회전축에 이상이 생긴 경우, 이상을 방치하고 계속 사용하게 되면 기계전체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전체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리 이상을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종류 로터시스템 여러 종류의 이상진단을 시도하여 왔으며 앞으로도 많은 종류의 이상진단이 이루어지리라 생각한다. 다양한 형태의 이상진단은 시스템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기법과 추출하는 센서의 특징을 파악하여 이상진단 알고리즘을 수립하는 과정을 망라하게 된다. 특히 이상진단 알고리즘에는 측정된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감안한 이론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로터시스템을 이용한 베어링 진단 유무에 대한 이상진단을 통계적 패턴인식 이용하여 정상과 비정상 상태를 구분하여 여러 종류의 이상을 구분하는 작업수행을 연구하고자한다.

  • PDF

A Representation of the Nonlinear Axis in the G. C (G. C에 있어서 비선형축의 표현)

  • 조동욱;최병욱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3 no.4
    • /
    • pp.309-321
    • /
    • 1988
  • This paper proposes on the algorithm of axis equation & radius function for the G.C representation which describes the curved objects with circular cross section. Object combined with linear and nonlinear parts is detached by clustering from depth data & axis points is extracted by normal vecter of the surface mask patches. In ths case of nonlinear axis point, axis equation is described by Hermite curve & the effectiveness of this paper is demonstrated by serveral experiments.

  • PDF

Valve Modeling and Model Extraction on 3D Point Cloud data (잡음이 있는 3차원 점군 데이터에서 밸브 모델링 및 모델 추출)

  • Oh, Ki Won;Choi, Kang S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12
    • /
    • pp.77-86
    • /
    • 2015
  • It is difficult to extract small valve automatically in noisy 3D point cloud obtained from LIDAR because small object is affected by noise considerably. In this paper, we assume that the valve is a complex model consisting of torus, cylinder and plane represents handle, rib and center plane to extract a pose of the valve. And to extract the pose, we received additional input: center of the valve. We generated histogram of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nd each points of point cloud, and obtain pose of valve by extracting parameters of handle, rib and center plane. Finally, the valve is reconstr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