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축척비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ffects of Scale Ratio on Flow Characteristics in Moonpool (축척비가 문풀 내부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 B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1
    • /
    • pp.118-122
    • /
    • 2016
  • When a geometric size of moonpool and an inflow velocity are determined based on the similarity of Froude number, Reynolds number is depending on the scale ratio of moonpool geometry. It means t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flow fluctuations in moonpool can be observed depending on the scale ratio of moonpool even though Froude number is the same. In the present study two 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cale ratios on the flow characteristics inside the moonpool. The inflow velocity at several scale ratios was determined to keep Froude number constant. A periodic response was observed in a small size of moonpool while a large moonpool showed complicated fluctuations with various amplitudes and frequencies, which mad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statistical steady-state response from the temporal responses in the case of large moonpool. The similarity of Froude number gave rise to a spectral characteristic which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scale ratios ($f_{0.5}{\approx}{\sqrt{2}}f_1{\approx}2f_{2.0}$) but a low frequent occurrence of strong vortex ($f_{2.0}=0.07$)which is observed inside the large moonpool was characterized depending on scale ratios.

National Nonstationary Frequence Analysis Using for Gumbel Distribution (Gumbel 분포를 이용한 전국의 비정상성 빈도 해석)

  • Kim, Gwang-Seob;Lee, Gi-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79-37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 기상관측소 중 1973년부터 2009년까지의 시 강수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기상관측소 55개 지점에 대하여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지점에 대하여 지속시간 1시간, 24시간에 대한 연 최대 강수량 자료를 구축하여 초기 20년을 기준으로 1년씩 추가한 연 최대 강수량 누적 자료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간별 자료의 평균, 위치매개변수, 축척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위치매개변수와 축척매개변수는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산정된 연 최대 평균 누적 강수량과 연도와의 선형 회귀식을 산정하여 목표연도별(2040, 2070, 2100년) 평균 강수량을 산정하였고, 위치매개변수와 축척매개변수도 평균 누적 강수량과의 선형 회귀식을 산정함으로써, 목표연도에 해당하는 각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산정된 목표연도별 평균 강수량, 위치매개변수와 축척매개변수를 이용해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수행하여 산정된 55개 지점에 대한 목표연도별 확률강수량을 Inverse Distance Weighted(IDW) 보간법을 사용하여 전국의 확률강수량을 공간적으로 표현하였다. 전국단위의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각 목표연도별 확률강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감소하는 지역도 나타났다. 경기도와 강원도 등 중부지역에서 확률강수량의 증가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강원도(강릉, 인재 등) 지역에서 확률강수량의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남해지역에서는 대부분 확률강수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에서 전라남도 남해안 부근(장흥 등)에 확률강수량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경북지역과 전북지역 부근에서는 증가 또는 감소의 차이가 미비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목표연도 2070년과 2100년에 대하여 산정된 확률강수량으로부터 선형 회귀식을 통해 목표연도별 평균 강수량, 위치매개변수, 축척매개변수를 추정하여 확률강수량을 산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ON THE SIMILARITY LAW FOR FISHING NETS (그물어구의 상사법칙에 관하여)

  • KIM Dai A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2 no.1
    • /
    • pp.1-6
    • /
    • 1979
  • 본연구에서는 그물어구의 상사를 지배하는 무차원수 K를 $$K=\frac{{\nu}^n\rho_wv^{2-n}}{{d^{1+n}(\rho-\rho_w)}$$ d, p: 재료의 직경 및 밀도 $\nu,\rho_w,v$: 물의 동점성계수, 밀도 및 속도으로 정하고, 여기에서의 직경의 비를 결정하는 방법에 따라 실물과 모형과의 상사를 완전하게 그리고 근사적으로 만족시키는 조건들을 구하였다. 즉, 원전한 상사한 경우는 직경의 비를 축척비와 같게 하고, 나아가서 다른 모든 치수의 비도 축척비와 같게 함으로써 만족된다고 하였으며, 측사적 상사의 경우느 직경의 비가 축척비 $(\frac{\lambda_2}{\lambda_1})$와 같지 않아도 된다고 하여, 그물실의 직경 d, 코의 크기 $\iota$ 및 콧수 N의 비를 $$\frac{d_2}{d_1}=\frac{\iota_2}{\iota_1}=\frac{\lambda_2}{\lambda_1}{\cdot}\frac{N_1}{N_2}$$ 으로, 줄의 직경 d', 길이 $\iota'$ 및 밀도 $\rho'$의 비를 $$\frac{d_2'}{d_1'}=\sqrt{{\frac{\lambda_2}{\lambda_1}}\cdot{\frac{d_2}{d_1}}\cdot{\frac{\rho_2-\rho_{w2}}{\rho_1-\rho_{w1}}\cdot{\frac{\rho_1'-\rho_{w1}}{\rho_2'-\rho_{w2}}}}$$, $\frac{\iota_2'}{\iota_1'}=\frac{\lambda_2}{\lambda_1}$로, 부속구의 치경 $d'$, 밀도 $\rho'$ 및 수 $N'$의 비를 $$\frac{N_2'}{N_1'}=(\frac{\lambda_2}{\lambda_1})^2(\frac{d_2}{d_1})(\frac{d_1'}{d_2'})\frac{(\rho_2-\rho_{w2})}{(\rho_1-\rho_{w1})}\frac{(\rho_1'-\rho_{w1})}{(\rho_2'-\rho_{w2})}$$으로 정하였다. 이렇게 정해진 모형어구에 대해 유속 v의 비느 $K_1=K_2$로부터 $$(\frac{u_2}{u_1})^{2-n}=(\frac{\nu_2}{\nu_1})^{-n}\;(\frac{\rho_{w1}}{\rho_{w2}})\;(\frac{\rho_2-\rho_{w2}}{\rho_1-\rho_{w1}})\;(\frac{d_2}{d_1})^{1+n}$$으로 주어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어구저항 D 및 그물감의 다리에서의 장력 $\tau$의 비를 $$\frac{D_2}{D_1}=\frac{d_2(\rho_2-\rho_{w2})}{d_1(\rho_1-\rho_{w1})}(\frac{\lambda_2}{\lambda_1})^2$$ $${\frac{\tau_2}{\tau_1}=\frac{d_2\iota_2(\rho_2-\rho_{w2})}{d_1\iota_1(\rho_1-\rho_{w1})}\;{\cdot}\frac{\lambda_2}{\lambda_1}$$로 정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oeuvrability of KCS with Different Scale Ratios by Free Running Model Test (자유항주모형시험을 이용한 KCS 선형의 축척비별 조종성능에 관한 연구)

  • Yun, Kunhang;Choi, Hujae;Kim, Dong J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58 no.6
    • /
    • pp.415-423
    • /
    • 2021
  • There have been many experimental studies on the manoeuvrability of KRISO Container Ship (KCS). However, the scale ratio of the model ship and the test procedure for each institute are slightly different, so direct comparison for the data is technically difficult to perform. This paper presents the manoeuvrability of the ship with different scale ratios: 1/65.8, 1/42.0, and 1/31.6 in model scale. KRISO conducted Free Running Model Tests (FRMT): 35° turning circle tests and 20/20(10/10) zigzag manoeuvring tests.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advance and tactical diameter in turning circle tests were similar, and overshoot angles in two zigzag manoeuvring tests increased as the model ship size increased. In addition, a basic concept for the FRMT method with an auxiliary X-thrust device was proposed so that the scale effect could be considered in model ship tests.

Acquisition of Large Scale Geographical Information by Remote Control of Non-Metric Camera (비측정용 카메라의 원격조종에 의한 대축척 지형정보 획득)

  • Kang, Joon-Mook;Yoon, Hee-Cheon;Bae, Yeon-S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 no.2 s.2
    • /
    • pp.177-184
    • /
    • 1993
  • To obtain large scale precise geographical information in local area we determined external orientation parameters of camn exactly and conducted aerial photography using remote control airship loaded 35mm non-metric camera that produced systematic error coefficients. Ground control Points were determined by differential GPS. Therefore we can try to improve accuracy and economical efficiency. Also, it is suggested that remote control airship photogrammetry can be applied to make large scale topographic map using analytical plotter as calibrated accuracy.

  • PDF

Fractal Dimension of Stream Networks and Main Stream Length with Map Scale (지형도(地形圖) 축척(縮尺)에 따르는 하천 수로망(水路網)과 본류(本流) 하천길이에 관한 Fractal Dimension)

  • Jeon, Min Woo;Cho, Won Ch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4_1
    • /
    • pp.97-106
    • /
    • 1992
  • Total length of stream networks and main stream length vary with topographic map scales, and the stream length of drainage basin on topographic map can be viewed as a fractal. Total length of stream network and main stream length are represented as only stream area ratio($R_a$) based on Horton's laws, thereafter the fractal dimensions of stream network and main stream length are derived as a simple function of stream length($R_L$) and stream area ratios($R_a$) respectively. The derived equations of fractal dimension are applied to Sansung basin in Kum River and compared with the equations already existed. The stream network appeared as space filling with fractal dimension near 2 as map scale increases, while main stream length shows near 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rainage network composition with map scale.

  • PDF

Rules to control propagations in deriving spatial data models (공간데이터모델 유도에 따른 파급 처리 규칙)

  • 도순희;강혜경;이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94-96
    • /
    • 2001
  • 기존의 대축척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새로운 소축적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도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일반화이다. 이는 대축적 공간데이터를 소축척에 적합하도록 변형시킨다. 즉, 일반화를 통해서 지리정보 데이터의 공간 및 비공간적 특성이 변형되고 그 결과 데이터 모델로 변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형에 따른 파급효과를 제어할 수 있는 규칙들을 제시한다. 특히 여섯 가지 일반화 연산자들이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모델 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규칙을 제시하였다.

  • PDF

l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of Future Extreme Rain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비정상성을 고려한 한반도 미래 극치강우 빈도해석)

  • Jeong, Min Su;Yun, Seon-Gwon;Oak, Young Suk;Lee, Young Sub;Jung, Jae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2-162
    • /
    • 2018
  • 지난 100년간(1996~2005년)의 전지구 평균 온도는 $0.74^{\circ}C$ 상승하였고 이러한 온도 상승은 온실효과의 영향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장래에는 이러한 상승 경향이 가속화되어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IPCC 2014; Baek et al 2011). 전지구 기온 상승은 극한 해수면 증가 및 호우 빈도와 평균 강수량 증가로 나타나며, 이로 인한 상당한 홍수 및 침수피해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CMs 모델별 연 최대 일 강수량을 추출하여 정상성 및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수행하고 빈도별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였다. 정상성 및 비정상성 분석을 위해 모델별 연최대치 일강우 자료를 산정하고, 모델별 경향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모델별로 2021년부터 30년을 기준으로 1개년씩 자료이동을 통해 30세트를 구성하고, 각 세트별 80mm 이상의 강우의 평균 발생횟수 및 여름철(6월~9월) 평균 강우 총량의 산정을 통해 순위 도출에 적용하였다. 경향성 검정 및 순위도출 결과를 토대로 8개 GCMs 자료 중에서 4개의 GCMs를 선정하였고, 시나리오별 세트구성에 따른 연 최대 일 강우량의 평균 및 Gumbel 분포형의 위치 및 축척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위치 및 축척 매개변수 추정에 따른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The Battle Maps in the Journal of Armed Forces of Japanese Army Suppressing the Honam's Patriotic Soldiers (일본군 호남 의병토벌대의 진중일지(陣中日誌)에 이용된 전투약도 연구)

  • Nam, Yo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3
    • /
    • pp.407-425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ttle map in 'the journal of armed forces (陣中日誌)' that is written by Japanese 14th infantry battalion to defeat Korean resistance. The analysis of the battle archives shows that the use of topographic maps led to an overwhelming victory to the Japanese military. In addition, the map used by Japanese military was proven to be a hand copy of 1:50,000 scale field surveyed topographic map, called as the secret military map. The Japanese military generally used 1: 50,000 scale maps. However, the Japanese military sometimes used magnified 1:20,000 scale maps for more accurate military oper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