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론의 복잡성

Search Result 17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nalysis of the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of Science-Gifted 2nd Middle School Students in Open-Inquiry Activities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적 추론 능력 분석)

  • Lim, Sung-Chul;Kim, Jin-Hwa;Jeong, Jin-Woo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7 no.2
    • /
    • pp.323-33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during open-inquiry activities of science-gifted 2nd middle school students. Open-inquiry activity is similar to process of scientists' science knowledge generation.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scientific reasoning process and the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during open-inquiry activit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will be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CSRI Matrix(Dolan & Grady, 2010) was used to analyze the complexity of the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The higher degree of complexity of the scientific reasoning is similar to process of scientists' science knowledge gene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process of the open-inquiry activities were distributed by various steps of complexity of the scientific reasoning. Particularly, 'The generating questions' and 'Connecting data to the research question' were 'most complex' step in all teams. On the other side, 'Posing preliminary hypotheses', 'Selecting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r flaws of their experiments' were low steps in most teams. And 'Communicating and defending findings' was distributed by most various steps of complexity of the scientific reasoning.

  • PDF

An Implementation of Context Aware Server Based on Multi-Reasoning (다중 추론기반 상황인식 서버의 구현)

  • Jeong, Jang-Seop;Ki, Byung-Wook;Bang, Dae-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770-1773
    • /
    • 2010
  • 최근 웹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와 정보들을 사람뿐만 아니라 기계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해할 수 있도록 시멘틱 추론을 기반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날로 발전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황인식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모호성과 복잡성 해결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방법들은 주로 규칙기반 추론방법만 적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과 정확성 확보에 있어 불합리한 요소와 추론의 한계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일 추론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온톨로지 추론, 규칙 추론 또는 확률 추론을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중 추론기반 상황인식 서버를 제안하고, OWL 온톨로지 및 자바기술, JADE 이동 에이전트 그리고 $Prot{\acute{e}}g{\acute{e}}$-OWL API로 구현하는 과정과 성능분석 결과를 설명한다.

Exploring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Epistemic Goals, Epistemic Considerations and Complexity of Reasoning in Open Inquiry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 인식적 이해와 추론의 복잡성 탐색)

  • Yun, Hyeonjeong;Kim, Heui-Ba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4
    • /
    • pp.541-55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ic goals, epistemic considerations and complexity of reasoning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 an open inquiry and to explore the context on how open inquiry compar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n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wo teams were selected as focus groups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xts, such as 'sharing the value for the phenomenon understanding, reflection on the value of the research, task characteristics that require collaboration and consensus, and sufficient communication opportunities,' promote epistemic goals and considerations. On the other hand, contexts such as 'lack of opportunity for critical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lowered epistemic sides. Second, epistemic goals and considerations influenced the reasoning complexity. The goal of 'scientific sense making' led to reasoning that pose testable hypotheses based on students' own questions. The high justification considerations led to purposely focusing attention to the control designs and developing creative experimental know-how. The high audience considerations led to defending their findings through argumentation and suggesting future research. On the other hand, the goal of 'doing the lesson' and the low justification considerations led to reasoning that did not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data and did not control the limit of experiment. The low audience considerations led to reasoning that did not actively defend their findings and not suggest futur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uidance should provide communication and critical review opportunities.

Scalable Context-Awareness Reasoning System for Business Process (확장성을 갖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상황인식추론시스템)

  • Park, Ui-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47-350
    • /
    • 2012
  •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네트워크 상황정보와 개인취향정보, 사무환경정보들을 지능적으로 취합, 상황 분석 및 관리하는 서비스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정보의 규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커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확장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유연한 상황정보 추론을 위하여 가상공간에 대한 구조를 정의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컴포넌트로 상황인식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복잡성을 줄이고 확장성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상황정보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구현하여 내부코드 변화 없이 컴포넌트의 수정으로 확장성을 확보하였다.

Reasoning-Based Inquriy Model Embedded in Earth Science Phenomena (지구과학적 현상의 특성을 고려한 추론 중심 탐구수업 모형 제안)

  • Lee, Gyu-Ho;Kwon, By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2
    • /
    • pp.185-204
    • /
    • 2010
  • Inquiring earth science phenomena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s: a big scale of time and space, inaccessibility, uncontrollability, and complexity. Thus, it is very difficult or, in some cases, impossible to investigate them through the actual manipulation in laborato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hance for students to experience scientific inquiry without actual manipulation in earth science classe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reasoning based on a thought experiment as a representative model without actual manipulation, and to investigate features of various inquiry models using reasoning in classes. We can make implications when applying for applying each inquiry model to earth science classes, proposing a reasoning-based inquiry model embedded in earth scientific phenomena.

EVALUATION OF FREQUENTIST AND BAYESIAN INFERENCES BY RELEVANT SIMULATION (베이지안 방법을 포함한 일반적 통계 추론에 대한 상관모의를 이용한 평가방법)

  • 김윤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0.11a
    • /
    • pp.41-62
    • /
    • 2000
  • 현실적으로 통계추론 방법의 적용시, 그 정당성이 보장되는 기본가정이외에도 추가적인 가정이 불가피하여, 본래의 정당성이 퇴색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통계추론의 평가가 필수적일 것이나, 많은 경우에 분석적 평가를 하기에는 너무 복잡하여, 특정상황을 상정한 모의분석 평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고에서는 보다 일반적 상황에서의 통계추론의 평가를 위해 브트스트랩방법과 같이 관찰값에 의존한 모의방법(observation-based simulation)을 이용한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설득력 있는 평가요소로서 구간추정시 포함확률(coverage probability)와 같은 빈도성질(frequency property)를 선택하였다. 빈도성질은 고전적 통계추론은 물론 베이지안 통계추론을 대상으로도 의미있는 평가기준으로 판단되는 바, 이를 평가요소로서 선택하고, 이의 추정을 위한 방법과, 그 추정결과의 해석과 나아가 이를 기준으로 한 통계추론 결과의 조정 방법까지 일련의 절차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PDF

A Method of Ontology Inference based on Bayesian Probability for Decision Making of Intelligent Home Agents (지능형 홈 에이전트의 의사결정을 위한 베이지안 확률기반 온톨로지 추론 방법)

  • Lim, Sung-Soo;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357-361
    • /
    • 2007
  • 지능형 에이전트가 홈네트워크 환경 속에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에이전트가 속한 환경에 대한 모델이 필요하다. 온톨로지는 이러한 환경 모델을 표현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복잡한 도메인의 조직적 구조 표현에 있어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통적 온톨로지는 크리스프 로직에 기반하기 때문에 현실세계의 불확실성을 표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의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지능형 홈 에이전트가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베이지안 네트워크기반 온톨로지 추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온톨로지의 클래스 객체를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노드로 나타내고, 객체 속성(object property)을 아크로 표현함으로써, 확률적 추론이 가능한 온톨로지를 제공한다. 몇 가지 시나리오와 설계 복잡도 분석을 통해서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한다.

  • PDF

Music Moving Picture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Emotional Reasoning (감성추론기반 음악동영상 추천서비스)

  • Park, Kyumin;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512-15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추천시스템을 기반으로 동영상 음악추천 시 평가 함수R을 극대화하기 위한 각 다차원 구성요소들은 무엇이고, 이들의 상대적 가중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추천시스템의 구성변수가 많아질수록 평가 함수R을 극대화하는 것이 유리하나, 계산의 복잡성으로 예측성능과 추천유효성을 저해할 수 있어 구성변수의 증가와 추천 성능을 동시에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대상 음악동영상은 일반 영상과 달리 오디오 정보와 시선 정보를 싱크하여 감정의 흐름을 추론한다. 실험 대상자는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음악동영상을 추론하기 위하여 대학생으로 한정한다.

Context-Awareness Reasoning Model for Business Process (비즈니스 프로세스 상황인식추론모델 설계)

  • Park, Ui-Su;Yoo, Kwan-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241-244
    • /
    • 2011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의 불안정으로 발생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부분 연결문제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상황정보와 개인 취향 정보, 사무 환경 정보들을 지능적으로 취합, 상황분석, 및 관리하는 서비스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유연한 상황정보 추론을 위하여 온톨로지 기반 상황인식 구조인 상황인식 추론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가상공간에 대한 구조를 정의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컴포넌트로 일반적인 상황인식 메커니즘을 제공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가상공간에서 상황인식 어플리케이션 구현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복잡성을 줄여 확장성을 갖게 되었다.

Fuzzy Cognitive Map-Based A, pp.oach to Causal Knowledge Base Construction and Bi-Directional Inference Method -A, pp.ications to Stock Market Analysis- (퍼지인식도에 기초한 인과관계 지식베이스 구축과 양방향 추론방식에 관한 연구 -주식시장 분석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 이건창;주석진;김현수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 no.1
    • /
    • pp.1-22
    • /
    • 1995
  • 본 연구에서 퍼지인식도(Fuzzy Cognitive Map) 개념을 기초로 하여 (1) 특정 문제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인과관계 지식(causal knowledge)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2) 이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작성된 해당 문제영역에 대한 여러 전문가들의 인과관계 지식을 계층별로 분해하여, (3) 해당 계층간의 양방향 추론이 가능한 추론메카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정 문제영역에 있어서의 인과관계 지식이란 해당 문제를 구성하는 여러 개념간에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표현한 지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과관계 지식은 기존의 IF-THEN 형태의 규칙과는 달리 행렬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수학적인 연산이 가능하다. 특정 문제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인과관계 지식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은 집합연산에 의거하여 개발되었으며, 특히 상반된 의견을 보이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된 인과관계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주어진 문제가 복잡하여 다양한 개념들이 수반되면, 자연히 인과관계 지식베이스의 규모도 커지게 되므로 이를 다루는데 비효율성이 개재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효율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어진 문제를 여러계측(Hierarchy)으로 분해하여, 해당 계층별로 인과관계 지식베이스를 구축하고 각 계층별 인과관계 지식베이스를 연결하여 추론하는 메카니즘을 개발하면 효과적인 추론이 가능하다. 이러한 계층별 분해는 행렬의 분해와 같은 개념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그 연산이 간단명료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같이 분해된 인과관계 지식베이스는 계층간의 추론메카니즘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향 또는 하향방식이 추론이 가능한 양방향 추론방식을 제시하여 주식시장에서의 투자분석 문제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