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간판 탈출증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32초

탈출된 요추 추간판 자연 소실 후 발생한 추간판 간격 감소 - 증례 보고 - (Loss of Disc Height after Spontaneous Regression of a Herniated Lumbar Disc - A Case Report -)

  • 김형복;정훈재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5-179
    • /
    • 2018
  •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탈출된 요추 추간판이 자연 소실된 이후 추간판 간격이 감소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보존적 치료를 통한 탈출된 요추 추간판의 자연 소실이 보고되었다. 대상 및 방법: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된 3명의 환자를 외래 추시를 통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내원 당시에 관찰되었던 방사통은 호전 되었으나, 만성적인 요통을 호소하였다. 원인 파악을 위해 MRI 촬영을 다시 시행하였다. 결과: 보존적 치료로 탈출된 요추 추간판이 자연 소실 되었지만, 추간판 간격의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론: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 추간판 간격 감소의 위험요인 중 하나일 수 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진단 받은 환자의 경우 탈출된 요추 추간판이 자연 소실되더라도 만성 요통이 발생 할 수 있음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슬관절 손상으로 오인된 청소년 요추 추간판 탈출증 (Adolescent Lumbar Disc Herniation Misdiagnosed As Knee Injury)

  • 임재우;이태진;정현수;김학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6-68
    • /
    • 2012
  • 청소년에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드물게 발생하고, 임상적 증상이 성인과 달리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청소년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호소를 분석하는 것이 어려워서 진단 및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고, 성인에서와 달리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슬괵근 강직 및 요추부 측만 변형등 청소년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서 특징적인 증상들은 수술로 잘 치료 되었고, 청소년의 추간판 부분절제술 수술 후의 중장기 추적검사에서 재수술 빈도는 15%로 성인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청소년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축구를 하던 도중에 수상한 슬관절 손상으로 오인되어 수상 후 2년이 지나도록 진단이 지연되면서 슬괵근 강직과 보행 장애가 있었던 16세 청소년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수술을 통해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재발성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추간판 재절제술의 결과 (The Result of Repeat Discectomy for Ipsilateral Recurrent Lumbar Disc Herniation)

  • 김우성;나화엽;오상훈;박섭리;손의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9-64
    • /
    • 2017
  • 목적: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추간판 재절제술의 결과를 분석하고 수술결과에 영향을 줄 만한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제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59명이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추간판 재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최소 2년 이상 추시관찰하였다. 수술 결과는 visual analogue scale (VAS) 및 Macnab 분류에 따라서 평가하였고, 회복률은 VAS 변화에 따라 계산하였다. 그리고 SPSS를 이용하여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수술률은 일차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한 전체 환자의 6.0% (59/983예)를 차지하였다. VAS에 따른 첫 번째 수술의 임상적 호전 비율은 77%, 두 번째 수술에서는 71%로 측정되었다. 통계적으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평균 임상적 호전 비율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acnab 분류에 따르면 96%의 환자가 excellent 또는 good 판정을 받았다. 추간판 재절제술 후 추가적으로 요추 불안정성이 발생된 증례는 없었다. 재수술 시 흡연, 외상력, 당뇨의 요인에 따른 수술 후 임상적 호전 정도에는 일차 수술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에 대해 시행한 추간판 재절제술은 일차 추간판 절제술만큼 좋은 임상 결과를 보였다. 흡연, 외상력, 당뇨의 요인들은 추간판 재절제술의 결과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다.

칵스 신연교정이 L4-5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기능적 평가측정과 추간판탈출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x distraction manipulation on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s and disc herniation index in patients with L4-5 herniated disc)

  • 권원안;류영상;마상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4호
    • /
    • pp.727-7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치료적 모달리티와 칵스 신연교정치료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15명 (나이 36.62, 범위 20-50, 남자 7명과 여자 8명)을 대상으로 4주간 적용하였다. 치료적 모달리티와 칵스 신연교정치료를 첫 2주 동안 주 6일, 12회 적용하였으며, 마지막 2주간은 주 3일 6회 적용하였다. 모든 실험대상자에게 4주 동안 18회를 적용하였다. 측정은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지수, 근력, 하지 직거상 검사는 실험 전, 치료 2주 후, 치료 4주 후 변화의 차이를 일요인 반복측정을 이용하였으며, 추간판 탈출지수는 실험 전, 치료 4주 후 변화 차이를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치료적 중재 기간에 따라 치료 전, 2주 후, 4주 후 측정결과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 지수, 하지 직거상 검사, 그리고 근력은 치료 2주 후, 치료 4주 후가 치료 전에 비하여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추간판 탈출지수는 치료 전에 비하여 감소함을 나타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치료적 모달리티와 칵스 신연교정치료가 요통장애지수, 하지 직거상 검사, 근력개선에 효과적이란 결론을 얻었다. 이것은 칵스 신연교정치료의 안전성과 효과의 확인, 그리고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비수술적 치료법으로서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개에서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의 결과 : 60 증례 (Outcome of Non-surgical and Surgical Treatments in Dogs with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Disease: 60 cases)

  • 성규진;류학현;박성수;강병재;임성준;김용선;이승훈;조성호;김준영;윤정희;김완희;권오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3-717
    • /
    • 2010
  • 추간판 탈출증은 개에서 일반적인 신경학적 질병이다. 수의 신경학 임상에서 흉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비수술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의 결과는 잘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비수술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의 결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알려져 있다. 우리의 목적은 경추 추간판 탈출증을 가진 개에서의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후의 결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수술적 치료를 실시한 개의 치료 성공률(100%, 25/25) 이 비수술적 치료를 실시한 개의 치료 성공률(51.4%, 18/35) 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수술적 치료군에서 치료 성공률과 척수 압박률과는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을 가진 개에서의 수술적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CT 또는 MRI 상에서 확인된 척수압박의 정도는 비수술적 치료에서 유용한 예후의 지표가 되었다.

두 개의 입구를 통한 내시경 척추 수술: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에의 적용 (Biportal Endoscopic Spinal Surgery for Lumbar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 이호진;최대정;박유진재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1-218
    • /
    • 2019
  • 추간판 탈출증이란 추간판이 정상적으로 위치해야 할 자리에서부터 추간판 내부의 수핵이나 섬유륜이 탈출하는 질환을 지칭하며, 대부분 양호한 자연 경과를 거친다. 하지만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이 있거나, 악화되는 신경 증상, 마미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등에 대해서는 수술적 치료가 권고된다. 수술 방법에는 고식적인 관혈적 방법, 현미경을 이용한 방법, 통형 견인기(tubular retractor)를 이용한 방법, 그리고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었는데, 그 중 현미경적 추간판 제거술이 현재 표준 치료로 간주되고 있다.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 중에서 두 개의 입구를 통한 내시경 척추 수술(biportal endoscopic spinal surgery, BESS)의 경우, 다른 방법에 비해 수술 기구들의 독자적인 움직임이 가능하여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하며, 재발된 추간판 탈출증에 대해서도 추간판 제거가 비교적 수월하게 시행되고, 작은 피부 절개로 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하며, 지속적인 생리식염수의 세척으로써 습기나 안개를 지속적으로 제거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술 후 감염률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 기존의 관절경 및 척추 수술 기구들을 그대로 쓸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며, 약 2,700-6,700 lux의 밝은 조도 하에 최대 28-35배로 확대된 영상으로 수술하기 때문에 섬세한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장점을 지닌 두 개의 입구를 통한 BESS는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이상적인 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초음파를 이용한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결과 비교 -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 -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Ultrasound-guided Caudal Epidural Block -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vs Spinal Stenosis -)

  • 김영태;조규정;안치훈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5-112
    • /
    • 2014
  • 목적: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효과적으로 외래환자의 치료에 자주 사용되고 있으나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 의해 시술되어도 25%의 실패율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의 유효성을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요통과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여 본원 외래에 내원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를 복와위 자세로 눕힌 후 방사형 탐지자(round probe)를 이용하여 22게이지 바늘이 천-미추막을 통과한 것을 확인 후 약물을 투여하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은 31명이었으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은 24명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시각통증척도(VAS)를 이용하여 통증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시행 전, 시행 후, 시행 2주 후, 시행 4주 후 전화 인터뷰와 외래 방문 시 조사하였다. 결과: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55예 중 53예에서 바늘이 성공적으로 삽입되어 96.4%의 성공률을 보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과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서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나이는 추간판 탈출증군에서 $42.3{\pm}10.8$세로 척추관 협착증군의 $62.8{\pm}15.1$세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시각통증척도는 추간판 탈출증 군에서 시행 전 6.8, 시행 후 3.1, 시행 2주 후 1.8, 시행 4주 후 1.77로 나타났으며, 척추관 협착증 군에서 시행 전6.9, 시행 후 3.6, 시행 2주 후 4.3, 시행 4주 후 4.9로 나타났다. 시행 전에 비해 시행 후 시각통증척도는 양 군에서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p<0.001), 나이를 보정한 후의 결과, 시간에 따라 양 군간 시각통증척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결론: 초음파 유도하 미추 경막외 차단술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척추관 협착증 환자군에 비해 추간판 탈출증 환자군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능적 평가 측정을 통하여 전신냉기치료와 척추 감압기 적용이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Effect of whole body cryotherapy with spinal decompression on lumbar disc herniation by functional assessment measures)

  • 마상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101-1108
    • /
    • 2010
  • 본 연구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전신냉기치료와 감압치료를 병행한 그룹과 감압치료를 적용한 그룹으로 나누어 2주간 실시한 후 통증과 요추 굴곡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전반적 인지효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은 시각적 상사 척도 검사와 수정판 쇼버 검사, 그리고 전반적 인지효과척도를 검사하였다. 대응표본 T검사에서 두 그룹 모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독립표본 T검정과 공분산분석 결과 전신냉기치료와 감압치료를 병행한 그룹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전반적 인지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전신냉기치료와 감압치료 병용 시 효과적이란 것을 검증하였다.

치료적 모달리티를 병용한 척추 감압치료가 요추 신경뿌리병증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pinal Decompression Combined with Therapeutic Modalities for Patients with Lumbar Radiculopathy)

  • 마상렬;권원안;이재홍;민동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36-34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치료적 모달리티와 SpineMT(mobilization & traction)를 이용한 척추 감압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15명(나이 36.62, 범위 20-50, 남자 7명과 여자 8명)을 대상으로 4주간 적용하였다. 치료적 모달리티와 척추 감압치료를 첫 2주 동안 주 6일, 12회 적용하였으며, 마지막 2주간은 주 4일 8회 적용하였다. 모든 실험대상자에게 4주 동안 20회를 적용하였다. 측정은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지수, 근력, 하지 직거상 검사는 실험 전, 치료 10회 후, 치료 20회 후 변화의 차이를 일요인 반복측정을 이용하였으며, 추간판 탈출지수는 실험 전, 치료 20회 후 변화 차이를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치료적 중재 기간에 따라 치료 전, 2주 후, 4주 후 측정결과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 지수, 하지 직거상 검사, 그리고 근력은 치료 10회 후, 치료 20회 후가 치료 전에 비하여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5). 그러나 추간판 탈출 지수는 치료 전에 비하여 감소함을 나타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치료적 모달리티와 척추 감압치료가 요통장애지수, 하지 직거상 검사, 근력 개선에 효과적이란 결론을 얻었다. 이것은 척추 감압치료의 안전성과 효과의 확인, 그리고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비수술적 치료법으로서의 근거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