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적 용접이음 설계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생산 및 설계공학부문

  • 김성청
    • Journal of the KSME
    • /
    • v.43 no.8
    • /
    • pp.64-73
    • /
    • 2003
  • 2002년도 한 해 동안 생산 및 설계공학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소성가공, 절삭가공, 금형 및 사출성형, 용접 및 특수가공, 생산자동화 및 관리, CAD/CAM, 기계요소 및 기구설계, 공작기계 및 기계시스템설계, 지적설계 및 최적설계, 윤활 및 마멸, 생체공학, MEMS 등으로 분류하여 각 분야에서 그 동안 발전 개발하여 게재된 연구 및 실험 논문들을 중심으로 이들 분야에 대한 관련 동향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PDF

Lightweight Automobile Design with ULSAB Concept Using Structural Optimization (구조 최적설계 기법을 이용한 초경량차체 개념의 경량 자동차 설계)

  • 신정규;송세일;이권희;박경진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3
    • /
    • pp.277-286
    • /
    • 2001
  • Among the ULSAB methods for the lightweight automobile body, Tailor Welded Blank(TWB) is adopted and the design process is developed for the existing component. Topology optimization conducted to find the distribution of the variable thickness. The number of parts and the welding lines are determined from it. In the detail design, size optimization is carried out to find the optimum thickness of each part and then, the final parting lines are tuned by shape optimization. A commercial optimization software GENESIS is utilized for the optimization processes.

  • PDF

A Study on Welding Joint Parts of Heavy Equipment (중장비용 용접구조물의 신뢰성 평가)

  • Ko, Jung;Cho, Y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2.06a
    • /
    • pp.111-111
    • /
    • 2002
  • 당사 제품인 건설 중장비용 대형 용접 구조물에 대하여, 설계단계부터 구조해석 및 초도품에 대한 Rig Test, 실차 시험 등 여러 단계를 거쳐 내구성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용접품 특성상 수명 평가 및 예측이 용이하지 않아 특히 내구성 개선 또는 효율 증대를 위한 경량화 등의 필요에 따른 설계 변경시 시행착오를 거치는 경우가 많다. 이에 개발 일정의 지연, 시험 비용의 증대 등이 불가피하고, 보증 수명의 증대를 통한시장 확대 등에 있어서도 애로가 있다. 또한 기존 Rig Test의 경우도 실제 사용환경과의 차이 등으로 인해 필드에서의 사용 수명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당 센터에서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사용 조건의 DB 구축과 제품 품질 DB의 구축 및 통합을 통하여 제관품의 특성을 반영한 용접 구조물의 가속 수명 평가법의 신뢰도 향상과 시장 목표에 부합하는 최적 설계 달성을 위한 독자적 Tool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첫 번째 과제로 기확보 데이터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

Friction Welding Analysis of Welding Part Shape with Flow Gallery Considered Fluid Flow (유체 유동을 고려한 유동부를 갖는 용접부 형상의 마찰용접 해석)

  • Yeom, Sung-Ho;Kim, Bum-Nyun;Hong, Sung-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1 no.3
    • /
    • pp.7-12
    • /
    • 2007
  • Friction welding is a welding method to use frictional heat of a couple of materials. In this paper object is that design the welding part shape with the flow gallery part which there is no effect in flow. Decided the welding part design parameter and doing the friction welding analysis used the rigid-plastic FEM program DEFORM-2D. To do friction welding analysis must input necessary flow stress data, friction coefficient by temperature change, upset pressure and Revolution per minute etc.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it decided the optimal shape of welding part with no effect in flow.

Adaptive Finite Element Mesh Construction for Optimal Design of Spot Welding (점용접부 최적설계를 위한 적응적 유한요소망의 구성)

  • Park, Jang-Won;Chae, Su-Won;Lee, Tae-S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4 no.7 s.178
    • /
    • pp.1763-1770
    • /
    • 2000
  • A finite element interface system for the design of optimal spot welding location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al locations of spot welding points, iterative finite element an alyses are necessary, and thus automatic generation of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structures with spot welded pointsis required. In this interface system, quadrilateral shell element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for finite element analysis of spot welded structured, which employs a domain decomposition methodand adaptive mesh(h-method).

A Study on Optimal Spot-weld Layout Design of the Shock Tower Structure Considering Fatigue Life under Random Vibration Load (불규칙 진동하중을 받는 쇽 타워의 피로수명을 고려한 점용접 위치 최적설계)

  • Lee, Yong-Hoon;Lee, Seung-Yoon;Bae, Bok-Soo;Yim, H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538-543
    • /
    • 2011
  • In this paper, optimal spot weld layout design of the shock tower structure is performed for increasing fatigue life of spot weld and fatigue life of shock tower simultaneously. To predict the fatigue life, linear static analysis is conducted then fatigue analysis is performed by applying random vibration load. To optimize the spot weld layout, design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spot weld fatigue life are selected. Based on the DOE table, spot weld fatigue analysis is conducted. Finally, response surface model is made from fatigue analysis results and optimized spot weld layout model which increases fatigue life of sport weld and fatigue life of shock tower is determined.

  • PDF

Welding Technology for the Process Optimization by the Computer Code SYSWELD (SYSWELD를 이용한 용접 프로세스 제어 기술)

  • 이재경;이기훈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5 no.1
    • /
    • pp.36-45
    • /
    • 1997
  • 용접 구조물에 대한 프로세스 제어를 위하여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는 SYSWELD 소프트웨어의 이론적인 개념 및 응용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SYSWELD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범용 열 및 구조해석 상용 Code와는 달리 야금학적 이론이 접목되므로써 이전에는 고려하기 곤란했던 제어 인자들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용접 프로세스 분야에 매우 적합한 시뮬레이션 Code라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수치해석 기술을 응용함으로써 연구기관에서는 제반 현상들에 대하여 실험적인 접근방법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 이론적 발전 및 실용화를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산업체에서는 현업에서 발생하는 결함의 제어 및 구조물이나 프로세스의 최적 설계 방안을 수립하는 일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용접 분야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응용 기술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당사는 SYSWELD를 비롯하여 공학 분야의 유용한 상용 Code에대한 공급 및 기술 지원 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링 능력을 갖추고 이와 같은 추세에 부응하고자 하는 노력중에 있는 바, 용접 시뮬레이션 응용 기술에 대한 현황을 소개하고자 하였으므로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PDF

A Study on the Optimum Tandem Welding Torch Distance for the Reduction of CO2 Shielding Gas Consumption (Tandem 용접 CO2 보호가스 사용량 감소를 위한 최적 토치 극간거리에 대한 연구)

  • Lee, Jun-Yong;Kim, Ill-Soo;Choi, Young-D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6 no.2
    • /
    • pp.294-301
    • /
    • 2012
  • Shipbuilding industry has used a lot of $CO_2$ gas as a shielding gas for arc welding and thus, development of welding equipment which can reduce the amount of $CO_2$ gas is requested widely.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xamination of optimum welding torch distance of Tandem welding system a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optimum shape design of torch nozzle. $CO_2$ shielding gas distribution and welding bead shape formation by the torch distance are examined. Results show that according to the torch distance variation, most effective shielding gas layer can be formed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torch distance can result in the reduction of $CO_2$ shielding gas consumption.

Effect of the Post-Weld Heat Treatment on the Mechan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Steel in marine Environment (고장력강의 해양환경중 기계적.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용접후열처리효과)

  • 김성종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5 no.2
    • /
    • pp.409-409
    • /
    • 2001
  • 해양구조물은 점점 대형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또한 이들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른 구조물의 보수, 유지관리가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물 등이 손상또는 파괴되었을 경우는 그에 따른 인적, 경제적 손실 또한 막대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구조물의 파괴사례중 상당 부분이 용접부의 부식문제 및 수소취화와 관련된 사고인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용접은 급속가열, 급속냉각의 공적으로 인한 경도와 열적, 조직적 변화를 일으켜 용접부 각 미세부위별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갈바낙부실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갈바닉 부식에 의한 용접부의 부식성을 억제하기 위해 용접후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PWHT)를 시행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장력강인 RE36강 시험편을 전기화학적 측면에서 최적의 용접후열처리 온도를 규명하였으며, 용접방법(FCAW, SMAW), 용접후 열처리 유무에 따른 용접부위의 저변형을 인장실험을 통한 기계적 특성, 전기화학적 특성 및 수소취화 감수성을 등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해양구조물 선박의 설계시공시에 용접부 주위의 기계적.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및 수소취화 방지대책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