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적 배치

Search Result 76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항로표지 배치 적합도 평가 및 최적배치 서비스 방법론 연구

  • 백인흠;이미라;박준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52-53
    • /
    • 2021
  • 항로표지는 선박이 항로를 안전하게 운항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AIS 항적분석 모듈, 항로표지 적합성 평가 모듈, 항로표지 배치 검증 모듈 개발을 하고 이를 통합한 항로표지 적합성 평가 및 최적배치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최적배치 서비스 개발을 위한 로드맵과 모듈 개발을 위한 추진 전략 방향성을 구성하였다.

  • PDF

3D Optimal Layout Design of Satellite Equipment (위성 구성품의 3차원 최적 배치 설계)

  • Yeom, Seung-Yong;Kim, Hong-Rae;Chang, You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10
    • /
    • pp.875-887
    • /
    • 2015
  • The optimal layout design is used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areas of industry. In the field of space systems, components must be placed properly in the limited space of spacecraft by considering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interfaces. When applying optimal layout design, a proper, even ideal placement of components is possible in the limited space of a satellite platform. Through the optimal placement design, the minimized moment of inertia enhances efficient attitude control, rapid maneuver and mission performance of the satellite. This paper proposes 3D optimal layout design that minimizes the spacecraft's moment of inertia and effect of thermal dissipation between inner components as well as interference between inner components based on a cubic-structure satellite platform. This study proposes the new genetic algorithm for 3D optimal layout design of the satellite platform.

Deployment of RF navigation transmitters considering geographical features (지형을 고려한 전파항법 신호원의 배치 방법)

  • Lim, Joong-Soo;Chae, Gyoo-Soo;Kim,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39-841
    • /
    • 2012
  • 본 논문은 지형을 고려한 전파항법신호원의 최적 배치에 대한 연구이다. 전파항법신호원을 지상에 배치 할 때 고도에 따른 신호원 간의 가시선 확보를 위해 배치위치를 일정 범위 내에서 최적의 위치를 찾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배치에 따른 측위 정확도를 이론적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전파항법신호원의 배치를 위한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 PDF

광학센서 시선벡터에 대한 궤도 변화 영향 해석

  • Im, Jo-Ryeong;Kim, Yong-Bok;Choe, Hong-Taek;Yong, Gi-Ryeok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27.4-27.4
    • /
    • 2010
  • 이 연구는 광학센서의 시선벡터 최적배치와 이에 대한 궤도요소의 영향을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광학센서의 최적 배치 결정에 있어 궤도 요소의 영향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위성에 탑재된 광학 센서들은 지구를 관측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지구 관측 센서를 제외하고는 임무기간 동안 최대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위성 몸체나 지구와 태양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목표 천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광축의 시선 벡터를 배치시켜야 한다. 이 연구는 광학센서의 최적 배치와 위성의 궤도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광학센서의 최적배치 시선벡터 방향의 결정에 미치는 궤도 요소의 변화 영향성을 해석하였다.

  • PDF

A new algorithm for finding normalized local alignment using handed Smith-Waterman algorithm (Banded Smith-Waterma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규화된 부분배치를 찾는 새로운 알고리즘)

  • 김상태;심정섭;박희진;박근수;박현석;서정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92-594
    • /
    • 2001
  • 두 문자열의 부분배치(local alignment)를 찾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인 Smith-Waterman 알고리즘(SW 알고리즘)은 정규화된 최적부분배치를 찾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fractional programming 기법을 이용하여 여러 번의 SW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정규화된 최적부분배티를 찾는 알고리즘이 제시되었지만 이는 매우 많은 시간이 걸린다. 본 논문에서는 fractional programm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규화된 최적부분배치를 찾는 알고리즘에, 완전매치(Exact Match)을 이용한 휴리스틱 기법인 Banded SW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낮은 오차를 가지면서 실용적으로 매우 빠른 정규화된 최적부분배치를 찾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 알고리즘과 제시하고 이 알고리즘과 기존의 알고리즘을 직접 구현하여 실험한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 PDF

Optimum Alignment of Marine Propulsion Shafting (박용추진축계의 최적배치에 관한 연구)

  • 문덕홍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8 no.1
    • /
    • pp.39-46
    • /
    • 1982
  • The author has developed the computer program in order to calculate the optimum alignment condition of marine propulsion shafting by linear programming method. The input of program was calculated by the matrix method of three-moment. He compared the calculated values with the experimental values measured by the strain gage on the model shaft, and the values of calculation on actual propulsion shafting with those of Det norske Veritas. The computer program of optimum alignment has been applied to the actual shaf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o obtain the reaction of supporting points in the straight line necessary to the optimum alignment and the reaction influence number, after the computer program had been developed and then adapted, the result of experimental values and calculated values agreed with each other and the values of the actual shaft were also approximately similar to the values of other program. 2. In this paper, the measuring method on model shaft by strain gage can be effectively used at the time of adjusting alignment condition of actual shaft. 3. The supporting bearing should be considerably readjusted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satisfy some limited condition.

  • PDF

Thermal Sensor Allocation and Placement Algorithm on FPGA Based Design (FPGA 기반 설계의 온도 센서 최적 배치 알고리즘)

  • Hyeon, Cheol-Hwan;Nam, Hyoung-Wook;Kim, Yong-Ju;Kim, Tae-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292-297
    • /
    • 2008
  • 본 논문은 FPGA 기반 설계에서 주변보다 급격한 온도 변화를 보이는 hotspot들을 탐지하기 위한 열 감지 센서 수를 정하고, 센서의 놓여야 할 배치 장소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열 감지 센서로는 동적으로 설계가 가능한 ring oscillator 센서 기술을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센서의 사용 개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최적의 센서 배치 위치 찾는다. 기존의 연구의 단점은 센서가 감지하는 영역 범위를 적당한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간주하였기에, 실제 원형의 관측 범위를 보이는 센서 감지 영역의 현실을 올바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잘 알려진 회로 분할(partition) 기법에 의존한 휴리스틱으로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지는 못하였다. 이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관측 범위를 원형으로 할 수도 있게 함과 동시에 최적의 해를 보장하는 센서 할당 및 배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제안 알고즘에서는 소위 “Candidate Coloring 기법”을 통해 센서가 놓여야 할 모든 후보 영역을 표시하며, “Candidate Filtering 기법”을 통해 불필요한 후보 영역들을 완전히 삭제하여 탐색 공간을 줄이게 되며 (해의 최적 해는 항상 유지 되도록 하면서), 마지막으로 Branch-and-Bound 알고리즘을 적용해 최적의 센서 할당 및 배치 결과를 찾아내었다.

  • PDF

초대형 Containership 선수부 구조 최적 배치

  • 이진호;이경석;임강재;한성환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42 no.1 s.143
    • /
    • pp.47-50
    • /
    • 2005
  • 최근 Containership의 대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선수부의 선형 변화에 따른 선체의 구조부재 배치에 상당한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선수구조는 선형 변화 특히, Bow Flare Angle의 작은 변화에도 Bow Impact Pressure가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함으로 외력에 의한 구조 배치 변경 및 추가적인 구조보강에 대한 여유를 갖고 설계를 진행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수부의 선형 및 구조 배치 변화에 따른 강도 평가를 구조해석을 통하여 구조 안정성을 검증하였으며, 구조 안정성 평가 절차 및 구조 해석 결과에 따른 구조 최적 배치 및 구조개선 사항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 PDF

An Icon and Label Replacement Algorithm for Generating Schematic Map (도식화된 지도 생성을 위한 아이콘과 레이블 배치 알고리즘)

  • 류동성;박동규;이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596-59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아이콘과 레이블을 가진 도식화된 지도(Schematic map)를 생성차기 위한 아이콘과 레이블의 효과적인 배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먼저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시 정보를 파서로 분석한 후, 지형도 데이터에서 시각화에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한 후 이들 선분에 대하여 선분 간략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도를 생성한다. 그리고 장식 및 정보의 표기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아이콘 및 레이블 정보들의 특징을 반영하여 후보 영역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후보영역 내에서 중첩이 발생하기 않으면서 아이콘을 설명하는데 적절한 최적화된 위치의 레이블을 배치하여 이들의 배치 값들 중 최적의 값을 얻은 후 이 최적의 위치에 아이콘과 레이블을 배치하도록 하였다.

  • PDF

등부표 최적배치 원칙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 Jeong, Tae-Gwon;Guk, Seu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373-375
    • /
    • 2007
  • 출입항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부표는 주로 항로를 표시하거나 위험 장소를 표시한다. 등부표를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항해자가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른 항법시스템이 없더라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다. 이런점에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동부표의 적절한 배치(이하 '최적 배치'라 한다.)를 하기 위한 원칙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 원칙을 먼저 항만의 수역 설계와 관련한 규정을 검토하고, 면담 및 설문 조사에서 얻은 결론, 실측한 등부표 시인거리, 마지막으로 개개의 항만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탑 혹은 풀미션 선박조종시물레이터으로 검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려고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