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적배치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223초

배치 단위 밸브 부품 생산용 플런지 연삭의 최적 연삭 제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al Control of the Plunge Grinding for Valve Parts in Batch Production)

  • 최정주;최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726-473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배치 단위로 이루어지는 플런지연삭의 최적 연삭 조건 선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연삭공정을 나타내는 상태변수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태 변수를 바탕으로 각 사이클에서 이루어지는 최적의 연삭 조건을 GA(Genetic Algorithm)를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 배치 단위의 최적 연삭조건은 DP(Dynamic Programming)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가상항로표지 최적 배치를 위한 항해 위험도 평가 (Assessment of Ship Navigation Risk for Optimal Allocation of Virtual Aids to Navigation)

  • 송은아;김광일;조기정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8-69
    • /
    • 2020
  • 해상에서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각종 항로 표지가 이용되는데,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환경적 요소 등의 이유로 항로표지를 설지 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가상항로 표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가상항로 표지의 최적 배치를 위해 선박 항해의 물리적 항해 제한 및 항해 장애물요소, 선박 교통 위험도 등을 격자 단위로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격자별로 나눈 해역의 위험도 지수를 통합하여 통합 위험도 평가 지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요소별 가중치를 설정하고, 레이어를 통합한 뒤 위험도를 산정하여 통계데이터 기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요소별 가중치 설정을 위해 위험도 레이어 통합 가중치를 설정하였으며, 실제 해역에 적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PDF

2.4GHz 무선 채널 특성을 가진 센서 노드의 최적 배치 (Optimal Placement of Sensor Nodes with 2.4GHz Wireless Channel Characteristics)

  • 정경권;엄기환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4권1호
    • /
    • pp.41-48
    • /
    • 2007
  • 본 논문은 2.4GHz 무선 채널 특성을 가진 센서 노드의 손실 없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배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무선 환경에서 log-normal path loss 모델을 구성하여 최적의 송수신 거리를 결정하고, 센서 노드의 밀도 계산을 통해서 최적의 센서 노드 개수를 구한다. 데이터 손실이 없는 전송을 위해 송수신 가능 거리와 센서 노드의 개수를 이용하여 공간에 최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위치를 SOM(Self-Organizing Feature Maps)으로 탐색한다. 논문에서 실험한 건물에서는 센서노드의 송수신 거리는 20m이고, 최적의 센서 노드 개수는 8개가 되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센서 노드의 최적의 위치 탐색과 센서 노드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였다.

최적 배치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netic Algorithm for Optimal Placement)

  • 송호정;이범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2-48
    • /
    • 2002
  • 배치(Placement)는 VLSI 회로의 physical design에서 중요한 단계로서 회로의 성능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회로 모듈의 집합을 배치시키는 문제이며, 배치 문제에서 최적의 해를 얻기 위해 클러스터 성장(cluster growth), 시뮬레이티드 어닐링(simulated annealing; SA), ILP(integer linear programming)등의 방식이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배치 문제에 대하여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을 이용한 해 공간 탐색(solution space search)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한 방식을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방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동기식 분산 딥러닝 환경에서 배치 사이즈 변화에 따른 모델 학습 성능 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f Model Training Due to Different Batch Sizes in Synchronous Distributed Deep Learning Environments)

  • 김예랑;김형준;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9-80
    • /
    • 2023
  • 동기식 분산 딥러닝 기법은 그래디언트 계산 작업을 다수의 워커가 나누어 병렬 처리함으로써 모델 학습 과정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킨다. 배치 사이즈는 이터레이션 단위로 처리하는 데이터 개수를 의미하며, 학습 속도 및 학습 모델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멀티 GPU 환경에서 작동하는 분산 학습의 경우, 가용 GPU 메모리 용량이 커짐에 따라 선택 가능한 배치 사이즈의 상한이 증가한다. 하지만 배치 사이즈가 학습 속도 및 학습 모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GPU 활용률, 총 에포크 수, 모델 파라미터 개수 등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으므로 최적값을 찾기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동기식 분산 딥러닝 환경에서 실험을 통해 최적의 배치 사이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다.

군집로봇의 협조 탐색을 위한 최적 영역 배치 (Optimal Region Deployment for Cooperative Exploration of Swarm Robots)

  • 방문섭;주영훈;지상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87-69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군집로봇의 효과적인 협조탐색을 위한 탐색영역에 대한 군집로봇의 최적배치을 제안한다. 먼저, 탐색영역에 대한 최적의 배치를 위해 보로노이 테셀레이션과 K-mea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탐색영역을 분할한다. 분할된 영역을 안전한 주행을 위해 전역경로계획과 지역경로계획을 한다. 전역경로계획은 A*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역경로계획을 하여 최적의 전역경로를 찾고, 지역경로계획은 포텐셜 필드방법을 이용하여 장애물 회피 통해 안전하게 목표점에 이르게 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알고리즘은 시물레이션을 통해 그 응용가능성을 검토한다.

전자전훈련지원체계와 해상작전위성통신체계 간 전자기 간섭 개선을 위한 최적배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design of MOSCOS arrangement to solve the EMI between EWT and MOSCOS)

  • 이지혁;조규룡;서형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5-24
    • /
    • 2019
  • 다목적훈련지원정(MTB)에 탑재되는 전자전훈련지원체계(EWT) 송신 신호에 의해 MOSCOS 간 전자기간섭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테나 최적 위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4M1E에 근거한 Fishbone Diagram을 이용하여 7가지의 원인을 식별하였으며 Friis 전달공식을 통해 고려해야 할 요소를 식별하고 기존 함정에서 발생한 유사 문제점을 분석한 후, 두 개의 최적 배치 후보를 선정하였다. 두 개의 설치 위치에 대해 전자기 수신 레벨을 측정하여 최적배치(안)을 수립한 후, 본 개선사항에 대한 실선 시험을 통해 전자기 간섭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설비배치안 작성을 위한 유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홍관수;권성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87-103
    • /
    • 1997
  • 설비 배치는 기업의 장단기 생산능력 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에 있어 최대의 효율을 올릴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하나, 최적의 설비 배치안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설비 배치 문제는 이차할당문제(Quadratic Assignment Problem : QAP)로 모형화할 수 있으며, 이의 해결을 위해 일반적으로 휴리스틱 알고리즘은 전통적인 검색 기법에 비해 우위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비 배치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유전 알고리즘의 개발을 시도하였으며, 선행 연구들과의 비교 분석 결과 기존 연구들에 비해 더 우수한 해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상단 발사체 추력기 최적 배치 연구 (Upper-Stage Launch Vehicle Servo Controller Design Considering Optimal Thruster Configuration)

  • 황태원;탁민제;방효충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55-6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추력기를 이용한 발사체 상단 RCS 자세 제어 시스템에 대해 다룬다. 이때 추력기 배치 위치와 부착 각도에 따라 시스템 응답 특성, 연료소모량, 추력 분배로직에 의한 유효 토크량, 고장대응 용이성이 달라진다.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27개의 명령에 대해 명령 방향과 일치하면서 최대 응답 토크량을 갖도록 하는 최적의 배치를 찾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에 주어진 추력기 배치 형상과 제안된 추력기 배치 형상에 대한 수치 해석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제안된 추력기 배치 형상에 정당성을 찾고자 한다.

DPSO 알고리즘을 적용한 수동탐지소나 배치 연구 (A Study on an Arrangement of Passive Sonars by using DPSO Algorithm)

  • 강종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39-46
    • /
    • 2017
  • 은밀하게 침투하여 아군의 핵심자산으로 접근하는 표적 잠수함을 상시 감시하기 위하여 수중 해저면 위치에 최적의 고정형 수동탐지소나를 배치하는 것을 고려 할 수 있다. 수동탐지소나 배치 최적화를 위한 효과도 지수는 넓은 탐지영역과 위치추정가능성의 함수로 적용할 수 있는데 계절적인 요인, 해상상태, 표적 잠수함의 침투심도 등의 다양한 확률적 변이를 포함하고 있어서 효과도지수가 배치의 입력에 대하여 확률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파라메타의 입력조건에 대하여 확률적인 출력을 갖는 수동탐지소나의 배치에 대한 최적화 문제를 정의하였으며, DPSO(Discrete binary version of PSO) 방법을 사용하여 최적 배치 안을 도출하기 위한 모의기반의 절차를 제시하고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