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소 침습적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9초

원위 경골 골절의 임상양상 및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의 결과 (Clinical Features of Distal Tibial Fractures and Treatment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 김원유;지종훈;권오수;박상은;김영율;길호진;정재중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4-10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distal tibia fractures and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9, 84 cases of 81 patients treated with plate fixation for distal tibia fracture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review. We investigated age, sex, injury mechanism, fracture patterns, and complications, and the clinical feature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of MIPO, we divided into two groups. MIPO group consisted of 55 patients were treated with MIPO technique and conventional group consisted of 18 patients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conventional anterolateral plating.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by assessing bony union time, operation time, amount of blood loss, range of ankle motion, clinical score by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The mean age of 81 patients with distal tibia fracture was 54.8 years. According to AO classification, A1:2:3 were 16, 20, 16 patients, B1:2:3 were 2, 8, 7, C1:2:3 were 1, 3, 11 patients. According to injury mechanism, slip down injury was patients, traffic accident was 26, fall from height injury was 14 patients respectively. The type A fractures were lower energy trauma and more older patients. The type C fractures were higher energy trauma and younger patients. MIPO group was better than conventional group in operative time, blood loss, bony union time, and ankle joint motion. In complications, MIPO group showed no nonunion and infection, one malunion, one skin necrosis, nine skin irritations, and one screw breakage. Conventional group showed two nonunion, four infections, two skin necrosis, and one metal failure. Conclusion: Distal tibial fractures caused by low energy trauma were on the increase. Minimal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was shorter bony union time and operation time, less blood loss, and larger ankle motions than conventional open reduction and plate fixation.

인접면 초기 우식 병소의 깊이에 따른 therapeutic sealing의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SEALING ACCORDING TO THE LESION DEPTHS OF PROXIMAL EARLY CARIES)

  • 이금랑;안명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94-403
    • /
    • 2009
  • 인접면 초기 우식병소에 대하여 레진 접착제를 도포하는 최소 침습적 개념의 therapeutic sealing은 치질 삭제가 불필요하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술식으로 인정된다. 그러나 이 방법이 초기 우식병소의 법랑질 내 침투 깊이와 무관하게 여전히 유효할 것인지에 대해 의문이 들어 이번 연구는 그 유효성을 평가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인접면에 초기 우식병소를 보이는 발거된 소구치 21개를 대상으로 하고, micro-CT 촬영을 통해 병소의 깊이에 따라 분류하였다. 전체 시편을 병소가 법랑질 외층에 국한된 시편의 표면 절반에 접착제를 도포한 1군과 하지 않은 2군, 병소가 법랑질 내층까지 진행된 시편의 표면 절반에 접착제를 도포한 3군과 하지 않은 4군, 비와동성 초기 병소가 법랑-상아 경계까지 진행된 시편의 표면 절반에 접착제를 도포한 5군과 하지 않은 6군으로 분류하였다. 열순환 후 2주간 인공 우식을 유발하고 분류과정과 동일한 평면을 찾아 micro-CT를 촬영하고 병소의 방사선 밀도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접면 초기 우식병소의 침투 깊이가 증가할수록 병소 본체의 방사선 밀도는 낮아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2. 병소의 깊이에 무관하게, 레진 접착제를 도포한 모든 실험군에서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인공 우식 처리 전후의 방사선 밀도 변화 가 작게 나타났다(p<0.05). 3. 병소가 법랑-상아 경계에 도달한 5군에서도 레진 접착제를 도포하고 인공 우식 처리시, 실험 전후의 유의한 방사선 밀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 PDF

메카노 규제 이론에 기초한 복합재료 IM-rod가 적용된 골절부의 세포분화과정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issue differentiation process in fractured bones applied by a composite IM-rod based on a mechano-regulation theory)

  • 손대성;;장승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136-14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 IM rod가 적용된 골절부의 세포 분화과정을 모사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세포의 골화과정을 해석하기 위해 편향 변형률을 이용한 메카노 규제 이론을 사용하였으며, 반복 계산을 위해 Python 코드를 이용하여 서브루틴을 구현하였다. 치료에 가장 적절한 복합재료 IM rod의 강성을 찾기 위해 직물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 (WSN3k)의 적층각도를 바꾸어 해석을 실시하였다. 골절부에 가해지는 기계적 자극에 따른 치료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두 가지 초기 하중 조건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치료효율은 강성의 차이보다 하중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으며, 초기 하중이 몸무게의 10%이고, 적층순서가 $[{\pm}45]_{nT}$일 때 치료효율이 가장 높았다.

성인 여자 오목가슴 환자에서 유방 확대술과 동시에 시행한 너스 수술 - 1예 보고 - (Simultaneous Nuss Operation and Mammoplasty in an Adult Patient with Pectus Excavatum - A case report -)

  • 김경수;조덕곤;조규도;조민섭;강철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23-526
    • /
    • 2008
  • 최근 금속막대를 이용한 누두흉의 최소 침습 수술법이 미용 성형적인 측면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누두흉은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연령에 따라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다. 드물지만 다른 선천적인 기형을 동반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여러 가지 변형된 술식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성인 여자에서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유방 저형성증을 동반한 누두흉에 대한 너스 술식과 유방 확대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험 예를 보고한다.

좌내흉동맥과 복재정맥편을 사용한 관상동맥우회로술 환자에서의 추적조사에서 MDCT의 유용성 (Effectiveness of MDCT for the Followup of CABG Patients with LIMA to LAD and Saphenous Veins to Others)

  • 강준규;김형태;박인덕;정영미;이철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10-414
    • /
    • 2005
  • 관상동맥우회로술 시에 이식편으로 사용되는 혈관들의 조합은 다양하다. 또한 수술 후의 장기 추적조사에 침습적인 관상동맥조영술을 이용하는데는 제한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좌내흉동맥을 좌전하행지에, 나머지의 목표혈관에는 복재정맥편을 사용하는 고전적인 방법으로 수술한 환자들에서 외래에서 비침습적인 MDCT로 이식편의 개존유무를 수술자의 입장에서 확인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아주대학교의료원 흉부외과에서 1995년부터 2003년 사이에 다중관상동맥질환으로 관상동맥우회로술을 받았던 환자들 중 외래추적조사에서 특별한 증세의 재발을 호소하지 않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의 동의 하에 16 Channel MDCT를 시행하였던 8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식도관의 개존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중 남녀비는 61:19였으며 평균연령은 $58.9\pm8.9$세였다. MDCT의 촬영시점은 최소 수술 후 7일에서 수술 후 9년으로 중앙값은 6.5년이었다. 환자당 평균 $3.10\pm1.9$개의 도관이 이식되었다. 좌전하행지에 좌내흉동맥을 72명의 환자에 이식하였고, 나머지의 목표혈관에는 복재정맥편을 이식하였다. 복재정맥편의 목표혈관은 좌전하행지 8예, 우관상동맥에 47예, 둔각지에 61예, 대각지에 60예를 각각 이식하였으며, 이중 42예에서 연속문합을 시행하였다. 이식편의 5년개존율이 좌내흉동맥이 $93.1\%$였고 복재정맥괸이 $89.3\%$였다 복재정맥편의 목표혈관별 5년개존율은 대각지 $94.9\%$, 둔각지$92.1\%$, 그리고 우관상동맥이 $79.2\%$순이었다. 복재정맥편의 경우 단독문합의 페쇄율이 $5\~21.3\%$로 연속문합의 $4.8\%$에 비해 높았다. 걸론: 관상동맥우회로 술 후에 외래추적기간 중 시행한 MDCT는 이식도관의 개존을 확인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향후 영상의 해상도가 높아지면 관상동맥의 질환을 진단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관상동맥우회로술시에 좌내흉동맥과 복재정맥편을 혼용한 수술의 결과는 만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이용하여 개의 재발되는 대퇴관절 탈구증의 치료 (Treatment of Recurrent Coxofemoral Joint Luxation by Total Hip Replacement in a Dog)

  • 김주호;허수영;김민수;이기창;김남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5-128
    • /
    • 2014
  • 38 kg, 7년령의 골든리트리버가 대퇴관절 탈구증으로 의뢰되었다. 신체검사에서는 왼쪽 뒷다리를 신전시킬 때 통증과 염발음이 확인되었다. 방사선 검사를 통해 왼쪽 대퇴관절 탈구증 및 경도의 퇴행성 골변화가 관찰되었다. 치료로서 TightRope$^{(R)}$를 이용한 최소침습 관절경적 정복을 하였으나, 수술 후 한달이 지나 재탈구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무시멘트형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실시하였다. 수술 후 10개월 경과된 결과, 환자는 정상적으로 앉기, 서기, 보행을 보였으며, 특이한 파행없이 편안하게 뛸 수 있었다. 수술한 뒷다리의 허벅지둘레는 반대쪽 다리의 그것에 비해 108.6%였다. 이 증례를 통해 대퇴관절 전치환술은 대퇴관절 정복이 실패하여 재탈구된 개의 대퇴관절 탈구 치료에 효과적인 수술법이 될 수 있다.

종경동경을 이용한 요부 교감신경 절제술 (Mediastinoscopic Lumbar Sympathectomy)

  • 김동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29-232
    • /
    • 2005
  •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은 족부 다한증, 하지 혈관 질환 및 신경계 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시행되는 수술로 흉부교감 신경 절제술에 비해 수술 빈도는 많이 떨어지나, 최근의 수술 경향인 최소 침습 수술의 발달과 복강경을 이용한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이 소개되면서 관심이 증가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8명의 환자에서 종격동경을 이용한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환자의 남녀비는 12:6으로 남자가 많았고 평균 연령은 24.3세였으며, 수술 부위는 12명의 족부 다한증 환자에서는 양측을 수술하였고 나머지 6명의 환자에서는 좌측 4예, 우측 2예의 수술을 시행하여 총 30예의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은 37.2$\pm$12.5 분이었으며 수술 후 평균 재원일은 3.1$\pm$2.2일이였다. 결론: 종격동경을 이용한 요부 교감 신경 절제술은 간단하고 효과적인 수술 방법으로, 미용적인 측면과 수술 후 동통의 감소 및 수술 후 재원 기간의 단축 등의 장점이 있는 수술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수의 환자에서 결과를 분석하여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예상된다.

최소침습적 관상동맥우회술의 발전단계와 경험에 대한 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MIDCAB - Developmental Stage and Early Short-term Results -)

  • 이영탁;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1호
    • /
    • pp.1009-1016
    • /
    • 1999
  • Background: Minimally invasive direct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MIDCAB) has been increasing in interest along with the new techniques in myocardial immobilization for easier and safer procedures. Until the opening of the era of new techniques, adequate accuracy and good patency of grafts were debatable. Our experiences of MIDCAB were studi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technical developments. Material and Methods: Since March 1996, 55 patients have undergone MIDCAB procedures. The patients of off-pump CABG(no cardiopulmonary bypass under full sternotomy)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In the early experience(Stage I), a left anterior small thoracotomy through the left parasternal incision was performed(n=6); then an approach through the lower partial sternotomy was used(Stage II, n=33); and recently, a chest wall elevator for harvesting the internal thoracic artery and the foot plate for myocardial immobilization have been used(USSC, Norwalk, CT)(Stage III, n=16). Result: The surgical procedures of four patients in the Stage II group have been converted to conventional bypass because of the deeply seated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in two patients, fracture of the calcific lesion in the right coronary artery in one patient, and a cardiogenic shock during hypothermia in the other patient with ventricular dysfunction. Two patients in stage II experienced symptomatic recurrences after surgery and restenosis was verified on angiocardiography. They were managed by interventional procedures. All the other patients were doing well without symptoms, except one patients in Stage II who underwent PTCA procedure for a lesion in the circumflex artery during the follow up period. Conclusion: The new and specialized devices are essential to the development of MIDCAB surgery. MIDCAB and the hybrid procedures in multi-vessel disease are on the way to further development. So far, our experience is limited only to a single device among the many new devices for the purpose.

  • PDF

전방 경추 미세 추간공 확대술 : 경추증에 대한 최소침습적 전측방 접근법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 A Minimally Invasive Anterolateral Approach for Spondylotic Lesions)

  • 박성진;하호균;정호;이상걸;박문선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호
    • /
    • pp.87-94
    • /
    • 2000
  • Objective : Various surgical approaches have been implemented to fulfill the ideal goals of treatment for cervical spondylotic lesions. Conventional approaches are represented by anterior approach with or without fusion and posterior approach. The authors has applied newly developed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for these lesions on minimally invasive basis. Materials and Method : Twenty-one patients, with cervical HIVD, or stenosis, or both, underwent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between March, 1998 and April, 1999. Fifteen patients underwent unilateral decompression, and 6 bilateral decompression via unilateral foraminotomy. Operation of one level was performed in 16 patients, 2 levels in 4 patients, and 3 in 1 patient. The foraminotomy was accomplished by resecting the uncovertebral joint. Through this hole, compressed nerve root was decompressed by removing the spondylotic spur or disc fragment, and diagonal removing of posterior osteophyte from foraminotomy site to begining of contralateral nerve root made spinal cord decompression. Results : The outcome was excellent in 17 patients(81%) and good in 4 patients(19%) based on Odom's criteria. No complication was encounterd, and average post-operation hospital stay was 3.7 day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provide adequate neural decompression, minimum postoperative discomfort and fast recovery.

  • PDF

감마선, 전자선에 의한 멸균 비교분석 (Comparative Study of Sterilization by Gamma-ray and Electron-Beam)

  • 정경환;박창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37-543
    • /
    • 2020
  • 현대사회의 노인 인구는 첨단 의료기술과 최소 침습 수술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기 때문에 병원성 감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현대 의학의 최우선 목표는 감염예방이다. 최근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이식술이 늘고 있다. 대표적 재료로 이용되는 것이 수산화인회석이다. 현재 HA 디스크 멸균을 위한 흡수선량 기준이 없으므로, HA 디스크 표면에 오염된 대장균과 충치균을 감마선 코발트와 선형 가속기를 이용하여 각 흡수선량 0, 0.5, 1.0, 3.0, 5.0 kGy로 조사 후, 십진 희석법으로 검체에서 균 수를 측정하였다. 멸균 후 대장균, 충치균의 생존 비교분석을 위해 비모수 검정법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대장균은 1 kGy 이상, 충치균은 3 kGy 이상에서 멸균되었다. 방사선 멸균 흡수선량 권고사항보다 낮은 수치에서 멸균을 시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