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소차수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7초

최소 차수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속도센서 없는 유도전동기 벡터제어 (Speed Sensorless Vector Control of Induction Motors Using a Minimum-order Extended Kalman Filter)

  • 이승현;정교범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A
    • /
    • pp.171-175
    • /
    • 1998
  • This paper proposes a speed sensorless vector control of induction motor using a minimum-order EKF(extended kalman filter). Minimum-order EKF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mputational estimation cost because the stator current is not estimated. EKF does not deteriorate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speed control system, even though the measurements are relatively noisy. The estimated rotor speed is used for vector control and overall speed control. Computer simulations of the speed sensorless vector control are carried out to test the usefulness of the minimum-order EKF algorithm.

  • PDF

변형된 Dijkstra 알고리즘을 활용한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QoS 향상 기법 연구 (A Study on QoS Improvement for Overlay Multicast Using Modified Dijkstra Algorithm)

  • 이형옥;남지승;박준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468-3473
    • /
    • 2013
  • 본 화상 회의, 인터넷 방송 등의 실시간 응용 시스템을 위해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트리가 충족 시켜야 하는 조건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호스트, 즉 트리 상의 노드의 차수가 적절한 상한이어야 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 조건은, 멀티캐스트 트리의 지름, 즉 트리 상의 경로 거리로 볼 때 가장 먼 두 사용자 간의 거리가 작아야 한다는 것이다. 각 노드의 차수가 상한을 가지고 있을 때 지름이 최소인 트리를 구성하는 문제는 NP-complete 문제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Dijkstra 알고리즘의 Cost값을 트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가용대역폭, Delay를 체크한 후, 제안하는 Score Function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그 값을 Dijkstra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트리를 구성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평가를 하였다.

회귀신경망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ech Recogni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 한학용;김주성;허강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2-67
    • /
    • 1999
  • 본 논문은 회귀신경망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예측형 신경망으로 음절단위로 모델링한 후 미지의 입력음성에 대하여 예측오차가 최소가 되는 모델을 인식결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예측형으로 구성된 신경망에 음성의 시변성을 신경망 내부에 흡수시키기 위해서 회귀구조의 동적인 신경망인 회귀예측신경망을 구성하고 Elman과 Jordan이 제안한 회귀구조에 따라 인식성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음성DB는 ETRI의 샘돌이 음성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신경망의 최적모델을 구하기 위하여 예측차수와 은닉층 유니트 수의 변화에 따른 인식률의 변화와 문맥층에서 자기회귀계수를 두어 이전의 값들이 문맥층에서 누적되도록 하였을 경우에 대한 인식률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최적의 예측차수, 은닉층 유니트수, 자기회귀계수는 신경망의 구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Jordan망이 Elman망보다 인식률이 높았으며, 자기회귀계수에 대한 영향은 신경망의 구조와 계수값에 따라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 PDF

하이브리드 기법에 의한 경사균열 팁 주위의 광탄성 응력장 해석 (Analysis of Photoelastic Stress Field Around Inclined Crack Tip by Using Hybrid Technique)

  • 첸레이;서진;이병희;김명수;백태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9호
    • /
    • pp.1287-129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균열선단 주위의 응력장을 균열선단으로부터 떨어진 일직선상에서 유한요소법에 의해 계산된 광탄성 등색프린지 차수와 급수형 등각사상 맵핑함수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석된 광탄성 응력장을 실제의 광탄성프린지와 비교하였다. 정성적인 비교가 용이하도록 디지털 영상처리에 의해 등색프린지 패턴을 2 배로 증식시키고, 증식된 프린지를 다시 세선처리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유한요소법으로 계산된 프린지 차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응력장 해석에 의해 계산된 프린지와 광탄성 실험에 의한 실제의 프린지를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비교를 하였다. 입력된 변위와 계산된 변위의 퍼센트 오차는 18 개의 데이터 모두 6.0% 이하로 서로 일치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기법에 의한 정규화시킨 응력확대계수 $K_I$$K_{II}$는 유한요소법과 경험식으로 계산된 값에 근접하였다.

석유제품의 유통구조와 물류체계 분석 - 경질제품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d Logistics System of Light Petroleum Products)

  • 이희연;최윤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24
    • /
    • 2002
  • 본 연구는 경질제품의 유통구조와 물류체계를 공간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석유제품은 정유사, 대리점, 주유소의 유통기관들을 통해서 공급되지만, 제품의 특성과 용도별로 상이한 유통경로를 갖고 있다. 석유제품의 수송은 정유공장에서 주요 소비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저유소까지의 1차 수송과 주유소로부터 주유소나 중소수요처까지의 2차 수송으로 이루어진다. 1차 수송에는 유조선, 유조화차, 송유관, 유조차가 이용되고, 대리점이나 수송용역 업체가 담당하는 2차 수송은 대부분 유조차가 수송을 전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K와 LG 정유사의 저유소 분포와 저유소 유형별 공급권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하나의 저유소가 관할하는 공급권역내에 포함된 인구수와 자동차수, 주유소수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주유소가 공급을 담당하는 최소요구치 수요인 인구수와 자동차수를 산출하였다.

  • PDF

임펄스 잡음 환경 하에서 FNOM와 MD를 이용한 새로운 시지연 및 시간-주파수 지연 복합 추정 방법 (New Methods for Estimation of Time Delay and Time-Frequency Delay in Impulsive NOise Environment Using FNOM and MD Criterion)

  • 이진;정정균;이영석;김성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96-104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임펄스 잡음이 부가되는 환경 하에서 시지연 추정 및 시지연과 주파수 지연 목합 추정을 위한 새로운 강건 알고리즘들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alpha}-stable$ 분포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음의 분수 차수 모멘트(FNOM: fractional negative order moment)와 최소 산란(MD : minimum dispersion) 법을 이용한 강건 시지연 추정법들과 이를 응용한 시지연과 주파수 지연의 복합 추정법인 음의 분수 차수 모호함수법과 복합 최소 산란 법으로 구성되었다. 제안한 방법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서 실제 응용 능력을 기존의 여러 방법들과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2차 모멘트 이론을 바탕으로 한 관례적인 방법들은 가우시안 잡음 환경 (${\alpha}$=2인 $S{\alpha}S$ 잡음) 하에서만 시지연 추정이 가능하였고, 최근 제안된 Nikias[7]의 강건 시지연 추정법 들도 대부분이 제한된 임펄스 잡음 ($1<{\alpha}{\le}2$$S{\alpha}S$ 잡음)에 대해서만 그 성능이 입증된 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들은 가우시안 잡음 및 심한 임펄스 잡음 ($0<{\alpha}{\le}2$$S{\alpha}S$ 잡음) 하에서도 강건하게 시지연 추정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 PDF

Open-Loop Polar Transmitter에 적용 가능한 테일러 급수 근사식과 CORDIC 기법 성능 비교 및 평가 (Performance Comparison of Taylor Series Approximation and CORDIC Algorithm for an Open-Loop Polar Transmitter)

  • 김선호;임성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9호
    • /
    • pp.1-8
    • /
    • 2010
  • DPM (Digital Phase wrapping Modulation) open-loop polar transmitter는 in-phase와 quadrature 신호를 진폭(envelope) 신호와 위상(phase) 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의 사상화 과정을 거쳐 광대역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사상화 과정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의 양자화와 유사하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고려할 때 좌표계 변환부에 CORDIC (COordinates Rotation DIgital Computer) 알고리듬 대신 테일러 급수 근사 기법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테일러 급수 근사 기법을 광대역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용 DPM polar transmitter의 직교 좌표계-극 좌표계(cartesian to polar coordinate) 변환부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방법은 CORDIC 알고리듬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모의 실험을 통해 각각의 기법에 대한 평균제곱오차 (MSE : Mean Square Error) 성능을 측정하고, 설계 관점에서 허용된 CORDIC 오차를 기준으로 알고리듬의 최소 반복횟수와 테일러 급수의 최소 근사 차수를 찾는다. 또한 FPGA 전달 지연속도를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CORDIC 알고리듬 대신 낮은 차수의 테일러 급수 근사 기법을 사용해 좌표 변환부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휨을 받는 L-형 평판의 적응적 세분화를 위한 선택적 p-분배 (The Selective p-Distribution for Adaptive Refinement of L-Shaped Plates Subiected to Bending)

  • 우광성;조준형;이승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33-541
    • /
    • 2007
  • 계층적 p-세분화를 위해 Zienkiewicz-Zhu 오차평가법이 약간 수정되었으며, 이 방법의 유효성을 보이기 위해 휨을 받는 개구부를 갖는 Reinssner-Mindlin $C^{\circ}$-평판에 적용하였다. 유한요소해석상의 적응적 체눈을 결정하는 단계는 초수렴 팻취 복구기법에 기초를 둔 사후오차평가자와 연계된 p-세분화에 의해 제안되었다. 요소내의 변위장을 정의하기 위해 적분형 르장드르 고차 형상함수가 사용되는 반면 복구응력을 보간하기 위해 파스칼의 삼각수에 기초를 둔 같은 차수의 고차다항식이 사용되는 이유로 수정 Z/Z 오차평가는 종래의 방법과 다소 차이를 보여준다. 가우스 적분점에서의 응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한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응력함수를 얻기 위해 최소제곱법이 사용되었다. 고정된 요소망에 거의 최적의 형상함수 차수의 분배를 찾기 위한 전략이 논의되었는데, 허용되는 정확도를 얻을 수 있을 때까지 각 요소마다 형상함수의 차수를 불균등하게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소위 최적의 선택적 p-분배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되어있다. 위의 사항들을 L-형 평판 해석에 적용한 결과, 적응적 p-체눈설계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자유도의 증가에 따라 오차량은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제안된 오차 지시자에 의한 적응적 p-체눈 세분화는 최적 p-분배 진행방향에 근접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초정밀 평면 X-Y 스테이지의 최적제어기 설계 (Optimal Design of Controller for Ultra-Precision Plane X-Y Stage)

  • 곽이구;김재열;양동조;고명수;유신;김기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2-347
    • /
    • 2002
  •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20 century, the world are preparing for new revolution that is society with knowledge for a basis such as IT(Information Technology), NT(Nano Technology) and BT(Bio Technology). Recently, NT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that are composed of science, industry, media and semiconductor-micro technology. It has need of IT that is ultra-precision positioning technology with strokes of many hundreds mm and maintenance of nm precision in fields of ultra micro process, ultra precision measurement, photo communication part and photo magnetic memory. Performance test of servo control system that is used ultra-precision positioning system with single plane X-Y stage is performed by simulation with Matlab. Analyzed for previous control algorithm and adapted for modern control theory, dual servo algorithm is developed by minimum order observer, and stability and priority on controller are secured. Through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s on ultra precision positioning, stability and priority on ultra-precision positioning system with single plane X-Y stage and control algorithm are secured by using Matlab with Simulink and ControlDesk made in dSPACE

  • PDF

시험 일정 계획 수립 문제에 관한 채색 수 알고리즘 (Chromatic Number Algorithm for Exam Scheduling Problem)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11-117
    • /
    • 2015
  • 시험 일정 계획 수립 문제는 정확한 해를 다항시간으로 구하는 알고리즘이 알려져 있지 않은 NP-완전이다. 이 문제에 대해, Gu${\acute{e}}$ret et al.은 $O(m^4)$ 수행 복잡도의 선형계획법으로 해를 얻고자 하였다. 반면에, 본 논문에서는 O(m) 복잡도의 채색 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원 데이터를 교과목에 대한 부적합성 행렬과 그래프로 변환시켰다. 다음으로, 부적합성 제약조건을 충족하면서 최소의 시간으로 시험을 치루기 위해, 최소 차수 정점(교과목)부터 인접하지 않은 정점들을 $C_i$ 색으로 배정하여 $B_i$ 상자에 채웠다. 실험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험 일정 계획 수립 문제에 대해 선형계획법의 $O(m^4)$를 O(m)으로 단축시키면서도 동일한 해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