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소비용 경로분석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AODV-based acquiring efficient route scheme in Ad-hoc Networks. (AODV 기반의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율적인 경로 획득 방안)

  • Kim, Jin-Duk;Jung, Jae-Hong;Kim, ARan;Si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552-555
    • /
    • 2012
  • 애드 혹 네트워크는 고정된 인프라 없이 동적으로 구성되는 이동 노드들의 집합으로 독립성을 높일 수 있다. 현재 애드 혹 라우팅 프로토콜과 관련해 단일 경로를 제공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안되어 있으나 노드의 잦은 이동으로 인한 경로 재설정이 발생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의 특성으로 인하여 오버헤드와 지연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그 중에서도 ADO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는 On-demand 방식의 프로토콜로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할 때만 경로를 설정한다. 그러나 최소비용 기반의 경로 산출이 아닌 링크연결 기반의 경로산출로 인한 불필요한 처리 및 지연이 가중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소 비용 기반의 경로 산출 방안인 SPAODV(Shortest Path AODV)를 제안하고 기존의 AODV 경로산출과 비교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경로산출 방안을 제시한다.

Agent Movement Technique for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COVID-19 using MCMF Algorithm (최소-비용 최대-유량 알고리즘을 이용한 COVID-19와 같은 응급상황에 대한 에이전트 이동기법)

  • Shin, YoungChan;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265-26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와 같은 응급상황에서 필요한 환자의 이동 및 검사 경로 등을 MCMF(Min-cost Max-flow, 최소-비용 최대-유량) 알고리즘 기반의 에이전트 이동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푸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환자의 수가 유동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고정된 경로가 아닌 매번 최적화시킬 수 있는 경로는 요즘 같은 COVID-19 시대에 필요한 기술이며, 이와 같은 응급상황에서는 이른 시일 내에 대처하고 조치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정보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상황에 대한 처리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응급상황에 대한 처리 시간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MCMF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지도 API와 실제 병원 위치 등을 이용하여 실제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지 연구하고 분석한다.

  • PDF

Improving Network Search Process using Space Syntax (Space Syntax를 이용한 경로탐색 개선 방법에 대한 연구)

  • 전철민;장민철;설재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5-49
    • /
    • 2004
  • 최적경로문제는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할 때, 최소한의 비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찾는 문제를 의미하며,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경로 안내 시스템에 적용되어 왔다. 이때, 보통 시간비용을 최소로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는 타인에게 어떠한 경로를 설명하거나 알려 줄 때, 인지도나 접근성이 높은 경로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경로를 산출할 때 접근성이 높은 경로를 포함하여 경로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건축, 도시공간에서 접근성 분석에 사용되고 있는 Space Syntax라는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GIS 데이터 구조를 이용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일부 수정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최단거리 산출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Dijkstra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알고리즘을 소규모의 교통 네트웍상에 적용하여 테스트하였다.

  • PDF

Estimation of Risk and Optimal Route to Transport Hazardous Materials -Application to Metropolitan Area- (위험물 수송을 위한 위험도 및 최적경로산정 -수도권 사례를 중심으로-)

  • 조용성;오세창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1
    • /
    • pp.75-89
    • /
    • 1999
  • 위험물차량사고는 일반차량의 교통사고시 발생하는 인명피해, 재산피해, 교통지체 외에 부가적으로 환경적 영향에 의한 엄청난 인명 및 재산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물차량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물수송경로의 신중하고 체계적인 결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물차량의 수송경로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의 기준 및 목표에 따라 위험물수송경로를 설정하는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위험물수송에 수반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위험물차량의 통행시간, 거리, 비용 등을 최적화하여 위험물수송의 안전 및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위험물 수송경로의 기준지표로 사용될 위험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고율과 피해가능규모를 구하도록 사 고건수, 링크 주변노출인구, 링크상의 노출인구, 밀도 등을 변수로 하는 모형식을 제안하고, 두 번째로 위험물 수송을 위한 최적경로를 산출하기 위해 위험도와 통행시간을 목적함수로 하는 다목적계획모형을 제안하였고 기존의 최적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경로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을 적용하고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단경로와 비교.분석하였다. 모형적용결과, 링크주변인구만을 고려하는 기존 모형에 비해 링크상의 인구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좀더 실제적으로 교통상황을 충분히 반영한 피해규모를 산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위험도와 통행시간에 0.5의 비중을 주는 다목적모형이 기존의 위험도모형에 비해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최소 4%, 최대 12%의 통행시간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 PDF

Locating Logistics Hub with Parcel Delivery Data (실제 택배 데이터 기반으로 최적의 물류 허브 위치 도출)

  • Song, Ha Yoon;Han, In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0-272
    • /
    • 2019
  • 택배 배달 서비스는 전국적 물류의 중요 부분이다. 노선이 잘못되면 시간과 비용 면에서 경제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류 회사나 IoT 기기 등에서 실제 배송 데이터 10만 개를 수집하여 최소 거리와 최소 시간의 관점에서 최적의 허브 후보 위치를 분석하였다. 택배의 공통 경로 데이터는 실제 택배의 경로 데이터에 Longest Common Route Sequence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한 택배의 공통 경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허브 후보 위치를 설정하고, 이로부터 최적의 거리와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stablishing Urban Ecological Network ; Based on the Landscape Ecology Theory (도시 생태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 경관생태학 이론을 기반으로)

  • Oh, Kyu-Shik;Lee, Dong-Woo;Jung, Seung-Hyun;Park, Chang-Su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3
    • /
    • pp.251-259
    • /
    • 2009
  • As a result of the current trend towards promoting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conducted to determine ways to establish an ecological network.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s and an environmental database of GIS has made the creation of this network more effici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n urban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Landscape Ecology Theory'.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sugges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ages. First, landscape patch for the core areas, which are major structures of the ecological network, was determined using the GIS overlay method. Second, a forest habitat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connectivity assessment. Using the gravity model, connectivity assessment at the habitat fores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needed connecting area. Third, the most suitable corridor routes for the eco-network were presented using the least-cost path analysis. Finally, a brief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flict areas between the study result and land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urban green network planning. Moreover,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control urban sprawl, promote biodiversity.

  • PDF

A Study on the Solid Waste Collection Districting and Vehicle Routing-Scheduling for Waste Collec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생활폐기물의 수거권역설정과 수거차량의 순회경로계획에 관한 연구)

  • 이희연;임은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9 no.1
    • /
    • pp.15-30
    • /
    • 2001
  • Solid waste collection service is view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ublic services in urba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GIS based regional partitioning and arc routing methods for solid waste collection districting and vehicle routing-scheduling in order to provide waste collection service more efficiently. In this study, solid waste deposit sites are derived from the centroid of each building and the amount of solid waste is deduced based on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establishments. The regional partitioning procedure is performed based on waste collection zones which are constructed from waste deposit sit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olid waste collection districts which are delineated by regional partitioning method are able to increase efficiencies and cut costs in performing solid waste collection services. Also the output of vehicle-scheduling from the analysis of arc routing may provide more efficiently and quickly manage the scheduling of the residential solid waste collection routes, reducing costs with minimal deadheading costs.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GIS based on regional partitioning and arc routing methods would be very useful to construct a solid waste management system by supplying the important and flexible informations for solid waste collection districts and vehicle routing-scheduling for waste collection.

  • PDF

Variable Message Sign Operating Strategies Based on Bayesian Games (베이지안 게임이론에 근거한 전략적 VMS 제공에 관한 연구)

  • Kwon, Hyug;Lee, Seung-Jae;Shin, Sung-W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7 s.78
    • /
    • pp.71-78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game-theoretic model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variable message sign(VMS) operations. There are one VMS operator and many drivers as players. Operator wants to minimize the total travel time while the drivers want to minimize their own travel time. The operator who knows the actual traffic situation offers information strategically. The drivers evaluate the information from operator, and then choose the route. We model this situation as a cheap-talk game which is a simplest form of Bayesian game. We show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perator can improve the traffic efficiency by manipulating the electric signs at times. Indeed, it is an equilibrium of the game. This suggests that the operator must consider the strategic use of VMS system seriously.

Optimal path planning and analysis for the maximization of multi UAVs survivability for missions involving multiple threats and locations (다수의 위협과 복수의 목적지가 존재하는 임무에서 복수 무인기의 생존율 극대화를 위한 최적 경로 계획 및 분석)

  • Jeong, Seongsik;Jang, Dae-Sung;Park, Hyunjin;Seong, Taehyun;Ahn, Jaem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6
    • /
    • pp.488-496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to determine the routes of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to conduct multiple tasks in different locations considering the survivability of the vehicles. The routing problem can be formulated as the vehicle routing problem (VRP) with different cost matrices representing the trade-off between the safety of the UAVs and the mission completion time. The threat level for a UAV at a certain location was modeled considering the detection probability and the shoot-down probability. The minimal-cost path connecting two locations considering the threat level and the flight distance was obtained using the Dijkstra algorithm in hexagonal cells. A case study for determining the optimal routes for a persistent multi-UAVs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missions given multiple enemy bases was conducted and its result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