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소발화온도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초

발열의류로 인한 화재위험성 및 저온화상에 대한 분석 연구 (A Study of the analysis on the risk of ignition and low-temperature burns caused by the use of electrically heated clothes)

  • 이정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2-129
    • /
    • 2018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최근 많이 이용하고 있는 발열조끼에 의한 저온화상과 화재위험성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사용전압보다 더 높은 전압에 발열조끼를 연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재현실험한 결과 높은 저온화상과 발화위험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전압을 인가했을 때 상대적으로 열선의 저항값이 더 낮은 발열조끼 제품이 더 높은 온도에 도달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결론 : 발열조끼는 온도조절장치나 타이머가 존재하지 않아 온도가 급격히 올라갈 경우 안전장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재나 저온화상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열선의 최소저항값 기준을 설정하고,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열선 사용의 규제가 필요하다.

내장벽지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Various Wallpapers)

  • 김해림;김영탁;박영주;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520-52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실내 내장재료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벽지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소특성을 고찰하고자 콘 칼로리미터, 연기밀도 시험기, 발화점 시험기, 산소지수 시험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발열성, 발연성, 착화성, 난연성을 측정하였다. 벽지의 발열특성은 기능성 벽지인 쑥벽지와 특정벽지인 질석벽지가 다른 벽지에 비해 많은 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염벽지의 연기밀도가 130.8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질석벽지는 61초에 착화가 되어 다른 벽지에 비해 착화시간이 최소 4배 이상 늦게 착화가 되었으며, 발화온도 또한 270.8$^{\circ}C$로 높게 나타났다. 산소지수측정 범위는 18.9${\sim}$23.2%의 값으로 공기 중의 산소농도와 비슷한 범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의 분진 폭발특성에 관한 연구

  • 임우섭;박승호;목연수;이동훈;최재욱;이무진;조태제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24-128
    • /
    • 2000
  • 가연성분진을 생산, 가공, 수송하는 과정에서 분진폭발의 위험성은 항상 존재하고 있으며, 일단 분진폭발이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큰 대형사고의 경향을 띄게 되므로,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는 폭발예방대책을 강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분진폭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폭발하한계, 최대폭발압력, 폭발압력상승속도, 최소착화에너지, 최저발화온도 등이 있으며, 이들 특성치는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여야 한다.(중략)

  • PD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ible Properties of Dimethylacetamide (DMAc))

  • 하동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553-556
    • /
    • 2015
  •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취급물질의 정확한 연소특성치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Setaflash 밀폐식은 $61^{\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에서는 $65^{\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에서는 $68^{\circ}C$, Cleveland 자동 개방식에서는 $71^{\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347^{\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61^{\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1.52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ropionic Anhydride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of Propionic Anhydride)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6-72
    • /
    • 2016
  •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propionic anhydride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Propionic anhydride의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Propionic anhydride의 인화점 측정에서 Setaflash 밀폐식은 $40^{\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은 $44^{\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은 $49^{\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47^{\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335^{\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40^{\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1.30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브로모벤젠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The Prediction and Measurement of Combustible Properties for Bromobenzene)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21-25
    • /
    • 2015
  •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취급물질의 정확한 연소특성치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브로모벤젠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Setaflash 밀폐식은 $44^{\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에서는 $50^{\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에서는 $56^{\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64^{\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573^{\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44^{\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1.63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큐멘(Cumene)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of Cumene)

  • 하동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465-469
    • /
    • 2016
  •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취급물질의 정확한 연소특성치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큐멘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큐멘의 Setaflash 밀폐식은 $31^{\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에서는 $33^{\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에서는 $43^{\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45^{\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큐멘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419^{\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31^{\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0.87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디노말부틸아민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uion Properties of di-n-Buthylamine)

  • 하동명
    • 에너지공학
    • /
    • 제28권4호
    • /
    • pp.42-47
    • /
    • 2019
  • 본 연구에는 유화제, 살충제, 첨가제, 고무 가황 촉진제, 부식 억제제제 및 염료 생산의 원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디노말부틸아민(di-n-buthylamine)을 선정하여 연소특성치를 측정하였다. 디노말부틸아민의 인화점은 밀폐식 Setaflash와 Pensky-Martens 그리고 개방식 Tag, Cleveland 장치로 측정하였고, 연소점은 개방식 장치를 이용하였다. 최소자연발화온도(AIT)는 ASTM 659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디노말부틸아민의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Setaflash와 Pensky-Martens에 의한 인화점은 38 ℃와 43 ℃로 측정되었고, Tag와 Cleveland는 각각 48로 동일하게 측정되었다. 디노말부틸아민의 AIT는 247 ℃로 측정되었다. Setaflash에서 측정된 인화점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0.69 vol%, 상한계는 7.7 vol%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화점 측정과 폭발한계의 예측 방법은 다른 가연성액체의 화재 및 폭발특성 연구에 활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