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대진동속도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rue Maximun Vector Sum and Maximum Vector Sum In Vibration Monitoring of Blast (최대 실벡터합과 최대 벡터합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강추원;추영래;박현식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9 no.2
    • /
    • pp.19-26
    • /
    • 2001
  • 국토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각종 토목.건설공사나 석재 및 골재생산 등을 위해 암반을 굴착함에 있어 다양한 산업용 화약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약의 사용으로 인해 수반되는 발파진동은 인체 및 구조물 등에 피해를 발생시켜 인근의 주민과 마찰을 일으키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발파진동속도 data를 취합하여 분석 사용함에 있어서 V, T, L 성분의 최대 실벡터합을 사용하는 경우와 최대 벡터합을 사용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실제 현장 기험시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진동속도는 최대 실 벡터합에 비해 최대 벡터합에 의해 구해진 진동속도의 크기가 장승근에서는 24.6%, 삼승근에서는 26.1%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일성분의 최대치, 최대 실벡터합, 최대 벡터합의 안전율은 1 : 1.154 : 1.359로 나타났다

  • PDF

Influence of Adjacent Structures using Numerical Method during funnel Blasting (터널발파굴착시 수치해석에 의한 구조물의 영향평가)

  • 김학문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4 no.3
    • /
    • pp.274-278
    • /
    • 2003
  • The numeric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ibration response reduced sharply at the three times of tunnel diameter. Visual display of vibration response was possible through 3-D FEM computer program, and displacement of structure, particle velocity were obtained as output. It was found that the vibration velocity was maximum at distance one to two times of tunnel diameter for the given simplified blast loadings.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were compared with empirical based predictive equation of blasting. The empirical equation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3-D FEM results at a certain range of tunnel depth in this particular type of ground conditions.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Velocity by the Number of Blasting Hole (발파공수에 따른 진동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창훈;강추원;김종인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9 no.1
    • /
    • pp.63-70
    • /
    • 2001
  • 발파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매개변수들 중에서 현재 발파진동 예상식을 도출하기 위해 장약량과 거리를 매개변수로 하여 발파진동을 예측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장약랑은 지발당 최대장약량으로, 발파당 장약량과의 관계는 언급하고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발당 최대장약량이 동일한 상태에서 발파공수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발파당 장약량이 변화할 때 발파진동속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발파공수를 5공에서 10공까지 변화시 켜가며 발파진동을 폭정하고 분석한 결과 지발당 장약량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공수가 증가함에 따라 환산거리 60∼90 구간에서 진동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 PDF

Shock Waveform Synthesis for Shock Response Spectrum Test by Using Wavelets (충격반응 스펙트럼 시험에서 웨이브레트를 이용한 충격파형 합성)

  • 윤을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4a
    • /
    • pp.25-25
    • /
    • 1998
  • 진동시험기를 사용한 충격시험은 자유 낙하식 충격시험기를 이용하는 것 보다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며, 충격반응 스펙트럼 시험의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진동시험기를 이용하여 충격반응 스펙트럼 시험을 실시하는데 진동시험기에서 허용하는 최대 힘, 속도, 변위에 의하여 제약을 받게 된다. 충격반응 스펙트럼을 만족하는 충격파형은 무수히 많으나 최대 가속도, 속도, 변위 등이 작으면 작을수록 그 충격파형의 품질이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다. 충격 지속시간이 짧고 충격가속도의 최대치가 큰 충격파형을 인가할 수 없지만, 충격 지속시간이 보다 길고 충격가속도의 최대치가 작은 파형이 동일한 충격반응 스펙트럼 규격을 만족할 수 있다. 진동시험기를 사용하여 충격반응 스펙트럼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충격파형이 웨이브레트를 이용하여 시험규격의 충격반응 스펙트럼을 만족하도록 합성된다. 웨이브레트의 매개변수는 주파수, 반파의 개수, 지연시간, 극성이다. 각 웨이브레트의 진폭은 시험규격의 충격반응 스펙트럼을 만족하도록·반복적으로 조절된다. 이렇게 합성된 충격파형은 진동시험기를 사용한 충격반응 스펙트럼 시험의 참조 가속도 파형으로 간주된다.

  • PDF

Study of Acoustic Streaming at Resonance by Longitudinal Ultrasonic Vibration Using Particle Imaging Velocimetry (입자 영상 유속계를 이용한 초음파 수직진동에 의해 유도된 공진상태에서의 음향유동에 관한 연구)

  • 노병국;이동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5
    • /
    • pp.340-352
    • /
    • 2004
  • Acoustic streaming induced by the microscopic longitudinal ultrasonic vibration at 28.5 ㎑ is visualized between the quiescent glass plate and ultrasonic vibrator by particle imaging velocimetry(PIV) using laser. To investigate the augmentation of air flow velocity of acoustic streaming. the velocity variations of air streaming between the stationary plate and ultrasonic vibrator are measured in real-time. It i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at the magnitude of the acoustic streaming dependent upon the gap between the ultrasonic vibrator and stationary p1ate results in the variations of the average velocity fields as a outcome of the bulk air flow caused by the ultrasonic vibration. In addition. maximum acoustic streaming velocity exists at resonant gap. 18mm that is one of the resonant gaps (H=18, 24, 30, 36㎜) at which resonance occurs. The variation of the local maximum turbulent intensity with axial direction appear to reveal the value of 8%∼70% dependent upon the gap between the quiescent glass plate and ultrasonic vibrator. Shearstress is also maximized at the center region of the vibrator and the vorticity is also maximum and minimum in the neighborhood of the center of the vibrator at which the local maximum turbulent intensity and shear stress exist.

Maximum Control Force of Velocity-dependent Damping Devices Using Response Estimation Models (응답예측모델을 이용한 속도의존형 감쇠장치의 최대제어력 산정)

  • 이상현;민경원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4 no.6
    • /
    • pp.503-511
    • /
    • 2004
  • In this study, for estimating responses of a controlled structure and determining the maximum control force of velocity-dependent damping devices, three estimation models such as Fourier envelope convex model, probability model, and Newmark design spectrum are used. For this purpose, a procedure is proposed for estimating actual velocity using pseudo-velocity and this procedure considers the effects of damping ratio increased by the damping device. Time history results indicate that actual velocity should be used for estimating accurate maximum control force of damping device and Newmark design spectrum modified by the proposed equation gives the best estimation results for over all period structures.

Deflection Limit on Vibration Serviceability of High-speed Railway Bridges Considering the Effect of Train Speed (열차주행속도를 고려한 고속철도교량의 수직변위에 대한 진동사용성 한계(기준) 연구)

  • Jeon, Bub-Gyu;Kim, Nam-Sik;Kim, Sung-I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473-4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열차와 교량의 상호작용과 주행속도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진동지속시간과 차체연직가속도 증폭효과를 고려하여 철도교량의 진동사용성 허용처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열차가 교량을 통과할 때의 처짐 형상을 사인파로 가정하고 열차와 교량의 상호작용을 진동전달함수로 표현하여 철도교량의 진동 사용성 허용처짐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진동지속시간을 고려하기 위해 연직가속도 허용기준으로서 진동지속시간을 고려한 교량구조물의 진동사용성기준을 사용하였다. 매개변수연구를 통하여 열차 주행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차체연직가속도는 증가하지만 교량최대변위의 변화는 미미함이 확인됨으로 인하여 차체연직가속도 증가와 동반하여 연직가속도 허용기준역시 증가하는 것을 보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전개된 철도교량의 진동사용성 허용처짐식에 매개변수연구를 통하여 가정한 가속도 증폭계수를 적용하여 열차의 증속에 의한 가속도증폭효과를 고려하였다.

  • PDF

기계 진동을 받는 구조물의 동적 해석 모델링 기법

  • 송영훈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1
    • /
    • pp.58-69
    • /
    • 1998
  • 본 기사에서는 진동을 유발하는 기계장치의 지지 형태에 따른 해석 모델링 기법을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다양한 해석 모델등 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가는 주어진 조건이나 정보, 요구되는 정확도,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 엔지니어가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진동 하중을 받는 구조물에 대한 설계 및 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기계장치에 대한 사양 및 요구사항, 지반의 물리적 성질, 외부 환경적 요인 등을 파악하여야 한다. 종합적인 판단하에 구조물을 모델링하여 얻어진 결과들을 가지고 실제 설계 요구 조건과 비교, 검토를 하여야 하며, 이러한 설계 조건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포함한다. 1) 지반이나 구조물의 파괴, 과도한 처짐 등에 대한 정적 강도를 검토한다. 2) 진동 응답에 대한 최대 변위, 최대 속도, 최대 가속도를 검토한다. 3) 최대 확대계수, 최대 동적하중 계수, 공명조건, 최대 전달계수 등을 포함한 동적 거동을 검토한다. 4) 실제 구조물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모드들에 대한 검토를 한다. 5) 기계, 구조물, 연결부 등에 대한 파괴 가능성을 고려한다. 6) 사람이나 기계장치의 작동 등에 대한 환경적 요구조건의 만족 여부를 검토한다.

  • PDF

A Simple Vibration Model for the Imapct Response Analysis of a Helmet (헬멧의 충격응답 분석을 위한 단순진동 모델)

  • Choi, M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8 no.1
    • /
    • pp.68-74
    • /
    • 2014
  •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impulsive response of a helmet, a simple vibration model is presented. Based upon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simulation results, an equivalent one degree of freedom vibrational system is adapted, and transient impulsive responses are analy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ngineering parameters such as damping, natural frequency, and impact velocity on the impulsive response of the helmet. Maximum gravitational acceleration reduces as the damping factor value increases. When the damping factor value is around 0.6 or larger, the maximum acceleration does not change. With respect to the natural frequency and the impact velocity, it increases line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injury criterion(HIC) and maximum gravitational acceleration is also presented. The scheme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to economize the design process of high quality helmets.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blast-induced vibration to fractured zone (파쇄영역에 따른 발파진동 전파특성)

  • Ahn, Jae-Kwang;Park, Duhee;Park, Ki-Chun;Yoon, Ji Nam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9 no.6
    • /
    • pp.959-972
    • /
    • 2017
  • In evaluation of blast-induced vibration, peak particle velocity (PPV) is generally calculated by using attenuation relation curve. Calculated velocity is compared with the value in legal requirements or the standards to determine the stability. Attenuation relation curve varies depending on frequency of test blasting, geological structure of the site and blasting condition, so it is difficult to predict accurately using such an equation. Since PPV is response value from the ground, direct evaluation of the structure is impractical. Because of such a limit, engineers tend to use the commercial numerical analysis program in evaluating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more accurately. However, when simulate the explosion process using existing numerical analysis program, it's never easy to accurately simulate the complex conditions (fracture, crushing, cracks and plastic deformation) around blasting hole. For simulating such a process, the range for modelling will be limited due to the maximum node count and it requires extended calculation time as well.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simulate the elastic energy after fractured zone only, instead of simulating the complex conditions of the rock that results from the blast, and the analysis of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velocity depending on shape and size of the fractured zone was conducted. As a result, difference in velocity and attenuation character were calculated depending on fractured zone around the blast source appeared. Propagation of vibration tended to spread spherically as it is distanced farther from the blast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