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대제어력

Search Result 17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Maximum Control Force for Sliding Mode Controller with Saturation Problem (포화현상을 고려한 슬라이딩 모드제어기의 최대제어력 산정)

  • 이상현;민경원;김홍진;이영철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8 no.2
    • /
    • pp.1-8
    • /
    • 2004
  • Sliding mode control (SMC), which is one of active control algorithms showing remarkable control performance, requires the excessive control force for control of seismically excited civil structures. Therefore, controller satur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 of SMC. In this study,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maximum control force is developed in terms of the fraction of the lateral restoring force using a design response spectrum. Numerical analyses of MDOF structures with one or multiple control device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the control of seismically excited civil structures with saturation problem.

A Study on tractive effort control for Railway Vehicle (철도차량의 최대견인력 제어를 위한 연구)

  • Chung, Choon-Byeong;Kim, Dae-Gun;Hahm, Nyun-Gun;Lee, Sang-Chip;Jeon, Kee-Young;Lee, Hun-Gu;Han, Kj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65-26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최대 견인력 제어를 위해서 최소 차원 부하 토크 외란 관측기를 이용하여 점착력 계수를 추정하고 추정한 점착력 계수의 미분치를 PI 토크 제어하는 Anti-slip제어를 제안한다. 최소차원 부하 토크 외란 관측기는 회전자의 위치 정보와 토크 전류의 정보를 이용하여 부하 외란토크를 추정하고, 부하 외란 토크에 철도차량 상수를 이용하여 점착력 계수를 추정한다. 또한 부하토크외란 관측기는 구조가 간단하며, 시스템의 외란 및 각종 제어이득, 시스템의 상수 변화에 대해서도 견실한 견인력 제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모델링과 전동기 토크에 대한 회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소차원 부하 토크 외란 관측기의 상태변수인 점착력 계수를 추정하고, 추정한 점착력 계수의 미분치를 PI토크 Anti-Slip제어하여, 최대 견인력 제어가 되도록 하였다.

  • PDF

Maximum Control Force of Velocity-dependent Damping Devices Using Response Estimation Models (응답예측모델을 이용한 속도의존형 감쇠장치의 최대제어력 산정)

  • 이상현;민경원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4 no.6
    • /
    • pp.503-511
    • /
    • 2004
  • In this study, for estimating responses of a controlled structure and determining the maximum control force of velocity-dependent damping devices, three estimation models such as Fourier envelope convex model, probability model, and Newmark design spectrum are used. For this purpose, a procedure is proposed for estimating actual velocity using pseudo-velocity and this procedure considers the effects of damping ratio increased by the damping device. Time history results indicate that actual velocity should be used for estimating accurate maximum control force of damping device and Newmark design spectrum modified by the proposed equation gives the best estimation results for over all period structures.

A study on link system of the programmable controller (Programmable Controller의 Link System에 관한 연구)

  • 안재봉;지동근;최호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6.10a
    • /
    • pp.175-177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금성계전에서 이미 개발된 고기능 PC인 STARCON-M에 적용 할 수 있는 Link 시스템을 구성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병렬 Link 시스템을 구성하여 최대 입출력 점수가 280점인 PC를 최대 744점 프로그램 용량이 최대 12K Word까지 확장하여 사용 할 수 있었다. 2) 직렬 Link 시스템을 구성하여 완벽한 분산제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Master와 Local의 비율을 1:7까지 할 수 있고 동축 cable에 의해 500m 까지 연결하므로서 PC의 효율성을 증가시켰다. 3) Computer Link 에 의해 PC와 Computer간에 Data를 교신하므로서 관리 감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었다.

  • PDF

Anti-Slip Control by Adhesion Effort Estimation of 1C-4 Minimized Railway Vehicle using Load Torque Disturbance Observer (부하토크외란관측기를 이용한 1C-4M 축소형 철도차량장치의 점착력 추정에 의한 Anti-Slip 제어)

  • 전기영;조정민;이승환;오봉환;이훈구;김용주;한경희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8 no.4
    • /
    • pp.366-374
    • /
    • 2003
  • In electric motor coaches, the rolling stocks move by the adhesive effort between rail and driving wheel. Generally, the adhesive effort is defined by the function of both the weight of electric motor coach and the adhesive effort between rails and driving wheel. The characteristics of adhesive effort is strongly affected by the conditions between rails and driving wheel. When the adhesive effort decreases suddenly, the electric motor coach has slip phenomena. This paper proposes a re-adhesion control algorithm which uses the maximum adhesive effort by instantaneous estimation of adhesion force using load torque disturbance observer. Based on this estimated adhesive effort, the re-adhesion control Is peformed to obtain the maximum transfer of the tractive effort.

Sensorless Field-Oriented Control Design for High-Power 3-Level PMSM Drive Inverter (고전력 동기전동기용 3레벨 인버터를 위한 센서리스 자속 기준 제어 설계)

  • Cho, Hyeun-Tae;Kim, Katherine 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395-396
    • /
    • 2017
  • 차세대 고속 이동수단에 필요한 고전력 전동기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력 동기전동기(PMSM) 구동에 필요한 전력 인버터의 제어 및 센서리스 제어기법을 적용한 자속 기준 제어(Field-oriented control)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증하였다. 고전력에서 인버터 스위치의 전력부담을 줄이기 위해 3-레벨 인버터를 설계하고, 벡터 제어 SVPWM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고전력 및 고속 PMSM의 파라미터에 맞추어 센서리스(sensorless)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센서리스 제어에는 모델 기준 적응 시스템(MRAS)을 통해 속도 및 위치를 예측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가속시 5초간 가가속도 값을 적용하여 필요 토크 및 속도제어를 Matlab/Simulink에서 설계 및 구현하고, 예측속도와 실제 모터속도는 최대 0.01 rad의 오차를 나타났고, 67초 동안 목표 속도 500 rad/s까지 가속함을 확인하였다.

  • PDF

Time-Optimal Control of Mechanical Systems With Friction (마찰력을 갖는 기계시스템에 대한 시간최적제어)

  • Kim, Tae-Han;Kim, Yang-O;Ha, In-J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b
    • /
    • pp.770-772
    • /
    • 1999
  • 본 논문은 마찰력을 갖는 기계시스템에 대한 시간최적제어문제의 엄밀한 해를 제시한다. 특히 최적제어입력을 되먹임 형태로 구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미리 보상되거나 무시되던 Coulomb 마찰력까지 완전히 고려하여 빠른 응답을 얻는데 제어입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PDF

다변수 되먹임 제어기의 요구 조건

  • Gang, Tae-Sam
    • ICROS
    • /
    • v.17 no.4
    • /
    • pp.46-50
    • /
    • 2011
  • 다변수 입출력 제어시스템에서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단일 입출력 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저주파수영역에서는 루프전달행렬의 크기가 작은 것이 요구되고, 측정잡음 및 플랜트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루프전달행렬의 크기가 작게 되도록하여, 잡음의 영향이 출력에 적게 나타나고, 제어기가 포화되지 않도록 하며, 설계된 제어기가 플랜트 모델의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원고에서는 각 전달 행렬들의 특이치의 최대 및 최소값들을 이용하여 다변수 제어기가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정리하였다.

Design of the inverter circuits for driving a piezoelectric transformer (압전 변압기 구동을 위한 인버터 회로설계)

  • Kweon G.H.;Lim Y.C.;Cho S.K.;Yang S.H.;Yoon S.J.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3.07b
    • /
    • pp.616-620
    • /
    • 2003
  •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냉음극 방전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구동 인버터의 설계함에 있어 압전 변압기(Piezoelectric Transformer)를 사용하였으며, 파라미터 선정 및 최적화를 하여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적용한 압전 인버터로는 푸시-풀(Push-pull)과 하프-브리지(Half-bridge) 회로이며, 휘도 제어기법으로는 아날로그(Analog)와 버스트(Burst) 방법을 사용하였다. 푸시-풀 인버터의 경우 아날로그 제어방식으로 제어전압 2.5-4.5V에서 출력전류 1-6mA(최소)로 휘도 0-100$\%$ 특성을 보였다. 입출력 효율로 18.6(최소)-90.3(최대)$\%$를 얻었으며, 버스트 제어방식에서는 듀티비 50-5$\%$에서 1-6mA의 제어 성능을 보였다. 인버터의 입출력 효율은 13.6(최소)-82.1(최대)$\%$를 얻었다.

  • PDF

Design of the piezoelectric transformer based LCD drive system (압전 변압기를 기반으로 한 LCD 구동 인버터 설계)

  • Cho Sung Koo;Kweon Gie Hyoun;Lim Young Cheol;Yang Seung Ha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97-201
    • /
    • 2003
  •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냉음극 방전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구동 인버터의 설계함에 있어 압전 변압기(Piezoelectric Transformer)를 사용하였으며, 파라미터 선정 및 최적화를 하여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적용한 압전 인버터로는 푸시-풀(Push-pull)과 하프-브리지(Half-bridge) 회로이며, 휘도 제어기법으로는 아날로그(Analog)와 버스트(Burst) 방법을 사용하였다. 푸시-풀 인버터의 경우 아날로그 제어방식으로 제어전압 2.5-4.5V에서 출력전류 1-6mA(최소)로 휘도 $0-100\%$ 특성을 보였다. 입출력 효율로 18.6(최소)-90.3(최대)$\%$를 얻었으며, 버스트 제어방식에서는 듀티비 $5-50\%$에서 1-6mA의 제어성능을 보였다. 인버터의 입출력 효율은 13.6(최소)-82.1(최대)$\%$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