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체적 언어 접근법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정신지체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ICT Education on rea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s)

  • 장오선;강창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01-21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프로그램 적용 이후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교육적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특히 읽기이해(세부 내용 이해 및 세부 내용 기억)에 주안점을 둔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 것이 기존의 다른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14~16세의 정신지체 아동이며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1)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세부 내용 이해에 효과가 있는가? (2)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세부 내용 기억에 효과가 있는가?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정신지체아동의 세부 내용 이해 읽기능력을 증진시켰다. 둘째,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정신지체아동의 세부 내용 기억 읽기능력을 증진시켰다. 셋째, ICT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은 중재 종료 이후에도 정신지체아동의 세부 내용 이해 및 세부 내용 기억 읽기능력의 유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유아를 위한 문해 교수법의 효과 비교: 균형잡힌 문해 교수법과 발음중심 교수법을 중심으로 (Effects of Literacy Instruction Methods for Young Children : On Balanced Literacy Instruction and Phonics Instruction)

  • 엄윤재;박혜경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59-277
    • /
    • 2004
  • The effects of two literacy programs, Balanced Literacy Instruction(BLI) and Phonics Instruction were studied in 40 three- and four-year old children. BLIwas creat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s of the Whole Language Approach(WLA) and of Phonics Instruction(PI). The WLA focuses on writing and communication but lacks concrete instruction methods and overlooks technical aspects of reading and writing. On the contrary, PI is logical, stressing phonemic recognition, skill in distinguishing words, and the rules of consonants and vowels. By combining the best of both PI and WLA to create BLI,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 who received BLI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ability of phoneme recognition, reading, writing an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a book, letting us conclude that BLI is the more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literacy.

  • PDF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드림스타트 저소득 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Development of the Balanc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Model -on the basis of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participating in Dream Start-)

  • 김유화;곽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600-621
    • /
    • 2016
  • 본 연구는 드림스타트에 참여하는 저소득 가정의 유아들을 위해 균형적 언어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균형적 언어교육의 기본 관점 및 교수학습방법의 특징을 기초로 하였으며 교수체제 개발의 일반적인 모형인 ADDIE에 근거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관점에서 총체적 그림책 읽기와 구조화된 읽기, 쓰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내용,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등의 교수학습방법, 교수학습평가체제가 제시되었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2015년 6월부터 11월 초반까지 드림스타트에 참여하는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유아 읽기 발달 검사, 교사 저널, 부모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적용된 프로그램을 평가하였다. 적용결과, 유아들의 읽기 발달에 있어서 향상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교사저널의 질적 분석 결과 책 선호도, 글자에 대한 관심, 개별화된 언어교수법의 효과성 등 문해 발달의 기초적 능력의 향상에서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균형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관점에서 저소득 가정 유아의 문해 발달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실행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 교실의 문학 텍스트 -영어교육의 통합적 접근 (Literary Texts in the English Classroom: An Integrated Approach to English Instruction)

  • 강규한
    • 영어영문학
    • /
    • 제55권1호
    • /
    • pp.107-128
    • /
    • 2009
  • Literature had been at center-stage in the traditional grammar-translation-focused English classrooms up to the mid-twentieth century. As the Audiolingual Method and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have gained popularity in the English classrooms, however, literature has receded into the background of English education. The main reasons for using literary texts in the English classrooms for communication-focused English instruction need to be examined. First of all, students can come in touch with the subtle and varied uses of language through literature-based teaching. They also feel close to certain characters in the literary work and share the emotional reponses with them. They get personally involved in the plot of the story. Universal human experience and cultural enrichment are two other merits which can be conferred on students by literary texts. Such linguistic and literary experiences can be significantly integrated into the literature-based instruction. More significantly, the four language skill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can be combined with one another and integrated into a literature-focused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The value of literary texts in the English classrooms can be clearly demonstrated by effective ways of using such texts as Charlotte's Web for integrated instruction. The full array of benefits that literature can bring to English instruction, however, has yet to be fully realized. These potentials need to be materialized into classroom practice.

함께 쓰기 전략이 유아의 쓰기 행동 및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hared Writing Strategies on Children's Writing Behaviors and Abilities)

  • 김소양;이경화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91-300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hared writing strategies within a whole language approach on children's writing behaviors and abilities. The subjects were thirty-six 5-to 6-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18 each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frequency of spontaneous writing, quantity of writing, and quality of writ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kindergarten teachers are that teachers need to integrate shared writing strategies into teacher-initiated activities and use various strategies of whole language to improve literacy learning for children.

  • PDF

동화를 활용한 《중국어강독》 수업 방안 연구 - 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 황지유
    • 중국학논총
    • /
    • 제61호
    • /
    • pp.255-277
    • /
    • 2019
  • This paper presented a course plan based on the ideas I gained from conducting a lecture on Chinese language for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Chinese language department at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paper, we sought to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grammar-translation teaching style and find ways for students to enjoy learning without difficulty in all areas by using the 'total language approach' such as writing,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through reading skills. Therefore,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expression of the 'Chinese Languages' class, and introduced the class stages and methods of progress. In other words, they suggested introduction of text plots, explanation of vocabulary and grammar, presentation of original text, questions about text, arrangement of words, ordering sentences to fit the plot, and understanding the plot while looking at the picture.

픽사 단편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유머요인 분석: 앙리 베르그송의 희극론을 중심으로 (Humor Elements Analysis of Pixar Short Films Based on Henri Bergson's Theory of the Comic)

  • 김윤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9호
    • /
    • pp.51-64
    • /
    • 2010
  • 2000년대에 들어 국내의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높은 기대와 제작 활성화로 인해 기술 및 표현법에 있어서는 큰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재미가 없다는 이유로 국내 장 단편 애니메이션은 외국의 애니메이션에 비해 열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비교적 짧은 기간과 비용을 들여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것은 학생들처럼 소규모로 애니메이션 제작에 임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 접근이 훨씬 쉽다. 또한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예처럼,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을 선행하여 아이디어와 기술적인 부분을 발전시켜 성공적인 장편 애니메이션으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편 애니메이션을 재미있고 웃음을 유발할 수 있게 하는 요소를 앙리 베르그송의 형태, 움직임, 상황과 언어, 그리고 성격에 의한 희극성에 근거하여 픽사 단편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무엇보다 큰 특징으로 드러난 것은 상황을 통하여 희극성을 최대로 끌어올린 예가 모든 경우에 해당되었다는 점이다. 캐릭터의 내면적인 요소를 드러낼 수 있는 형태에 의한 희극성은 캐릭터를 디자인 할 때부터 유념해두어야 하는 사항으로 드러났다. 언어로 인한 희극성은 짧은 시간에 벌어지는 사건이므로 대사를 대신하여 행동이나 움직임을 통해서 유머러스하게 펼쳐지고 있다. 성격에 의한 유머는 캐릭터의 성격이 명확해야 사건을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캐릭터의 성격을 제작에 들어가기에 앞서 결정해두어야 한다. 살펴본 단편 애니메이션을 총체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재미와 웃음을 많이 유발하는 애니메이션일수록 다양한 유머유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 단편 애니메이션을 기획 제작함에 있어서 상업적 예술적으로 성공을 거둔 픽사의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통해 유머와 재미라는 요소에 대한 충분한 선행분석과 적절한 적용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관객들에게 엔터테인먼트적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PDF

성대에어로빅치료법이 음성장애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ocal aerobic treatment on voic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 박준희;유재연;이하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69-76
    • /
    • 2019
  • 본 연구는 성대에어로빅치료법(vocal aerobic treatment, VAT)이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음성검사 상 음성장애로 진단된 20명(남 13명, 여 7명)이었다. 음향학적 평가는 CSL(computerized speech lab)의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와 VRP(Voice Range Profile)를 통해 평가하였다. 공기역학적 평가는 PAS(Phonatory Aerodynamic System)를 통해 평가하였다. MDVP를 통해 치료 전 후 기본주파수(Fo), 주파수변동률(Jitter), 진폭변동률(Shimmer), 소음대배음비(NHR)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VRP에서는 치료 전 후 주파수 범위(Fo range), 강도범위(Energy range)를 측정하였다. PAS에서는 치료 전 후 폐활량(FVC), 최대연장발성시간(PHOT), 평균호기류율(MEAF), 성문하압(MPAP), 음성효율성(AEFF)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후두스트로보스코피에서는 치료 전 후 양측 성대의 규칙성, 대칭성, 점막파동, 진폭 변화 소견을 알아보았다. 음성치료는 총체적 음성치료 접근법 중 하나인 VAT 프로그램을 환자별로 주 1회 실시하였다. 환자별 평균 치료 회기는 6.5회였다. 연구결과, MDVP에서는 Jitter, Shimmer, NHR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1, p<.05). VRP 결과, 주파수 범위에서 Hz와 Semitones이 치료 후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p<.01, p<.05). PAS 결과, FVC, PHOT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1, p<.001). 후두스트로보스코피 결과 치료 후 기능적 음성장애, 인후두역류질환, 양성성대점막질환군에서 성대소견이 정상범주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VAT 프로그램은 음성장애환자의 음향학적 공기역학적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측면에서의 음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연구에서는 동일 집단의 음성장애 환자에게 VAT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객관적인 음성 개선뿐만 아니라 주관적 음성 개선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직업적 음성사용자를 대상으로 VAT 효과에 대한 적용연구가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