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총에너지

Search Result 1,76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자가용 이용실태 조사 결과(2002년 에너지 총조사)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5 s.236
    • /
    • pp.60-65
    • /
    • 2003
  • 에너지총조사는 우리나라 전 산업(가구 및 자가용승용차 포함)에 대한 에너지원별 소비구조 파악 및 행태 분석을 위하여 매 3년마다 산업자원부 주관 하에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다. 금번 잠정 결과는 2002년 8월을 기준으로 실시된 '2002 에너지총조사' 자가용 승용차부문 중 승용일반형에 대한 조사결과를 1993년부터 시계열로 비교한 결과이다.

  • PDF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제조업부문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및 결정요인 분석)

  • Park, Changsuh;Seo, Yun Seok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1
    • /
    • pp.3-16
    • /
    • 2017
  • This paper analyzed 16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TFE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for the period of 2005-2013.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it is necessary to use TFEE as well as partial energy efficiency defined by the ratio of energy usage to output (energy intensity) when we compare energy efficiency. Secondly, TFEE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is quite different across 16 regions. For example, Gangwon province should improve energy efficiency by 55% compared to Seoul, Gwangju, Ulsan, and Gyeongbuk which are located on production frontier. Furthermore, the estimation of panel tobit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the higher non fossil fuel using, the higher production share of large-sized firms, the lower energy intensity, and the lower capital-labor ratio could have positive effect on TFEE.

An Economic Evaluation of MSW RDF production plant (생활폐기물고형연료(RDF) 제조기술 경제성 평가)

  • Choi, Yeonseok;Choi, Hangseok;Kim, Seockj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58.1-158.1
    • /
    • 2010
  • 국내 최초의 생활폐기물고형연료(RDF) 생산플랜트인 원주시 RDF플랜트의 2009년도 운영실적을 정리하여 폐기물 처리단가를 분석하였으며 에너지 생산 효과도 분석하였다. 실적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원주 RDF플랜트 위탁운영업체가 운영비를 청구 및 정산하기 위해서 원주시에 상시 측정 및 보고하는 항목으로서, 내용은 트럭으로 플랜트에 반입되는 폐기물 전체량, RDF생산 전체량, 불순물 매립 전체량, 건조 및 탈취용 연료사용 전체량, 전기사용 전체량 등이다. 2009년도 원주시 RDF플랜트에 반입된 폐기물 량은 총 17,504톤이었고, RDF를 총 7,044톤 생산하였으며, 4,120톤의 불연물을 선별하였다. 1년간 사용한 건조 및 탈취용 연료는 총 596,268 리터였으며 연료인 부생유의 가격은 리터 당 평균 864.6원이었다. 사용한 전기량은 총 2,435,397 kWh였고, 이 중에서 성형공정에 사용된 전기량은 총 사용량의 19%였다. 이상의 기록자료들을 분석해 본 결과, 폐기물 1톤을 처리하는데 전기 비용이 14,334원이었고, 연료비가 29,452원이었다. 여기에 폐기물 1톤당 불연물 매립비 6,573원과 위탁인건비를 합하면 폐기물 1톤당 처리비용은 약 116,573원으로 나타났다. 현재 원주시 RDF는 톤당 25,000원에 판매되고 있으므로 이 비용을 감안하면 폐기물 1톤당 처리비용은 105,298원으로 산출되었다. 현재 알려진 유사 규모의 소각로 운영비가 폐기물 1톤당 136,736원인데, 이것은 RDF기술보다 31,438원/톤-폐기물 정도 처리비용이 비싸다. 따라서 100톤 이하 규모의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를 할 경우에는 RDF 시설이 경제적으로 타당함을 나타낸다. 원주시 RDF플랜트의 물질수지를 분석해 본 결과, RDF생산 수율은 40.2%였으며 총 투입된 에너지는 8,0587 Gcal였다. 생산된 에너지 총량은 RDF발열량 4,500 kcal/kg으로 했을 때 31,699 Gcal로 나타났다. 투입대비 생산에너지 비율은 25.4%로 계산되었고, 전기의 발전효율을 40%로 감안했을 경우에는 35.3%로 계산되었다.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총 에너지는 전체 투입에너지의 4.9%로 나타났고, 비용으로는 폐기물 1톤당 2,723원 이었다.

  • PDF

Decomposition of Direct and Indirect Energy Consumption Growth in Korea from 1990 to 2000 (한국 가정부문 직간접 에너지소비의 증가요인 분석: 1990~2000)

  • Park, Hi-Ch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5 no.3
    • /
    • pp.531-553
    • /
    • 2006
  • As energy conserv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oods and services consumed, there is a need to assess indirect and total household energy requirements. The Korean household sector was responsible for about 55% of the country's primary energy requirement in the period from 1990 to 2000. And more than 60% of household energy requirement was indirect. Thus, indirect and total rather than direct household energy requirements should be the target of energy conservation policies. Increases i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were responsible for a relatively high growth of energy consumption. Switching to consumption of less energy intensive products and decrease in energy intensities of products contributed substantially to reduce the increase in total household energy requirement.

  • PDF

Analysis for R&D Investment Efficiency in the field of Renewable Energy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 투자효율화를 위한 세부기술 분석)

  • Park, No-Eon;Kim, Yong-Jeong;Cho, Hyun-Jeong;Kim, Hyung-Wo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58-261
    • /
    • 2009
  • 신재생에너지는 세계적으로 투자급증, 관련기업의 가치상승, 경제성 상승등으로 인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먹거리산업 창출에 있어 중요한 신재생에너지 분야 정부지원 연구개발과제(2007~2008)의 투자현황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료전지 및 태양광 분야의 투자비중은 신재생에너지 분야 총 투자의 50.7%를 차지하였으며, 지경부는 총 투자의 73.5%를 차지하였다. 수소, 연료전지, 태양광, 해양 분야를 제외한 모든 에너지원에서 지경부의 투자비중이 절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원별 투자순위가 높은 세부기술을 살펴보면, 수소 분야는 수소제조, 연료전지 분야는 PEMFC, 태양광은 결정질 실리콘, 풍력은 발전시스템으로 나타났다.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특허건수는 국내 R&D 분야 총 성과의 2.18%에 해당되었으며, 매출액은 0.08% 수준이었다.

  • PDF

IMF시대의 에너지 전략-IMF시대의 에너지 정책방향

  • Jeong, Jang-Seop;Son, Jae-Ik;Ha, Baek-Hyeon;Yang, Yun-Seop;O, Jin-Gy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6 s.349
    • /
    • pp.43-65
    • /
    • 1998
  • 우리의 에너지 소비증가율리 소득증가율을 넘어선 지 오래다, 1985년 이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에)은 연평균 8.9%증가하였는데 에너지 소비는 10.4%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일본수준에 육박하는 등 에너지 과소비구조가 산업과 사회전반에 걸쳐 고착되었다. 오늘 우리나라가 IMF체제라고 하는 치욕적인 상황에 빠져들어 간 데는 우리의 이같은 에너지 과소비구조도 하나의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IMF시대에 에너지문제에 대한 전략과 정책, 기술개발에서 효율성 항상 및 대체 에너지 개발과 이용 그리고 국제협력에 관한 유의점 등을 총정리해 보았다.

  • PDF

연구실 탐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대체에너지연구부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4 s.371
    • /
    • pp.28-29
    • /
    • 2000
  • 우리나라에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에너지기술을 자립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산하의 대체에너지연구부는 태양열 이용연구 등 7개팀으로 나뉘어 연구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연구부는 주로 태양에너지를 비롯해 풍력발전, 소규모의 수력발전, 수소에너지, 바이오매스(동ㆍ식물, 미생물의 유기물량)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 PDF

2006년까지 - 총에너지 2% 대체에너지로 공급

  • 한국온돌시공협회
    • 보일러설비
    • /
    • s.63
    • /
    • pp.116-121
    • /
    • 1999
  •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석유, 석탄, 천연가스등의 연료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 지역적으로 편재돼 있어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국가차원의 고도화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국제적인 환경규제에 대비하고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절실한 시점이다. 우리나라의 대체에너지 개발 현황 및 계획을 정리해 본다.

  • PDF

21세기 에너지 해결책-서독에서 태양위성안 검토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0 no.12 s.103
    • /
    • pp.45-46
    • /
    • 1977
  • 21세기의 에너지 문제는 핵융합과 태양에너지 이외에는 다른 해결방법이 없고 환경오염문제 등을 생각하면 오히려 태양에너지 이용쪽이 실현가능성이 크다는 견지에서 서독연구기술성은 베를린 공과대학, AEG테레프겐회사, 도르니에 ㆍ시스팀회사에 인공위성에 의한 태양에너지 이용의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연구를 위촉하였다. 그 결과에 대하여 AEG테레프겐회사의 하르트밤박사는 한 강연에서 2020년경에는 태양에너지 위성에 의하여 세계에너지 부족이 해소될 것이라고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