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음파유도 미세침흡인검사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Clinical Usefulness of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n Thyroid Nodules (갑상선 결절에서 초음파 유도 미세침흡인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 Kim, Mi-Young;Park, Young-Sun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2
    • /
    • pp.141-147
    • /
    • 2008
  • Thyroid nodules are a common disease in clinical practice. Fine needle aspiration (FNA) is an accurate and saf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One of the limitations of FNA is the variable rate of unsatisfactory specimens, especially in small sized, deep seated or complex cystic nodules. To overcome this problem, ultrasound-guided FNA (US-FNA) has been widely used. In this study, the clinical usefulness of US-FNA cytology in thyroid nodules was investigated. Female to male ratio was 6.58:1. The incidence of nodules were 157 (43.1%) cases on the right, 130 (35.7%) cases on the left and 9 (2.5%) cases in isthmus. Total 139 cases (38.2%) belong to less than 1cm and 225 cases (61.8%) belong to more than 1cm. As for the echo type in the nodules, solid types were 255(70.1%), cystic type 39 (10.7%) cases, and the percentage of mixed type was 19.2%. The results show that US-FNA reduces the possibility of unsatisfactory cytologic specimens and the rate of false-negative diagnosis, and improves the diagnostic accuracy in investigation thyroid nodules.

  • PDF

The Role of Ultrasound Guided Core Needle Biopsy in Thyroid Nodule (갑상선 결절에서 초음파 유도하 중심생검의 역할)

  • Ryu, Yoon-Jong;Ahn, Soon-Hyu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1 no.1
    • /
    • pp.1-4
    • /
    • 2015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FNAC) holds a main role in assessing thyroid nodules. But nonnegligible rate of thyroid cytology is reported as uncertain, indeterminate or inadequate for diagnosis. Recently, the microhistologic evaluation by core needle biopsy(CNB) under ultrasound sonographical guidance has been reported to show high accuracy for the diagnose of thyroid nodules. Aim of this review was to furnish the state of the art of this topic by summarizing previous published data about indication, diagnostic performance, and complication of CNB in thyroid lesions compared with FNAC

  • PDF

Study on the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for Postpartum Depression and Thyroid Disease (출산 후 우울증과 갑상선질환에 대한 초음파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Lee, Yun-Yi;Lim, Cheong-Hwan;Jung, Hong-Ryang;Park, Mi-Ja;You, In-Gyu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3
    • /
    • pp.237-248
    • /
    • 2012
  • Postpartum depression(PPD) of women with depression increased frequency of thyroid disease, and so the correlations for depression and thyroid disease has been the subject of discussed whe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prevalence of PP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PD and thyroid disease through ultrasonography. January 2010 to November 2011, Obstetrics & Gynecology in M-clinical center admitted 230 patients within 1 year postpartum were enrolled. EPDS by PPD scale depression screening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investigated and thyroid was examined that ultrasonography and thyroid blood tests. A total of 230 patients non PPD group were 53.0% and PPD group were 47.0%. In ultrasonography, among 27 patients who changed in size of thyroid, non PPD group were 14.8% and PPD group were 85.2%. Among 124 patients who thyroid nodules were presence, non PPD were 35.8% and PPD group were 64.2%. In ultrasonography, PPD group were higher incidence than non PPD group were changes in size of thyroid and the presence of nodul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anged in size of thyroid and thyroid nodules were presence the two group. Definitive histopathological diagnosis was benign in 33 patients (non PPD group were 45.5%, PPD group were 54.5%), malignancy in 5 patients (only PPD group were 100%), thyroiditis in 3 patients (non PPD group were 33.3%, PPD group were 66.7%). The results of thyroid blood tests, abnormal TSH level were 7 patients (non PPD group were 28.6%, PPD group were 71.4%) and abnormal Free T4 level were 9 patients (non PPD group were 44.4%, PPD group were 55.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bnormal TSH level and Free T4 level of the two group. 5 patients were diagnosed as thyroid dysfunction. Of these, 2 patients were subclinical hyperthyroidism in non PPD group, 2 patients were subclinical hyperthyroidism and 1 patient was subclinical hyperthyroidism in PPD group. This study was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PPD and thyroid gland disease through ultrasonography. And the objectiv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able to provide guideline that understanding,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PPD and thyroid disease.

Therapeutic Endoscopy-related Gastrointestinal Bleeding and Thromboembolic Events in Patients Using Warfarin or Direct Oral Anticoagulant (와파린 및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의 치료 내시경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의 위험)

  • Na, Hee Kyong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 v.72 no.5
    • /
    • pp.271-273
    • /
    • 2018
  • 내시경 시술 전 일시적으로 항응고제를 중단하는 것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과 혈전색전증의 위험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많다. 와파린은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agent, DOAC)보다 임상의에게 더 친숙하고, 효과를 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약역동학 특징과 좁은 치료적 범위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 반면, DOAC는 약물의 모니터링 및 용량 조절 없이 정해진 용량으로 처방이 가능하며, 빠르게 작용하고, 반감기가 짧아 관리가 쉽지만 해독제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DOAC를 복용한 환자들은 와파린을 복용한 환자들보다 시술과 관련되지 않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높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시술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위험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미국이나 유럽 내시경 가이드라인들에서는 저위험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는 와파린과 DOAC를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고위험 시술의 경우에는 와파린를 사용하는 환자들에서 헤파린 교량 요법(heparin bridging)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임상적으로 DOAC를 사용하는 환자들 또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해볼 수 있는데, 와파린 및 DOAC의 헤파린 교량 요법과 관련된 출혈 및 혈전색전증 위험의 차이 또한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1) 와파린과 DOAC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의 출혈, 혈전색전증 및 사망의 위험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2)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 중에서 시술별 위험을 비교하고, 3) 헤파린 교량 요법이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본 대규모 국가 입원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시술 전 와파린 또는 DOAC(rivaroxaban, apixaban, dabigatran, edoxaban)를 복용하고,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을 시행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환자 총 16,977명을 확인하였다. 고위험 시술은 용종 절제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협착 부위의 풍선확장술, 내시경 지혈술, 내시경 정맥결찰술, 내시경 주사 경화요법, 내시경 괄약근절개술,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 경피적 위루술을 포함하였다. 일대일 성향 점수 매칭 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기저 질환, 병원의 규모, 시술의 종류, 약물의 종류를 매칭)을 시행하여 와파린군과 DOAC군에서 시술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의 발생을 비교하였다. 또한 경구항혈전제와 헤파린 교량 치료 시행 유무에 따라, DOAC 단독군, 와파린 단독군, DOAC와 헤파린 교량 요법군,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요법군으로 나누어, 하위군(subgroup) 분석을 시행하였다. 5,046쌍이 성향 점수 매칭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와파린군에서 DOAC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다(12.0% vs. 9.9% p=0.02). 혈전색전증 발생률(5.4% vs. 4.7%)과 입원중 사망률(5.4% vs. 4.7%)은 양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DOAC 종류별로 나누어 하위군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와파린군은 rivaroxaban군에 비하여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으며, rivaroxaban군, dabigatran군에 비하여 혈전색전증의 비율이 높았고, 입원 중 사망률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내시경 시술의 종류로 보정하였을 때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률은 DOAC 단독으로 치료한 환자에서보다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 요법(bridging) 또는 DOAC과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높았다. 시술 종류 중에서는 위루관 삽입술에 비하여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및 내시경 정맥류결찰술, 내시경 주사경화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가장 높았으며, 하부 내시경 점막절제술, 하부 용종 절제술, 내시경적 유두괄약근절제술 또는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는 중등도 위험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