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연결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는 초연결사회 인프라

  • Gang, Seon-Mu;Kim, Jong-Won;Lee, Jae-H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4
    • /
    • pp.10-19
    • /
    • 2014
  • 미래인터넷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8년차에 접어들고 있다. 초기에 미래인터넷의 실체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과 clean-slate로 갈 것인지 evolution을 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된 것으로 기억된다. 현 시점에서 그 때 상황을 되돌아 보면 어떤 생각들이 그나마 유사하게 맞는 것이었는지 알 수 있어 흥미롭기까지 하다. 본고에서는 이런 미래인터넷이 태동해서 논의되었던 필요성들을 사물인터넷 혹은 만물인터넷 중심의 초연결사회의 관점에서 조망해 본 후에, 실제적으로 이런 사회를 대비하여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중요한 인프라요소 및 구축 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ICT 인프라 차원에서 다시 바라보면 최근 구축과 운용의 중심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급속하게 전환되는 큰 변화가 본격화하고 있다. 즉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초연결에 기반한 서비스 실증을 개발/운영 병행체제 (DevOps: Developers & Operators)를 통해 신속하고 실질적으로 가능케하고 산업발전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통한 개방형 혁신이 가시화되고 있다. 정리하면 본고에서는 미래인터넷으로 시작된 네트워크 인프라의 변화와 현재 현황을 살펴보고 어떤 방법론과 체계에 의하여 빠르게 발전하는 초연결사회의 요구사항을 수용하면서 서로 협업할 수 있고 경제발전을 견인하는 인프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A Survey about Vulnerabilities and Solutions of Autonomous vehicle security (자율주행 자동차 보안 취약성 및 솔루션 조사)

  • JaeKyung Park;SeungYoon Kang;Chat-GPT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15-616
    • /
    • 2023
  • 본 논문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보안 취약성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에 대한 조사를 다루고 있다. 자동차의 자율주행 및 초연결성이 대두됨에 따라 보안 위협이 점점 중요해지는 현실을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취약성을 카테고리 별로 다루고, 해당 취약성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솔루션과 현재 연구 개발 중인 솔루션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해결되지 않은 과제들이 산적해 있으며, 연구와 개발이 계속되어야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초연결 자율주행 자동차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Reclamation and Soil Improvement on Ultra Soft Soil (II) - Soil Improvement (초연약지반의 매립 및 지반개량 사례 연구 (II) - 지반개량)

  • Na, Yung-Mook;Kim, Hee-Hong;Kwon, Duk-Wo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1
    • /
    • pp.33-44
    • /
    • 2005
  • The 'Silt Pond' is 180 hectares in size and contained ultra soft slurry-like soil varying between 3 to 20 meters in thickness. Soil improvement work in the Silt Pond commenced by installing vertical drains in the mid of 1996, following completion of sand spreading up to +4.0m CD. Prior to soil improvement work in the main area of Silt Pond, experimental tests including laboratory tests with a large diameter consolidation cell and pilot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formation behavior of an extremely soft soil. Due to its high compressibility, large strain usually occurred in the initial stage of deformation does not comply with Terzaghi's one dimensional consolidation theory. Taking into consideration experimental test results, the soil improvement works were carried out in main area of Silt Pond containing ultra soft soil. This paper presents the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ultra-soft soil.

  • PDF

Characteristic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Development of Modified SPT on Very Soft Ground in Korea (국내 초연약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 특성 및 개량표준관입시험기 개발)

  • Jung, Hyuksang;Cho, Changkoo;Chun, B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0 no.6
    • /
    • pp.105-115
    • /
    • 2009
  • In this study, SPT, FV, and CPT tests were performed at five very soft grounds in southern coast of Korea to characterize the $S_u$ of very soft ground. In addition, a new modified SPT that is applicable to very soft ground was developed. Tests results showed that in very soft ground (N<2), the $S_u$ was lower than 12.5 kPa using the empirical N-Su correlation, and lower than 50 kPa and 65 kPa using vane shear test and CPT,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the results of in-situ tests were higher than those estimated from the N-Su correlation, and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 range of estimated $S_u$ was quite wide. New correlations that relate the modified SPT $N_m$ with Su from FV and CPT were developed, which are $S_u=1.76N_m-10.47$ and $S_u=1.82N_m-9.71$, respectively.

  • PDF

An Efficient Frequency Utilization Policy for UAS in Hyper-Connectivity Era (초연결 시대의 UAS 주파수의 효율적 활용방안)

  • Kang, Young-He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6 no.10
    • /
    • pp.914-923
    • /
    • 2015
  • UAS(Unmanned Aircraft System) has been used a lot in military applications but recently its usage is expanding to commercial applications due to its recent technical development and its market is expected to grow rapidly in the future. In hyper-connectivity society, especially UAS would play major role as an one of potential infrastructures for the architecture of the next 5G system. The ultimate goal is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UAS in NAS(National Airspace System) relies heavily on ensuring reliable spectrum for the robust CNPC(Command and Non-Payload Communication) links as well as payload links for other various applications in the upcoming hyper-connectivity era. In this paper, we have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frequencies for UAS radio-control and the current issues for CNPC and payload frequencies, and proposed future efficient utilization policy for UAS in the hyper-connectivity society.

SDN/NFV/Cloud를 통합한 소프트웨어-정의 인프라

  • Kim, Jo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7
    • /
    • pp.3-8
    • /
    • 2015
  • 인터넷의 폭발적인 팽창에 따른 부작용들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자 200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미래인터넷(Future Internet)에 관한 연구들이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또한 새롭게 대두된 융합형(convergent) ICT 자원구성에 맞춘 지속적인 사용자 주도의 인프라 혁신 전략에 기반하여, SDN/NFV/Cloud 통합으로 형성하는 소프트웨어-정의 인프라(Software-Defined Infrastructure: SDI)를 개방형으로 구축하는 흐름이 있다. 즉 구축/운용의 중심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최근 급속하게 전환되는 큰 변화가 ICT 인프라차원에서 본격화하고 있다. 즉 지금까지 논의되었던 여러 미래 인터넷 이슈들을 스마트한 초연결과 사용자 중심 서비스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미래형 ICT 인프라의 바람직한 구축을 서서히 가시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연결에 기반하여 값싸고 신속하게 서비스를 실증하기 위해 DevOps(Developers & Operators: 개발/운영 병행체제) 방법론으로 소프트웨어-정의 인프라로 체질을 바꿔가는 개방형 혁신을 살펴본다.

5G 서비스와 방송 미디어의 진화

  • Seo, Yeong-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4 no.3
    • /
    • pp.76-81
    • /
    • 2019
  • 지상파 UHD 방송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IP기반의 양방향 서비스이다.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보면 고화질 영상을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이면서도 통신망과의 연결을 통해 콘텐츠를 확장할 수 있는 확장형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등 세가지 중요한 특징의 5G 서비스는 이러한 지상파 UHD 방송과 어떻게 접목될 수 있을까? 초고화질로 연결되는 현장 상황은 실시간 방송의 품질을 높일 것이며, 초저지연은 무선라이브 제작환경의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 또한 초연결성은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 단말기의 무한 확장을 가져올 것이다. 이처럼 통신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은 연결형 서비스로 거듭난 지상파 방송 서비스의 진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고에서는 5G에서 달라진 기술 혁신의 내용과 미디어 소비 환경의 변화가 지상파 방송 미디어 서비스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Trusted Reality Technology, from a Post-Smartphone Perspective (Trusted Reality(신뢰현실) 기술, 포스트-스마트폰 관점에서)

  • Song, K.B.;Kim, G.W.;Kim, T.Y.;Cheol, R.Y.;Park, S.H.;Lee, J.H.;Lee, J.K.;Hwang, S.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3 no.6
    • /
    • pp.154-164
    • /
    • 2018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rusted reality (TR) technology, which is a new paradigm that is required as human communication methods change into "see-thru communication." The trends related to a TR-see-direct interface, TR-privacy, a TR-physical/cyber object/service connection, and TR-open platform technology as core technologies for realizing TR are also introduced. In addition, we present a new ICT stream that can be used to build a new ICT ecosystem for the post-smartphone era.

Trends of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towards Future IMT (Future IMT에 대비한 무선액세스 기술 발전 방향)

  • Song, P.J.;Park,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5
    • /
    • pp.85-94
    • /
    • 2012
  • 2020년경 출현할 미래 이동통신(Future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5G)은 미래의 초연결 IT 인프라 구축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제약 없이 개인별 기가급(Gbps)의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미래의 지식창조시대에 대비하여 지식정보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지향함으로써 4G와의 차별화를 시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향후 모바일의 환경 변화, 최근 부각되고 있는 새로운 도전 이슈 및 모바일 기술의 발전 방향 등을 소개한다.

  • PDF

블록체인 기반기술 국제 표준화 현황

  • Oh, Kyeong Hee
    • Review of KIISC
    • /
    • v.30 no.4
    • /
    • pp.53-60
    • /
    • 2020
  • 코비드19에 따른 비대면 경제가 촉진되면서 지난 4차산업혁명위원회에서는 초연결·비대면 신뢰사회를 위한 인프라로서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을 발표하였다. 개별적으로 구현되는 블록체인이 글로벌 인프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상호연동을 위한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ISO TC 307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 WG 1 기반기술 작업반에서는 2017년 시작된 TC 307의 첫 국제표준(IS)인 용어 표준을 발간하였다. 또한 두 번째 국제표준인 참조구조 표준에 대한 DIS 투표가 곧 시작될 예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ISO TC 307 기반기술 작업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표준화 작업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