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 예비교사의 이해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17초

'지층과 암석'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지식 이해와 교수유형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eaching-learning type about 'stratum and rock')

  • 이용섭;김순식;이하룡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9-77
    • /
    • 2013
  •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understanding on 'stratum and rock' as well as teaching-learning types on the same topic. A total of 65 seniors in an advanced science education course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joined the research to fulfill the purpose above. With PCK classification framework, the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understanding on 'stratum and rock' while it analyzed how the teachers would teach the given topic to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a great understanding on 'stratum and rock' that would be taught via a science textbook for elementary fourth graders. However, regarding terms in 'shale and limestone', they appeared to have a relatively short understanding. Second, PCK elemen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related to 'stratum and rock' were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achers would be interested in teaching model selecting in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field while they would be well aware of how important it is for them to perform an experiment in a teaching process. The teachers also appeared to understand that the teacher question can be mutual complementary during class.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teachers would have a very much low understanding on learners' prior knowledge as they particularly believe that learning could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earners' perception level as well as their learning interest and motive. Thir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told to design teaching plans on 'stratum and rock' so that the study could find out what learning-teaching methods the teachers would adopt to teach the topic. It was learned that the teachers would proceed with the class basically by giving the learners a descriptive explanation on the topic and also by using pictures and drawings to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during the class.

초등학교 예비 교사의 환경개념 이해도와 환경감수성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oncept understanding degree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5-151
    • /
    • 2013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heighte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target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cience education intensive course 65 students of B educational university. Concept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environment was separately investigated by 'the defi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Write The positive concept of the natural environment education and briefly describe.''The negative concept of the natural environment education and briefly describe'. Next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target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Based on these results, propose an alternative to cultivat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on degree about defi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is correctly recognized generally. Second, They do not think deeply about natural environment when it comes to the positive concept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Third, They have only a little interest in natural environment when it comes to the negative concept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Correlation research results of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re as follows. High understanding degre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high environmental sensitivity. Heighten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will be sustainable environmental education so education i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Sensitivity training.

과학과 미디어 기반 학습 관련 문헌 연구 (A Literature Review on Media-Based Learning in Science)

  • 변태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17-427
    • /
    • 2017
  • 미디어는 정보 전달 수단으로 사용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의미하며, 시공간을 넘어 정보 전달을 매개한다. 미디어는 신문과 텔레비전과 같은 올드 미디어부터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뉴 미디어까지,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함께 점진적 누적적으로 발달해왔다. 미디어 교육의 목표는 미디어의 속성을 이해하고,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선별적 수용 태도를 기르며, 나아가 미디어를 통해 창의적으로 의미를 표현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연구자는 국어, 사회 교과교육 연구자들과 함께 2016년 7월~12월까지 '미디어 기반 학습에 기초한 한국형 교실수업 모델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과제의 기초 연구로써 연구자는 2006년~2016년 사이 발간된 58편의 논문에서 과학과 미디어 기반 학습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 동향과 변인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미디어 기반 학습 관련 연구가 최근 증가 추세에 있으며, 전체 연구 중 초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경우가 절반이 넘었다. 조사한 문헌들은 학생 대상 연구, 교사와 예비 교사 관련 연구, 스마트 기기 또는 미디어 콘텐츠 관련 연구, 디지털 교과서 개발 관련 연구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4개의 변인 중 학생을 대상으로 인지적 정의적 발달 관련 연구와, 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다수를 이루었다.

블랙박스 시뮬레이션에 참여한 초등예비교사의 모형 구성의 특징과 인식적 기준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deling and Epistemic Criteria with the Blackbox Simulation Program)

  • 박정우;이선경;심한수;이경건;신명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05-31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블랙박스 시뮬레이션 활동 과정에서 연구 참여 학생들의 모형 구성 특징과 인식적 기준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과학적 실행을 반영하는 비구조화된 문제상황인 블랙박스 시뮬레이션을 개발하여 활동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 교육대학교 2학년 89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23개 모둠으로 나누어 블랙박스 내부구조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다양하게 가시화하여 모형화하고 수정하고 평가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모든 학생들의 활동 과정은 녹음 및 녹화되었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블랙박스 활동에서 학생들이 구성한 모형은 형태와 기능을 고려하여 4가지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대표 모형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모형 평가가 나타났으며, 모형 평가에는 실험적 정합성, 포괄성, 유비, 간명성, 구현가능성의 인식적 기준이 적용되었다. 이상의 연구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논의된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학생들이 참여한 블랙박스 시뮬레이션 활동은 모형을 구성하고 시험해 보면서 과학적 실행의 본질을 명시적 및 암묵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하였다는데 교육적 의미가 있다. 둘째, 활동 초기부터 학생들이 모형 구성에 적용한 인식적 기준들, 즉 실험적 정합성, 포괄성, 유비, 간명성, 구현가능성이 모두 엄격하게 작동하진 않았으며 맥락에 따라 역동적으로 적용되었다. 셋째, 이 연구의 맥락뿐 아니라 다양하고 구체적인 맥락에서의 인식적 기준에 대한 연구는 과학적 실행의 본질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줄 것이다. 본 연구의 맥락이었던 시뮬레이션 활동은 미래 사회에서 더욱 중요시될 컴퓨팅적 사고와 연관된 연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시범 연구인 본 연구의 맥락과 방법을 더 정교화 및 체계화한 추후 연구는 과학적 실행의 본질에 대한 풍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