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 과학 영재

Search Result 37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Selection-Method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방법 연구)

  • Hwang, Kuk-Hwa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321-330
    • /
    • 2004
  • 21세기는 지식정보사회다.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정보과학영재와 정보과학영재의 판별방법에 대한 연구는 꼭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해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정의하고, 수학, 과학 영재아의 판별사례를 살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정보과학 영재아의 영재판별을 위해 초등 컴퓨터교과의 단계 및 영역을 바탕으로 초등정보과학영재의 판별의 원칙, 절차, 검사방법을 에 대한 판별방법을 살펴보았다.

  • PDF

A natural aptitude and role of teacher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과 역할)

  • Kim, Gwang-Cha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63-271
    • /
    • 2004
  • 교육은 인간이 지닌 잠재적인 능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우수한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는 아동을 조기에 발굴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자질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내재된 능력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함을 물론 나아가 국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발전에도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교육적 과제이며, 이러한 교육은 우수한 잠재적 능력을 가진 영재에게도 요구된다 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미미한 실정에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이 실제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적합한 영재의 선발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더불어 초등정보과학영재의 교육의 실제를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소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명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러한 소양과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제 그 싹을 피워가기 시작한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초등정의과학 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할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Online Education Program for Disadvantaged Informatics Gifted Students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학생을 위한 머신러닝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Seong-Won;Kim, Jise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33-63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소외계층 초등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정보영재 전문가가 개발하였으며, 인공지능 교육 전문가가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15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데이터 수집 및 표현, 모델 선택, 훈련, 평가, 실생활 사례 제작, 예측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 모형은 이재호와 홍창의(2009)의 문제 중심형 e-PBL 학습 모형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에 적용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소외계층 초등정보 영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비주얼 베이직을 이용한 초등 정보과학영재용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내용 탐색

  • 강성원;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209-219
    • /
    • 2003
  • 초등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핵심이 되는 프로그래밍교육은 창의적 사고와 수준 높은 문제 해결력을 동원하여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해내는 정보 교육의 중요한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내용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여 프로그래밍 교육내용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프로그래밍 언어 선정기준을 통해 비주얼, 베이직을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선정한 후 프로그래밍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Selection-Methods for Choice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 정보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판별방법 연구)

  • Hwang, Kuk-Hwa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53-26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해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그 개념을 정의하고 수학, 과학 영재아의 특징, 판별사례 및 판별절차를 살펴보고 이것을 일반화하여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영재판별 원칙, 판별요소, 판별절차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판별절차에 따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적용했으며, 적용에 의해 선발된 영재집단과 수학 과학성적이 우수한 일반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검증도 해 보았다.

  • PDF

The Effects of The Science Camp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과학캠프 운영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Shin, Myeung-Ryeul;Lee, Yong-Seob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2 no.4
    • /
    • pp.967-98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the science camp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developed the science camp program. This program was totally consisted 30 lessens. there was 2 part in this program. It contained Astronomic Space Science(14 class), Aerospace Science(16 class). To find the effects of the science camp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20 participants was selected. these students were attended at a scientific gifted class(5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First, Science Process Skills was used to find the effect of the science camp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cience camp program was a positive effects on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t=8.649, p=.000). Second, the science camp program was a positive effects on Scientific Attitudes of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t=3.431, p=.003).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science camp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It will be contribute on the curriculum construction of the gifted school or gifted class.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사의 자질에 대한 고찰

  • 김광찬;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4.11a
    • /
    • pp.166-178
    • /
    • 2004
  • 21세기는 지식 정보사회이며, 이 지식 정보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말 그대로 정보이다. 정보를 수집ㆍ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만 21세기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 정보사회에서 정보과학영재에 대해서도 새롭게 인식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지만 타 영역의 영재에 비해 정보과학영재의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은 실제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적합한 영재의 선발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더불어 초등정보과학영채의 교육의 실제를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소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명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러한 소양과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ffects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on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 Shin, Myeung-Ryeul;Lee, Yong-Seob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1 no.3
    • /
    • pp.719-73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on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developed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This program was totally consisted 9 lessen. there was 6 part in this program. It contained select the subject and small grouping (step 1-2), planing inquiry (step 3), doing inquiry (step 4-6), making a report (step 7), announcing (step 8), evaluation (step 9). To find the effect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on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20 participants was selected. These students were attended at a scientific gifted class (3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First, metacognition test and science process skills test was used to find the effect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was a positive effects on metacognition of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t=3.371, p=.001). Second,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was a positive effects on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t=3.104, p=.021).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was verified to improve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o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It will be contribute on the curriculum construction of the gifted school or gifted class.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방안

  • 이재수;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4.11a
    • /
    • pp.179-19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하여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그 개념을 정의하고,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교육하고 있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선발 실태 분석을 통하여 정보과학영채 선발방법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선발방법에 대한 개선점과 선발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A Comparison of Resilience and Task Commit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Non-gifted Students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 Lee, Kyung-Mi;Sung, Seung Min;Jang, Nak Han;Yeo, Sang-Ih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9 no.3
    • /
    • pp.307-320
    • /
    • 2015
  • This study aims to compare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between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non-gifted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2 gifted students belonged to gifted education centers or gifted classes and 147 non-gifted students, all of whom were in the 6th grade. In order to examine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a 5-point Likert scale-styl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among groups,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Scheff{\acute{e}}$ test.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among group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belonged to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of gifted classes and ordinary elementary studen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belonged to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students of gifted classes. Second, task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belonged to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non-gifted students. Third, there were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among the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