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학생의 인식

검색결과 972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학교 고학년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행동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liefs and Dental Health Behavior in the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 장분자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63-168
    • /
    • 2008
  • 사회심리적인 모형인 구강건강신념모형이 예방적인 측면에서 구강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므로 구강건강신념을 구성하는 요소와 구강건강관련 행동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초등학교 고학년 490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방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14.0을 활용하여 T-test, 일변량 T검정,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신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구강보건행동은 하루 칫솔질 횟수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조금 더 높았으며, 연간 치과의료기관 방문 횟수는 고학년일수록 유의하게 낮았다(p < 0.01). 2. 학생들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행동의 상관관계에서 하루 칫솔질 횟수는 감수성, 장애도와 부의 미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연간 치과의료기관 방문횟수는 감수성, 심각성과 정의 미미한 상관성을 나타났었고, 하루 우식성식품 섭취횟수는 감수성, 심각성, 장애도와 정의 미미한 상관성를 나타내었으나 유익성과는 부의 미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3. 구강건강신념간의 상관관계는 감수성을 높게 느낄수록 심각성과 장애도는 높게 나타나지만 유익성은 낮아지며, 심각성을 높게 느낄수록 장애도는 높아지는 반면에 유익성은 낮아졌다. 또한 유익성이 높을수록 중요도는 높아지는 반면 장애도는 낮아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자신의 구강질환에 대한 인식의 정도나 구강상태를 심각하게 생각할수록 하루 우식성식품 섭취횟수와 연간 치과의료기관 방문횟수는 많았으나 칫솔질 횟수는 낮았다. 이는 칫솔질을 적게 하거나 우식성식품 섭취횟수와 연간 치과의료기관 방문횟수가 많을수록 자신의 구강상태가 나쁠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으며, 치과진료에 대한 장애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미루어보아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행동은 서로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강한 상관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행동이 시작되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올바른 구강건강신념 및 구강건강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전문가에 의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교구강보건 교육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 PDF

초등학교 웹기반 독서교육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eb-Based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 김철;김영훈;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86-97
    • /
    • 2002
  • 현행 초등학교 독서교육은, 각 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와 다양한 독서교육 방법의 모색이나 구안, 적용이 없이 실시되고 있으며, 여러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부재와 현장 전문인력의 부족, 가정과 학교의 정서적.공간적 단절로 인한 지속적인 독서교육 실시의 어려움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논문에서는 전자 도서관 및 각종 독서 관련 활동의 정보 공유가 가능한 독서교육의 보조 시스템으로서의 웹 기반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을 구안하였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을 통하여 학생들의 실생활과 연결된 독서교육을 가능케 하며, 도서관리, 독후감 및 독후화 게시, 권장도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전자도서관을 통하여 초등학교 독서교육을 활성화시키고, 다양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가정과 학교와의 유대를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와 단위학급별 모듈 구현을 통하여 단위 학급의 각종 독후 활동과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학교 단위에서 공유하고 나눔으로써, 각종 독서교육 관련 자료의 공유와 통계작성 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아동의 분노 체험분석 (An Experiential Analysis of Anger in Children)

  • 박향숙;박성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2호
    • /
    • pp.159-168
    • /
    • 2008
  • 이 연구는 아동의 분노체험 속에 포함된 공통요인과 분노체험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과정을 찾아봄으로써 아동분노가 갖는 특성과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체험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8명이 체험연구의 공동연구자로 참여하였고, 6회기에 걸친 연구였다. 공동연구자들은 체험분석 방법에 대해 배웠고, 자신의 분노체험 내용을 분석지에 기록하였으며, 모두 34개의 체험분석지를 연구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들은 부당하다고 느낄 때 분노체험, 어이없음을 동시에 느꼈으며 이 느낌들은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비롯되었다. 분노상황들 속에서 아동들이 체험하는 공통요인에는 기분관련 요인, 욕구관련 요인, 신체감각 관련 요인이 혼재되어 나타났으며, 욕구관련 요인들은 기분, 신체감각 관련 요인들보다 더 강하게 지각하였다. 둘째, 아동들은 분노의 외적 표출 가능성에 따라 분노의 공격적 표출과 내적억제의 방법으로 분노를 처리하였다. 그러나 강한 분노표출 충동때에는 인지적 판단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폭발시키기도 하였다. 셋째, 아동이 분노를 느끼고 처리하는 심리적 과정은 상황인식 단계, 일차적 인지평가 단계, 분노 유발 단계, 이차적 인지평가 단계 또는 강한 분노표출 충동을 느끼는 단계, 분노처리 단계로 정리할 수 있었다.

  • PDF

경기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채소와 과일 섭취 및 관련 인식, 자아효능감, 영양지식과 식행동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 나수영;고서연;엄순희;김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9-34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egetable & fruit (V/F) intakes, beliefs and self-efficacy regarding V/F consumption,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4th graders (n = 234) at two elementary schools in Guri, Kyunggi-do. About one-fourth of subjects were overweight or obese. Subjects had 4.2 servings of V/F a day, consuming 340.2 g of V/F. Girls consumed significantly more amounts of vegetables than boys (p < 0.05). Girls were more favorable regarding V/F consumption (p < 0.01), and believed more strongly on advantages of having V/F such as “good for skin” constipation prevention (p < 0.001) and cancer prevention (p < 0.05). Boys felt more strongly in disadvantages or barriers of eating V/F, including mother's cooking time constraints (p < 0.01), lack of past experience of eating V/F, and family members' disliking of V/F (p < 0.05). Girls felt more confident in eating V/F (p < 0.05) than boys; they also felt more confident in specific items of "eating fruits/salads instead of cookies/chips for snack" and "eating fruit juice/vegetable juice instead of soda"(p < 0.01). Subjects showed low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especially in items such as balanced meals, recommended servings of V/F and vitamin deficiency. Compared to boys, girls had more desirable eating behavior such as eating adequate amount of meals (p < 0.001), having a variety of foods, eating fruits daily, and having fatty foods less frequently (p < 0.05). Intakes of Ca and K were quite below the recommended level, while the intakes of protein, Na and vitamin A intake were much above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 for 9-11 old children. Nutrient intakes expressed as %DRI was higher in girls for vitamin A (p < 0.01), energy and riboflavin (p < 0.05). High V/F consumption group (${\geq}5$ servings of V/F a day) compared to the counterparts showed higher self-efficacy and had better eating behaviors.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focus on increasing consumption of V/F, by helping them to increase self-efficacy for eating V/F and to recognize the benefits and reduce the barriers of eating V/F, especially in boys.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nutrition information for balanced meals or increasing V/F consumption, and help the children to adopt desirable eating behavior.

강원지역 초등학생의 인식체형에 따른 영양지식, 식생활태도, 식이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among Eating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 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07-719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dietary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f the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and found out their relationshi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or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erceived body shape were gender, father's education level, the number of siblings, birth order, obesity of parents and siblings and ideal body shape. For the perceived body shape, the students answered generally normal(48.9%), slightly fat(27.9%), thin(16.5%) and very fat(6.7%). Out of total students 76.5% of them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such that satisfactory(23.5%), want to lose weight(61.4%) and want to increase weight(15.1%). The score of eat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body shape on such questions as eating speed(p<0.001), frequency of fatty food intake(p<0.001), adequate intake quantity(p<0.001), balanced diet(p<0.05), frequency of going out to eat(p<0.001). The score of diet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general habit on such questions as whether to eat slowly together with friends (p<0.001), whether to eat adequate quantity(p<0.001), whether not to have snacks after dinner(p<0.001). And in the area of food selection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uch questions as to select ice cream in stead of yoplait(p<0.001). In the area of social circumstance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uch questions as to reject the food(p<0.01) and to restrain food in birthday party or holiday(p<0.05). In the area of emotional statu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question about food restrain when boring and depressed(p<0.05 respectively).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n such questions as total score(p<0.01), five basic food group(p<0.05), snack and body weight(p<0.001), calcium function(p<0.01). It showed perceived body shape co-related with the nutrition knowledge(p<0.01). In summary, the perceived body shape for the highly eating behavior was generally normal, for the highly dietary self efficacy was slightly fat, and for the highly nutrition knowledge was also slightly fat.

  • PDF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탐구 글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이론과 증거의 조정 과정 분석 (Analyzing Coordination of Theory and Evidence Presented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Writing for Inquiry Activities)

  • 이선경;이규호;최취임;신명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1-209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이 과학탐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과학글쓰기를 분석하여 증거와 이론의 조정의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4개의 과학탐구활동에서 총 115개의 예비초등교사들의 글쓰기가 수집 및 분석되었다. 글쓰기 분석을 바탕으로 4개의 이론과 증거의 조정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유형을 제안한다. 유형1은 증거와 이론의 일치, 유형2는 증거와 이론의 일치 및 이론의 확장과 정교화, 유형3은 증거와 이론의 불일치, 마지막으로 유형4는 증거와 이론의 불일치 및 조정으로 보았다. 본 연구결과 우선 빈도수를 고려할 때 가장 많은 것에서 적은 것의 순으로 보면 유형1, 유형3, 유형2, 유형4의 순이다.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유형1이 나왔는데 이는 탐구질문에 내재된 이론이 참여자에 의해 쉽게 파악되었고 이를 지지하는 증거를 발견된 자료 중에서 골라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탐구주제와 조정유형의 빈도수 사이에 관련성이 별로 없었으나 예외적으로 활동1은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본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을 실험계획, 자료분석 및 해석 그리고 과학주장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잘 융합하고 있다는 점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의 탐색 (Analysis of the Algebraic Thinking Factors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of Its Learning and Teaching)

  • 우정호;김성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453-475
    • /
    • 2007
  • 오늘날 문자의 도입과 함께 시작되는 학교대수는 초등수학에서 중등수학으로의 이행에서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는 산술과 차별화된 대수의 본질에 기인하는 것으로, 문자와 식, 방정식에서의 구문론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만으로 해결 될 수 없다. 이에 최근 학교대수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대수적 사고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수적 사고 요소를 분석하여 산술에서 대수로의 이행과 초기 대수지도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본 것이다. 먼저 역사-발생적, 인식론적, 기호-언어학적 관점으로부터 학교대수에서 요구되는 대수적 사고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형식 불역의 원리를 비롯하여 변수 개념과 양적인 추론, 대수적인 해석-식 세우기, 변환추론-식의 변형, 연산감각-식의 조작 등을 핵심적인 대수적 사고 요소로 확인한다.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분석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대수적 사고 능력 검사와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수학에 포함된 대수적 사고 요소를 살펴본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에서부터 대수적 사고 요소를 강조함으로써 대수 입문기에 해당하는 중학교 이후의 대수 학습에 대한 준비와 더불어 대수적 사고 요소에 초점을 맞춘 산술에서 대수로의 이행을 이끌어내기 위한 지도 방안을 탐색해본다.

  • PDF

충남 일부 지역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영양지식 실태 (Percep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Status of Nutrition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Area)

  • 박진영;이제혁;김명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16-630
    • /
    • 2015
  • To supply basic data for systemic nutrition education, percep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knowledge was investigat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4~6th grade) in Chungnam province. Forty-six percent of students had a normal level of interest in nutrition, and 43.8% of students had a normal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Male students (56.1%) and female students (43.7%) wanted nutrition education via lectures in class (p<0.001),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In addition, most students wanted 'cooking' as nutrition education content,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p<0.001). Approximately 59% of students (boys 53.7% and girls 64.6%) responded that the reason not to practice the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is 'not interested' (male 44%, female 34.1%) (p<0.05). For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38.1% of subjects answered 'normal', and 42.8% of students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is not helpful since there is no interest. On the contrary,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was recognized by 30.8% of male students and 30.8% of female students for prevention of obesity and health life with a balanced diet, respectively. Students (66%) wanted a nutrition teacher, and 33.2% of male students wanted nutrition education once a month, whereas 34.5% of female students wanted it once a week (p<0.01). And 54.8% of students responded that current frequency of nutrition education is adequate. The averag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for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and a higher grade received a higher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was not relevant to the actual score of the individual. Based on this resul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and expand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Additionally, future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more available to practice in life as well as improvement of nutrition knowledge. Investigation into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is necessary for continuous and systemic nutrition education.

창원.김해 지역 초등학생의 쌀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on Rice Foods in Changwon and Gimhae City)

  • 윤현숙;이미자;이경혜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3호
    • /
    • pp.341-352
    • /
    • 2005
  • This study was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1,180 elementary school children (630 boys and 550 girls) of 5th or 6th grade in Changwon and Gimhae of Gyeongnam province. They were asked about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rice foods by questionnaires.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find the way of encouraging rice intake and preference which is currently getting lower because of increasing simple westernized eating habit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inheriting and improving our traditional rice-based dietary cul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Most of subjects (91.2%) thought that steamed rice is better than bread for own health. The reason why they chose to eat steamed rice was 'because it is good for health' (61.2%), and 'because it is staple food item that we eat everyday' (26.4%). Seventy one percent of girls and 52.7% of boys gave the answer 'because it is good for health' as the reason for eating steamed rice. The reasons for the importance of the rice-based dietary culture were 'because of its superior nutritional value' (40.8%), and 'because it is our traditional eating culture' (28.6%). While significantly more girls (42.9%) answered as 'because of its superior nutritional value', more boys (39.0%) answered as 'because it is our traditional dietary culture'. More boys (59.0%) preferred noodles than girls' (54.7%), and fruits were preferred more by girls than boys as substitution foods for steamed ri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y wanted rice product developed in the forms such as Ssalamyun (29.8%), Ssalmandoo (24.1%), rice noodles (20.6%), and rice bread (15.6%). The preference score on rice products of subjects was one dish meals (4.27) and drinks (4.26), snacks (3.72), convenience foods (3.61), and steamed rice (3.44) in order. Preferred food showing points over 4 were Ssalbap (plain steamed rice) (4.29) in steamed rice type food, Kimchi bokeumbap (4.56), Bokeumbap (4.55), Bibimbop (4.45), Omelet rice (4.44), Kimbap (4.42), Ddukkuk (4.33), Curried rice (4.33), Jajangbap (4.28), and Ddukmandookuk (4.24) in one dish meal type food, Samgak Kimbap (4.26) in convenience type food, Songpyun (4.48), Injulmi (4.18), Teokbokki (4.71), Ddukkochiguyi (4.46), and rice cookies (4.24) in snack type food, and Shikhye (4.61) and Misugaru (4.28) in drink type food. Based on these results, it may be said that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nk the rice-based diet is good for health and this dietary culture should be inherited and developed not only in a traditional aspect but also in a nutritional aspect. Therefore, more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various forms of rice food products and cooking recipes.

  • PDF

노인과의 일상적 접촉이 노인에 대한 어린이의 명시적·암묵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oes the Daily Contact with Older People Alleviate the Implicit and Explicit Ageist Attitude of Children?)

  • 석민애;한경혜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409-433
    • /
    • 2018
  • 본 연구는 어린이가 일상에서 노인과의 접촉을 통해 노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Ageist attitude)를 완화할 수 있는지, 해당 태도의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명시적 태도(Explicit attitude)의 측정에 사용되는 자기보고식(Self-reported) 척도가 의식에서 여과된 수준의 편견만 반영하는 한계를 고려해, 내면의 차별적 인식을 나타내는 '암묵적 태도(Implicit attitude)'를 측정하였다. 명시적 태도 측정에는 웃는 얼굴 5점 척도를, 암묵적 태도 측정에는 어린이용 암묵적 연령 연합검사(Children Implicit Age-association Test)를 사용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초등학교 4~6학년 초등학생 503명의 자료를 수집했으며 기술통계, 다항 및 서열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노인에 대한 어린이의 명시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의 예측요인이 달랐다. 이는 편견의 '표출'을 완화하는 요소를 이용해 '내적 편견'을 예측하고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암묵적 편견에 대한 별도의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둘째, 어린이의 연령차별적 태도와 노인 접촉경험의 관계는 어린이와 노인의 관계특성, 그리고 접촉의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에 따라 다소 복잡한 관계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노인을 많이 그리고 긴밀하게 만나는 아이들이 표면적으로 또는 내면적으로 연령차별적일 가능성이 낮았다. 마지막으로, 접촉질이 중요한 명시적 태도와 달리 암묵적 태도는 접촉량과 약한 관련을 보였으며, 접촉질과는 관계가 없었다. 이는 편견 완화에 접촉량보다는 질의 효과를 강조해온 집단 간 접촉이론(Intergroup contact theory)으로 설명되지 않는 결과로, 접촉의 암묵적 태도에 대한 영향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이론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