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수학과 교수.학습

Search Result 38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교사학습 및 초등수학 교수법 개발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Bang, J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7 no.2
    • /
    • pp.21-49
    • /
    • 2004
  • 본 논문은 학생중심 수학교실문화를 구현하려고 노력하는 3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공동으로 1년간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교수법 개발 과정에 관한 사례를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 교사 학습 및 교수법 개발에 있어서의 성공과 난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본 프로젝트에서 새롭게 적용해 본 교사 중심의 정기적인 수업 논의 모임을 통한 탐구 공동체 형성과정과 이를 통한 교사 학습에 관한 쟁점을 논의한다.

  • PDF

An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초등수학과 교수.학습활동 분석)

  • Nam, Choong-No;Kim, Chong-Wo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1a
    • /
    • pp.47-51
    • /
    • 2011
  • The aim of Information Educa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re is no independent information subject. So, it will get used to browse the sub-element being applied implications for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an analysis of teaching and leaning elementary mathematic scene. In this paper reveal the relationship sub-element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for solving problems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scene in elementary mathematics.

  • PDF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 Focu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초등학교 수학교육 실제의 이해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 나귀수;최승현
    • School Mathematics
    • /
    • v.5 no.3
    • /
    • pp.275-295
    • /
    • 2003
  •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focus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achieve these goals, we reviewed and analysed instructional methods pertaining to both (general) pedag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And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questionnaire survey regard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inions. Moreover, we observed several mathematics lessons of elementary school to understand better the practice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se survey and observation, we learned several important aspects of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ethods.

  • PDF

An Analysis of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 분석)

  • Kim, Rina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9 no.1
    • /
    • pp.39-56
    • /
    • 2015
  • The aim of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was to explore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re appli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and their teaching experiences as well as the teacher certification level. However, there is a little affect of the teachers'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s on th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quantitative study may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which have a deep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초등학교 고학년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 Sin, Hyeon-Yong;Han, In-Gi;Lee, Jon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19-30
    • /
    • 2000
  • 초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은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꼭 고려해야 할 목표들 중의 하나이다. 창의성 신장을 위한 많은 시도들이 있었지만, 창의성 신장을 위한 학습자료들은아직 많은 연구 문제들을 남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영재 아동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 100시간 분량으로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개발된 자료들을 초등학교 교수-학습에 투입하여 얻은 긍정적인 결과들을 제시할 것이다.

  • PDF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of Foundations and Creativity in Mathematics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인식)

  • Park, Mangoo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2 no.3
    • /
    • pp.399-42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수 학습에서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한국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분석해 보는 것이다. 모든 국가의 경제나 교육에 있어서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그 동안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한국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11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수학에 대한 기본 및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고,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필요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이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하여 중요한 것으로 강조를 하고 있으나 수학과의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이를 적절하게 강화시키는 데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 교사들이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하여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이를 적절하게 지도하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의 교육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기본 및 창의성을 신장을 돕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풍부한 자료의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활동중심 수학교육의 실천 방안 모색

  • Kim, Chang-B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1-19
    • /
    • 2001
  •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그들의 발달특성과 학습의 효율성 측면을 고려할 때, 일상생활 경험과 놀이 활동 등을 이용한 활동중심 교육방법으로 상호 연계성있게 수학을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수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 면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간에 얼마나 연계되어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육과정 간에는 수학교육의 방향 및 목표, 내용 영역, 교수학습 방법, 평가 면에서 대체로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그러나 교과 편제나 명칭, 세부적인 내용 구성에서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정 상에서의 연계 실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실제 수학 교육 활동측면에서의 실천 방안으로서 활동중심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수학 영역 설치를 통한 개별화 교육의 실천, 가정과의 협력 방안 등을 제시해 보았다.

  • PDF

초등 수학 영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 개발 : 5${\sim}$6학년을 중심으로

  • Kim, Hae-Gyu;Sin, Mun-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311-330
    • /
    • 2003
  • 2000년 1월 28일에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 ${\cdot}$ 공포되었고, 2002년 4월 18일에 영재교육진흥법시행령이 공포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공교육 차원의 영재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그에 따라 영재교육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적절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시급한 쟁점으로 부각되었고, 비로소 2002년 6월 15개 시${\cdot}$도 교육청이 한국교육개발원에 위탁해 영재학급과 영재교육원에 투입할 학년별 50차시 분의 초등학교 4${\sim}$6학년 영재 심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하지만 영재교육의 내실을 기하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교수-학습자료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많은 시도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급용으로 개발된 심화 교수-학습 자료에 제시되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영재학급에 활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5${\sim}$6학년 수학 영재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Elementary Computing.Mathematics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nhancement of Algorithmic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ies (알고리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 컴퓨터과-수학과통합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및 분석)

  • Chae, Song-Hwa;Hur, Ky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73-78
    • /
    • 2009
  • 본 논문은 초등정보교육과정의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에 필요한 알고리즘적 사고를 향상시키고자 초등 컴퓨터과와 수학과를 통합한 교수 학습 과정을 연구하고 적용하였다. 그리고 연구한 교수 학습과정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군을 비교하여 알고리즘적 사고력의 향상도, 통합된 교수 학습과정의 효과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적용한 초등 컴퓨터과-수학과를 통합한 교수 학습 방법이 문제해결과정 구성 능력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 및 분석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학습에서 엑셀 프로그램의 활용

  • An, Byeong-G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81-96
    • /
    • 2000
  • 국민형 pc의 보급,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을 위한 제7차 교육과정의 실현이 바로 앞에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초등수학교육도 수학적 사고력과,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직접적인 경험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수학과 교수-학습에서 컴퓨터 활용에 초점을 둔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프로그램 중에서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접관이 용이한 엑셀프로그램을 동하여 수와 연산, 도형, 측정, 관계영역에서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