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교사교육

Search Result 2,14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mpact of Preparatory Science Methods Courses on Korea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과학 교육 과목이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Hye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17 no.2
    • /
    • pp.33-44
    • /
    • 1998
  •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을 조사하고 이해하는 것은 과학 교수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유력한 요소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교사 양성 과정중 과학 교육 과목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 즉, 자신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대학교와 인천교육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교사들이 한 학기동안의 과학 교육 과목을 마치고 나서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이 어느 정도 변화했는지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예비 교사들이 학습한 과학 교육 과목은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기대감을 모두 향상시켰다. 그러나 앞으로는 과학 교육 과목의 어떤 요소들이 그들의 신념을 변화시키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 질적 연구와 함께 더욱 긴 기간 동안의 연구가 행해져야하며, 변화된 그들의 신념이 실제 초등학교 교사가 될 때까지 지속되는지를 조사하고, 지속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Time of Software Education Training (소프트웨어 교육 연수 참여 시간에 따른 초등 교사의 행태 분석)

  • Kim, Dong-Man;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99-102
    • /
    • 2018
  • 이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SW 교육 연수 참여 시간에 따른 행태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갖고 기존까지 진행된 초등 교사 대상 SW 연수에 대한 중간 점검을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을 제안한다. 1)여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30시간 연수를 중점적으로 운영하고 적극 참여할 수 있게 유도하는 방법을 강구해야하고, 2)대도시와 읍면지역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SW 교육 연수에 관심을 갖게 할 흥미위주의 연수 프로그램을 강구해야하고, 3)교사의 SW 수업과 연구 활동의 저변확대를 위해 초등 교사들이 61시간 이상 SW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종용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진행될 초등 교사 SW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수정 보완하길 바라며, 보다 체계적인 연수 진행으로 인해 초등 교육 현장의 SW 교육 시작의 어려움이 최소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cience Education Apps Develop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Thoughts about Education Developing Apps (초등 예비교사가 제작한 과학교육용 앱의 특징과 앱 제작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생각)

  • Na, Jiye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2 no.1
    • /
    • pp.17-33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s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s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implications for TPACK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whic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ed a science education app, and the three teachers were surveyed for their thoughts regarding this. The result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app by preservice teachers were as follows. First, "inquiry" had the highest value among educational goals intend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In addition, the scores for tool-type apps and apps in which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occurs were relatively high. Second,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apps to meet curriculum goals, but their apps showed low-leve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constructive and cooperative dimens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education development app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signed the lowest score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apps, and to this problem, the achievement standard with respect to the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ctivities fir the apps were proposed. Second, the teachers indicat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provide the experience of making apps to directly improve the TPACK of preservice teachers. Third,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develop block coding literacy to create apps using App Inventor. Fourth, the teachers considered it necessary to emphasize simulated instructions,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collecting and handling data through app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TPACK app development for educational use.

An analysis on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ent status and needs towar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EPL) (현직 초등 교사들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에 관한 실태 및 요구 분석)

  • Yi, Jin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183-18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SW 교육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에 대한 현직 초등 교사들의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현직 초등 교사들이 대부분 이수한 교대의 교육과정에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에 관한 내용은 대다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관한 연수는 양적으로도 연수의 수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현직 교사의 사례들에서도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교사교육에 관한 다양한 요구가 분석되었다. 이를 통하여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초등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of Foundations and Creativity in Mathematics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인식)

  • Park, Mangoo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2 no.3
    • /
    • pp.399-42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수 학습에서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한국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분석해 보는 것이다. 모든 국가의 경제나 교육에 있어서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그 동안 수학에서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한 한국 초등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11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수학에 대한 기본 및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고,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필요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이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하여 중요한 것으로 강조를 하고 있으나 수학과의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이를 적절하게 강화시키는 데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 교사들이 수학의 기본과 창의성에 대하여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에게 이를 적절하게 지도하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의 교육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기본 및 창의성을 신장을 돕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풍부한 자료의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reconceptions and experiences of diagrams in solving math word problems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문장제 해결 도구로서 다이어그램에 대한 초기 관념과 수행)

  • Yim, Jaeho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2 no.2
    • /
    • pp.161-181
    • /
    • 2018
  • This study involved an investig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reconceptions and experiences of diagrams and their ability to draw diagrams in solving math word problems. A questionnaire and two math word problems were administered to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who began to taking an introductory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items indicate tha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ppreciate the value of diagrams as tools for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have the will not only to teach their future students how to use diagrams but also to encourage them to draw diagrams in solving math word problems. However, the results also indicates tha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neither use diagrams spontaneously in their math problem solving activities nor have confidence in drawing useful diagrams.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lso manifested low scores on the questionnaire items asking whether they were taught how to draw useful diagrams or encouraged by their teachers to use diagrams in their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diagrams that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drew in solving math word problems showed that most of them had difficulty drawing diagrams that represent their reasoning and solving process.

  • PDF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EAM Education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 Geum, Young-Choong;Bae, Seon-A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7 no.2
    • /
    • pp.57-7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EAM education. Mail and E-mail surveys were conducted for 533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were foun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although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ood positively the necessity of STEAM education, showed average levels of recognition on STEAM education. Second, the rat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applying STEAM education was low.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to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interes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for STEAM education.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ked for the integration centering activities related real life, followed by the integration focusing on thema related to real life, the integrating centering student's needs and interests, and the integration focusing on issues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integration methods for STEAM education. Fif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creative design/problem solving ability,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ith regard to the ability to develop through STEAM education. Last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ande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TEAM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STEAM education, teacher's training for STEAM education, the distribution of reference materials and etc in order to stimulate STEAM educati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Science Inquiry Teaching: Cases of South Korea,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한국,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 Yoon, Hye-Gyoung;Kang, Nam-Hwa;Kim, Mi-Ju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30 no.4
    • /
    • pp.574-588
    • /
    • 2011
  • 교사의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인식은 실제 수업에서 탐구 지도를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이 과학 탐구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싱가포르, 미국 세 국가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세 국가는 과학교육과정에서 탐구를 강조해 온 역사와 설명 방식이 다르며 전반적인 교육적 상황 또한 상이하다. 총 100명의 초등교사(한국 34, 싱가포르 35, 미국31)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구체적인 교수 상황을 서술하는 교수 시나리오, 이상적인 탐구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쓰기로 구성되었다. 데이터는 외적 기준과 내적 관점 모두에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전통적 견해에 머무르고 있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각 국가의 교육과정에서 탐구가 서술되고 강조된 방식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What d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Learn from Inquiry into Science Class Dilemmas? (과학 수업 딜레마 사례에 관한 탐구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는 무엇을 학습하는가?)

  • Yoon, Hye-Gyou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2
    • /
    • pp.338-355
    • /
    • 2022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quiries into science class dilemmas. By closel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quiry processes and changes in their educational decisions, the effectiveness of using dilemmas as part of teacher education was determined. Twenty fourth-year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and conducted inquiries into science class dilemmas over seven weeks. Based on pre- and post-questionnaires, KWHL tables, inquiry reports, discussions, and group class presentations,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e-service teacher's decision-making changes were extracted. The pre-service teachers found the science inquiry process meaningful when exploring the science topics covered in the dilemmas, and claim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be able to engage in meaningful science explorations if they learned science through inquiry. Furthermore, the pre-service teachers explored the thinking processes and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tudents in different ways. Documents such as teacher's guides and the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the students' thought processe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students, which were found to reflect their educational decision-making. Moreover, it was recogniz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tha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lternative teaching methods were possible. The focus on the unstructured dilemma problems provided the pre-service teachers with problem-solving situations that triggered scientific inquiry and exploration of student thinking and revealed the complexity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teacher education implications for using dilemma cases are discussed.

예비 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교과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 Lee, Jon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331-34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교과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29명의 예비 초등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개방형 답을 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초등교사들은 문장제에서 의미론적 구성과 합병과 구차의 상황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적 방법에서는 알고리즘에 의한 설명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뺄셈을 설명하는데 몇 가지 오개념을 보였다. 이 결과는 앞으로 초등교사양성대학의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기초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