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기 언어발달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미국 내 거주하는 한국 국적을 가진 아동의 초기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영향 중심으로 - (Understanding of foreign-born Korean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in the U.S - Language Development and Maternal Influences -)

  • 서소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31-147
    • /
    • 2005
  • 본 연구는 미국 내 거주하는 한국 국적을 가진 5. 6세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초기 학교 적응에 관련된 변인을 가족, 학교, 또래, 그리고 아동의 언어발달의 측면에서 분석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또한 연구대상의 아동을 적응 집단과 부적응 집단으로 구분하고 두 집단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방식을 심층면접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 또래관계, 학교경험이 아동의 초기 학교 적응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언어발달이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로분석 결과, 아동의 언어발달은 또래관계, 학교경험, 그리고 초기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집단과 부적응 두집단 어머니들과 심층면접에서도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아동의 언어발달 및 초기학교적응에 중요한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초기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간의 관계 : 동사와 명사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Input and Child's Early Language Development : Verbs and Nouns)

  • 이혜련;이귀옥
    • 아동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205-216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aspects of caregiver's input relating to the early development of nouns and verbs. Subjects were 34 Korean-Chinese children in Yanji, China. At 1 year of age each child's spontaneous speech during interaction with his/her caregiver was videotaped for about 30 minutes. The children's spontaneous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coded on the lexical level(nouns and verbs) and the pragmatic level. Children's speech was recorded, transcribed and coded again at 2 years of ag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used more verbs when they were old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ges in mother's pragmatic utterances but when they were two-years-old children used more actionoriented utterances and object-described utterances. Mother's input was related to children's pragmatic utterances.

  • PDF

유아기 발달에 대한 생애 초기 가족 누적위험요인의 영향 - 가정학습환경을 매개로 - (The Effects of Early Cumulative Risk Factors on Children's Development at Age 3 - The Mediation of Home Learning Environment -)

  • 장영은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4호
    • /
    • pp.79-111
    • /
    • 2016
  • 본 연구는 영유아 시기에 경험하는 생애 초기 가족의 누적위험요인이 가정학습환경을 통해 유아의 언어 및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모델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은 표현어휘력으로, 사회성 발달은 또래유능성으로 나타내었다. 한국아동패널(PSKC)의 2차년도와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1,725가족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만 1세 누적위험요인과 만 3세 누적위험요인 간 상관관계는 높아, 누적위험요인의 종단적 지속성을 시사하였다. 만 1세 누적위험요인은 만 3세 가정학습환경의 질적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정학습환경은 유아의 언어 및 사회성 발달 모두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하지만 만 1세 누적위험요인은 유아발달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만3세 누적위험요인은 유아의 언어발달을 직접 예측하였으나 사회성 발달 및 가정학습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만 1세 누적위험요인${\rightarrow}$가정학습환경${\rightarrow}$유아발달의 구조적 관계에서 가정학습환경의 매개적 역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종합하면, 영아기 가족 내 누적위험요인은 유아기 자녀의 발달을 돕는 가정학습환경 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유아 발달에 간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아기 자녀를 둔 위기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 중재 및 지원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아의 공동주의와 초기 언어발달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cy)

  • 이혜련;이귀옥;이영주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97-307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engagement in joint attention and the early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cy. Subjects were 12 infants and their mothers. At 20 and 25 months of age, each child's spontaneous natural speech during interaction with his/her caregiver was videotaped for about 30 minutes. The EJA(Episodes of joint attention) focus between mother and child were identified and coded by Tomasello and Todd's(1983) and Bakeman and Adamson's(1984) including person engagement, object engagement, looking engagement, passive joint attention, coordinated joint attention. Results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between within and outside EJA at 20 and 25 months of age; that is, during periods of EJA children talked more inside than outside EJA.

  • PDF

초기 언어발달에 있어 환경적 영향의 특수성 - 중국 조선족 아동의 가정환경에 따른 단어발달에서 어머니 언어의 매개효과 - (The Specificity of Environmental Influence - Home Environment Affects Korean-Chinese Children's Early Language Development via Maternal Speech -)

  • 전효정;이귀옥;박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63-178
    • /
    • 2004
  • The hypothesis was tested that children whose families differ in socioeconomic status(SES) and educational level differ in their rates of productive language development because they have different language-learning experiences. Naturalistic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was video taped. Transcripts of these interactions provided the basis for estimating the growth in children's productive vocabularies and properties of maternal speech. The sixty children from age 1 to 3 were selected in Yanji, China.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 educated mothers' children grew more than the low educated mothers' children in their mean length of utterances. Properties of maternal speech that differed as a function of mother's educational level fully accounted for this differenc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mechanisms of environmental influence on child development are discussed.

  • PDF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함께 주의하기와 언어발달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박영신
    • 아동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35-50
    • /
    • 2010
  • Joint attention,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ere compared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and Korean families. Joint attention was observed in both the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 (ESCS) and in infant-mother free play. Language development was evaluated by means of the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initiating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in ESCS. However, in infant-mother free play, joint attention episodes were less and shorter in duration with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an in Korean infants. The size of both the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was also smaller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an in Korean infants. In terms of Korean infants, mean duration of joint attention episodes in free pla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ze of the expressive vocabulary and initiating joint attention in ESC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ze of receptive vocabulary. However, none of the measures of joint attention indic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ize of either expressive or receptive vocabulary in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유아 언어학습에 대한 하이퍼망 메모리 기반 모델 (Hypernetwork Memory-Based Model for Infant's Language Learning)

  • 이지훈;이은석;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2호
    • /
    • pp.983-987
    • /
    • 2009
  • 유아들의 언어습득에 있어서 중요한 점 하나는 학습자에 대한 언어환경의 노출이다. 유아가 접하는 언어환경은 부모와 같은 인간뿐만 아니라 각종 미디어와 같은 인공적 환경도 포함되며, 유아는 이러한 방대한 언어환경을 탐색하면서 언어를 학습한다. 본 연구는 대용량의 언어 데이터 노출이 영향을 미치는 유아언어학습을 유연하고 적절하게 모사하는 인지적 기제에 따른 기계학습 방식을 제안한다. 유아의 초기 언어학습은 문장수준의 학습과 생성 같은 행동들이 수반되는데, 이는 언어 코퍼스에 대한 노출만으로 모사가 가능하다. 모사의 핵심은 언어 하이퍼망 구조를 가진 기억기반 학습모델이다. 언어 하이퍼망은 언어구성 요소들 간의 상위차원 관계 표상을 가능케 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유사구조의 적용과 이용을 도모하여 발달적이고 점진적인 학습을 모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11 개의 유아용 비디오로부터 추출한 문장 32744개를 언어 하이퍼망을 통한 점진적 학습을 수행하여 문장을 생성해 유아의 점진적, 발달적 학습을 모사하였다.

부모의 우울이 초등학교 자녀의 언어발달,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The Longitudinal effect of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on language development, problem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child)

  • 권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38-348
    • /
    • 2020
  •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우울수준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파악하고, 아버지와 어머니 우울수준이 초등학교 자녀의 언어발달,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4-8차년(2011~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변수들 간의 종단적인 변화 관계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1,754 가구의 아버지, 어머니, 자녀였다. 분석결과 아버지 우울수준 초기값이 어머니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 우울수준 초기값이 어머니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 우울은 어머니 자신의 우울 문제 뿐 아니라 아버지 우울 문제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우울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가 동시에 나타났다. 아버지의 우울수준 초기값과 어머니 우울수준 초기값은 어머니 우울수준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수용어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학교생활적응, 학업적응, 또래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령기 자녀의 건강한 발달과 학교적응을 위해 아버지 및 어머니 둘 다를 위한 우울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초등영어교육에 있어서 발음교육

  • 박매란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7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257-257
    • /
    • 1997
  • 우리 나라에서 초등영어 교육이 실시되는 연령층이 언어습득 분야에 있어 그렇게 일찍 언어학습을 시작하는 것이 학습효율성의 측면 또는 언어숙달도 측면에서 과연 이로운지에 관해서는 학자들간에 아직도 논쟁의 여지가 많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론에 의하면, 의식적 조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분야가 바로 발 음분야이기 때문에, 따라서 의식적 조작이 이루어지는 '형식적 조작기'이전인 10-11세 정도에서부터 음성언어 중심의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따라서 듣기와 말하기의 기능에 주안점을 둔 초등영어 교육은 감각과 놀이, 게임, 노래나 챈트 둥으로 흥미를 지속시키면서, 영어의 특질인 강세박자리듬언어(stress-timed rhythm language)의 특성올 초창기부터 듣기 및 말하기 훈련으로 지속적으로 연습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James Asher가 창안한 교수법인 천신반용볍(Total Physical Response)도 초기에 말하기에 대한 부담감 없이 흥미 있는 활동을 통하여 학습동기를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었다. 뿐만 아니라, 청취단계에 있어서 초기에는 귀로들은 외국어를 무조건 기억하지 않고 즉각적인 인지로 끌어내어, 점차 이와 같은 인지훈련을 반복함으로써 결국에는 기억에까지 도달하려 하는 초기학습에 중한 역할을 차지하는 학습법이다. 음성학적인 측면에서 초동영어 교육의 시작단계인 3학년에서는 특히 분절음소 차원에서 영어의 자,모음이 우리말의 자,모음과는 다르다는 차이점을 배우게 되고, 초분절 음소 중에서는 강세와 리듬의 차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정확한 발음을 들려주어 정확한 발음을 해 낼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제6차 교육과정의 영어교육 목표가 언어의 '정확성'보다는 '유창성' 에 그 목표를 두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시작단계부터 반드시 정확한 발음을 지녀야 하는 가의 문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확한 발음은 그 언어에 대한 숙련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이와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도 흔히 경험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결국 초등영어 교육과정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영어에 대한 친숙함과 자신감을 심어주고,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측면은 흥미와 관심을 유지시키는 지적인 학습활동보다는 정의적인 학습활동의 전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아동 학습자의 초기 문식성 발달 (Early Literacy Development of Child Korean Learners as a Second Language)

  • 최은지
    • 한국어교육
    • /
    • 제25권1호
    • /
    • pp.235-265
    • /
    • 2014
  • This study is for looking into distinguishing features in child KSL learners' early literacy development. For these, the writings, recording data of dialogue, and observational journals of KSL child learners was collected regularly and the data were analysed. As results, KSL child learners showed lots of writing errors due to difficulty in phonological awareness or letter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And they seemed to develop the competence of connecting letters and meanings prior to developing the competence of connecting letters and sounds. Three KSL child learners showed great individual differences in development rate, and it is supposed to be mainly caused from differences of literacy development in their mother tongue, or quantity and quality in exposure for Korean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