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기 성문암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초기 후두암의 치료 - 보존적 후두절제술의 적용범위와 방법 - (Treatment of Early Laryngeal Cancer - Indication and Technique of Conservative Partial Laryngectomy -)

  • 서장수;송시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6
    • /
    • 1997
  • 초기후두암에 있어서 보존적 술식의 장점은 후두 전적출술시와 같은 국소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후두의 생리적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데 있다. 성공적인 후두부분절제술을 위해서는 후두내에서 종양의 발생위치 및 그 확산에 대한 연부조직들의 해부학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초기후두암환자에서 정상적인 목소리를 보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방사선 치료가 일차적 치료요법으로 많이 시행되어 왔다. Wang 과 Wong은 성대 막양부에 국한된 병변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5년간 조절율(5-year control rate)이 92%, 전연합부를 침범한 경우가 81%, 그리고 후방으로 전파된 경우 76%로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Olofsson 등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57례의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5.7%의 5년 생존율을 얻었으나, 57례중 15례에서 재발하여 구제수술(salvage surgery)을 시행하였고, Jesse 등$^{13)}$ 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91례의 T1, T2 성문암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8%의 실패율을 보였으나 22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후에 salvage surgery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Ogura 등은 피열 연골을 침범한 79례의 환자에서 보존적 수술을 시행한 결과 6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90%의 3-years control rate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병변이 전연합부, 피열연골 혹은 후방성문하부로의 침범이 있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따라서 방사선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비록 방사선 치료 후 실패한 경우에서 구제 수술을 시행할 수는 있지만 후두기능을 보존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를 생각할 때 보존적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Biller 등은 방사선 요법에서 실패한 성문부 종양에서는 대부분 전적출술을 시행하지만 일부는 보존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반대측 성문부에 종양의 침범이 없어야 하고, 전연 합으로의 파급은 있어도 가능하며 성대돌기를 제외한 피열연골이 정상이어야 하고, 종양의 성문하부로의 파급이 5mm 이내라야 하며, 연골에 침범이 없어야 하고, 성대고정이 없어야 하며, 재발 병소가 방사선요법 전의 원발병소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며, 원발병소가 후두부분적출술에 합당할 경우 보존적 술식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다양한 후두 재건술의 발달로 보다 진행된 후두암에 대한 보존적 후두절제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단측 T3,T4 후두암 혹은 경성문암, 이상와에 위치한 암의 경우 음성만을 재건하는 후두근적출술 (near total laryngectomy)을 시행하기도 한다.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1986년부터 초기성문암 51례 중 24례(47.1%)와 초기성문상암 17례 중 12례 (70.6%)에 대하여 보존적 술식을 시행하였다. 초기 성문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24례중, 2례(8.3%)에서 경부재발, 1례(4.2%)에서 경부재발과 동반된 폐의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부위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고, 술후 합병증으로 1례(4.2%)에서 후두협착, 3례(12.5%)에서 수술부위의 육아종형성, 그리고 1례(4.2%)에서 기관지염이 발생하였으나 오연으로 인한 폐렴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 상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12례 중 1례(8.3%)에서 원발병소의 재발, 2례(16.7%)에서 경부재발이 있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 3례(16.7%)에서 오연으로 인한 폐렴의 발생이 있었지만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암 24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21례(97.5%)와 초기성문상암 12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증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생존율을 얻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 치료

  • 유서윤;박찬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6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252.1-252.1
    • /
    • 1996
  • PDF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 장기 추적결과 (Long Term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in Early Glottic Cancer)

  • 김진희;변상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29-34
    • /
    • 2009
  • 목적: 초기성문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는 성대를 보전하면서 완치할 수 있다. 저자들은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 치료 후 재발양상, 장기생존율 및 음성보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초기(1, 2기) 성문부의 편평상피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9세에서 79세로 중앙값 63세이며 병리학적으로 모두 편평상피암이었다. 병기로는 1기가 58명, 2기가 12명이었으며 남자가 67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방사선치료선량은 하루 $1.8{\sim}2.2$ Gy 분할선량으로 총방사선량은 $54{\sim}70.2$ Gy로 병기 1기에는 중앙값 60 Gy, 2기에는 중앙값 66 Gy를 조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3개월에서 180개월로 중앙값이 77.5개월이었다. 생존율은 Kaplan Meier법을 사용하였으며 Log Rank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군 간의 비교는 Chi-square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 국소제어는 69명(98.5%)에서 되었으며 5년 생존율은 93.9%, 5년 무병생존율이 84.1%이었고 구제수술 후 5년 무병생존율은 92.8%로 1기는 93.1%, 2기는 91.7%이었다. 13명(18.5%)에서 국소재발을 하였으며 이 중 9명은 구제수술로 치료되었으며 4명은 재발을 진단받고 추적관찰이 되지 않았다. 방사선 치료 후 국소재발까지의 평균기간은 24개월($3{\sim}69$개월)이었다. 성문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2명으로 폐, 뼈, 간의 전신전이로 각각 33, 71개월 후 사망하였고 9명은 성문암의 재발이나 전이 없이 다른 질환으로 평균 73개월 후 사망하였다. 방사선치료 후 심각한 만성 부작용은 없었다. 전체적으로 62명(88.5%)에서 음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결론: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우수한 장기생존율과 음성보존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치료법이다.

성문암의 방사선치료 (The Result of Radiotherapy in Glottic Cancer)

  • 조문준;김일한;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2호
    • /
    • pp.131-136
    • /
    • 1985
  • 성문암은 술, 담배가 주 원인적 인자로 밝혀져 있다. 성문암은 쉰목소리 등으로 조기발견이 용이하며 대부분 분화도가 좋은 편평상피암이고 해부학적 위치상 조직생검 및 치료경과 관찰이 용이하며, 성운에는 임파절이 없으므로 전이가 적다. 국소 치료인 방사선치료와 수술이 치료의 주종을 이루며 방사선치료는 음성보전 측면에서 효과적이므로 초기병변에는 방사선치료를 진행된 병변의 경우 수술 혹은 수출 및 방사선 복합요법을 사용하고 있다. 저자들은 1979년 3월부터 1982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성문암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을 추적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방사선치료 후 3년 무병 생존율이 $T_1N_0 :\;78\%T_1N_0;\;60\%T_3N_0:\;50\%$, 2 구제적 수술후 3년 무병생존율이 $T_1N_0 :\;89\%T_2N_0;\;80\%T_3N_0:\;50\%$ 3. 재발은 대개 3년 이내에 하였다.

  • PDF

조기 성문암의 방사선 치료 결과 (Radiotherapy Results of Stage I Glottic Cancer)

  • 김재철;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45-250
    • /
    • 1998
  • 목적 : 조기 성문암의 방사선 치료 후 생존율, 실패 양상, 그리고 예후 인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6월부터 1992년 11월까지 방사선 치료를 위해 의뢰된 57례의 성문암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 분포는 17세부터 71세까지 광범위했고 (중앙값 39세), 남자 55례와 여자 2례로 남성에서 호발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 MV X-ray를 이용하여 1회 선량 2 Gy씩, 주 5회, 총선량 66 Gy를 조사하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은 완전 관해 89.5% (51/57), 부분 관해 혹은 무반응 10.5%(6/57) 였다. 51례의 완전관해 환자 중에서 7례의 재발이 관찰되었고 7례 모두 수술로 구제되었다. 부분 관해 혹은 무반응 6례 중 4례에 대하여 구제수술을 시행하였고 2례에서는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였다. 구제수술을 시행한 4례 중 3례가 구제되었고 1례는 다시 국소재발하였다. 3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72.9% 및 63.8%였다. 병소의 위치에 따른 5년 무병생존율은 후방인 경우 85.5%, 전방인 경우 61.6%였다 (P<0.05). 방사선치료에 대해 부분 관해 혹은 무반응을 보인 5례를 포함하여 13/57 (22.8%) 례의 치료 실패가 관찰되었고 그 중 10/13 (76.9%) 례가 수술로 구제되었다. 최종 5년 국소제어율은 92.3%였고 전체적으로 47/57 (82.5%) 례에서 음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결론 : 높은 음성 보존율을 고려하면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치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PDF

초기 성문암 환자에서의 소분할 조사법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 예비적 결과 -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 Preliminary Results -)

  • 우홍균;홍세미;신성수;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01-305
    • /
    • 2001
  • 목적 :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소분할 치료(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의 용이성과 그 부작용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2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하여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I, II 병기의 초기 성문암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군의 성별분포는 18명이 남자, 2명이 여자였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59세였다. 병기의 분포는 T1aN0 - 16명, T1bN0 - 1명, T2N0 3명이었다. 18명의 환자는 후두미세수술을 통한 조직생검을 시행하였으며 2명의 환자는 레이저 절제술을 시행받았다. 모든 환자는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2.5 Gy의 분할조사선량으로 총 50 Gy의 방사선을 24회 분할하여 시행받았다. 치료 기간의 중앙값은 36일 이었다(범위 $31\~45$일). 결과 : 방사선치료 기간 중 급성 반응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다. 주된 급성 부작용은 식도염과 애성이었으며 치료 후에는 호전되었다. RTOG grade 3의 식도염으로 인한 연하통을 보인 환자가 1례에서 있었고, 6례에서 grade 3의 애성을 보였다.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은 치료 종료 1개월 후에 판정하고 모든 환자에서 완전관해를 보였다. 20명의 환자 중 3명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는데, 2례는 방사선치료 후 10개월과 13개월의 시점에서 국소재발이 관찰되었고, 1례는 방사선치료 후 2개월의 시점에서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이 관찰되었고 4개월 후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 소분할 방사선치료는 시행상의 큰 어려움 없이 진행되었으며 질병의 관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방사선치료기간의 단축이 종양의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만성 부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보다 오랜 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X>은 필름에 비해 2 mm 가량 크며, 최소 beamlet 크기가 5 mm 임을 감안할 때 부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RTP commissioning 후 계산 선량은 $1\times1\;cm^2$ 크기 소조사면에서의 측정치와 $2\%$ 범위 내에서 일치하였다. C자 형태의 PTV에 대한 9개의 세기변조된 조사빔에 대한 2회에 걸친 치료중심점에서의 절대선량 측정결과 개별 조사빔에 대하여는 $10\%$ 이상 차이를 보였으나 총 선량은 $2\%$ 이내에서 일치하였다. 필름을 이용한 선량분포도도 계산치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실제 치료환자의 팬톰 내에서의 절대선량 측정 결과 총 선량은 $1.5\%$ 차이를 보였다. 각 조사빔에 대해 중심 leaf의 측방선량분포도를 필름 및 선형배열다중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조사면 밖에서 계산선량이 $2\%$ 내외로 작게 나타났으나, 특정 위치를 제외하고는 $3\%$ 이내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위해서는 다엽콜리메이터의 위치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정도관리 절차가 개발되어야 될 것으로 판단되며, 조사빔내 세기패턴을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보증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원에서는 팬톰 내에서의 치료중심점과 같이 특정 지점에서의 절대선량 확인 및 필름 혹은 선형배열다중검출기를 사용한 세기분포 패턴의 확인 과정을 통하여, 이를 적절히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 적합한 정도관리를 시행할 수 있었다.용하여 방광 보존을 및 5년 생존율에 있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완전한 TURBT와 유도 MCV 항암요법과 cisplatin 방사선 병용요법에서 완전관해 여부가 방광보존가능성과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생각되고 만약 완전관해를

  • PDF

초기성문암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of Early Glottic Cancer)

  • 안용찬;박찬일;김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51-57
    • /
    • 1990
  • 1979년 3월부터 1984년 8월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의 TINOMO와 17명의 T2NOMO를 포함하는 48명의 초기성문암 환자에 대한 후향적 조사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에 대한 추적조사기간의 중간값은 67개월이었으며 (범위 : 34개월$\~$126개월), $85.4\%$의 환자에서 5년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다. 전체 환자군의 5년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은 각각 $83.2\%$$69.4\%$였다. T1 병기환자군의 5년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87.1\%$$76.0\%$였으며, T2 병기 환자군에서는 각각 $76.5\%$$58.2\%$였다. 초기 성문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서의 치료실패의 원인, 선량-반응 관계, 이차성 악성종양의 발현 및 보다 좋은 치료성 적을 얻기 위한 제언 등에 대한 분석 및 토론을 하였다.

  • PDF

Tla 병기의 성문암에 대한 레이저 절제술과 방사선 치료 비교 (Comparison of the Voice and Treatment Results after Laser Cordectomy or Radiotherapy on Tla Staged Glottic Cancer)

  • 남순열;이윤세;김찬종;김종찬;김범규;김상윤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9-144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various voice-conserving treatments are used for Tla staged glottic cancer. Especially, Tla staged glottic cancer has been shown excellent treatment result after laser cordectomy or radiotherapy. To evaluate which treatment results better voice after treatment made it valuable to define the exact indication and recommending treatment modality on the Tla staged glottic cancer patients. Method : The medical records of 75 patients with glottic TlaN0 cancer diagnosed at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form May, 1989 to July,200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on the point of voice quality and oncology including 5-year survival rate and local control rate. Results : Laser cordectomy and radiotherapy showed 100% and 94.0% 5-year survival rate, respectively. And laser cordectomy had 94.3% local control rate while radiotherapy got 87.6% local control rate. Voice analysis of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were used to compare each result. Fundamental frequency(F0), shimmer, jitter, noise to harmony ratio(NHR), maximum confortable phonation time(MPT) and vocal efficiency(VE) were used for parameters for voice analysis. Only in shimmer and MPT, we could find significant posttreatment difference between two therapies. In addition, we reviewed the total expenses for each therapy. Conclusion : On the basis of the oncologic result, both the laser cordectomy and radiotherapy had the similar results. Laser cordectomy showed the relatively acceptable voice as radiotherapy did. Laser cordectomy cost less than radiotherapy did. Laser cordectomy can be used for treatment about Tla staged glottic cancer.

  • PDF

초기 성문암 환자에서 소분할조사법의 방사선 치료 결과와 예후 인자 (A Result and Prognostic Factors of Hypofractionation Radiation Therapy in Early Glottic Cancer)

  • 이미조;김헌정;김우철;노준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2-138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gener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T1-2N0M0), by assessing the role of primary radiation therapy and by analyzing the tumor-related and treatment-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results. We also studied the results of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Material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comprised 48 patients who suffered from early glottic cancer and were treated by primary radiotherapy at Inh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1997 and October 2004. T-stage distribution showed 38 patients as T1 and 10 patients as stage T2. Thirty-eight patients underwent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using a 6 MY photon beam, a total tumor dose of 63Gy, in 5 weekly fractions of 2.25Gy, with an overall radiation treatment time of 38 days. Ten patients in the T2 stage tolerated a total dose of 63-72 Gy(median 68.4Gy) in 5 weekly fractions of 1.8-2.0Gy, with an overall radiation treatment time of 40-87 days(median 51 days).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3 year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results. Result: The 5-year survival rate was 92% for all patients, 94% for T1 patients and 91% for T2 patients. The local control rate was 93.5% for all patients, 95% for T1 and 92.2% for T2 patients. Three patients suffered a relapse following radiotherapy, and underwent subsequent salvage surgery. We included T-stage, tumor location, total radiation dose, field size and overall radiation treatment time as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Only T-stag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but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i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 High curative and voice preservation rates were obtained with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urther study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is need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reatment results.

초기 성문암종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성대절제술의 효과 (Endoscopic Laser Cordectomy for Early Glottic Cancer)

  • 최종욱;박정수;민헌기;정광윤;최건;유홍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1-205
    • /
    • 1996
  • 이상의 성적에서 레이저 성대 절제술은 초기 성문암종에 대한 일차 치료법으로 유용하다고 생각되었으며, 일차 절제가 가장 중요하고 그후 성대를 포함한 전체 후두점막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현수후두경하에 수술현미경을 이용한 추적관찰과 원격전이 및 이차암의 발생 유무에 대하여 적극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