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충전용량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Additional Pulse to Remove the Sulfate Film on the Charging Capacity in the Industrial Lead-Acid Battery (극판 피막 분해용 펄스파가 산업용 연축전지의 충전용량에 미치는 영향)

  • Choi, Kwang-Gyun;Yoo, Ho-seon
    • Plant Journal
    • /
    • v.16 no.4
    • /
    • pp.40-44
    • /
    • 2020
  • In this study, after supplying a pulse wave to the 2 V Industrial Lead-Acid Battery electrode plate and repeat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discharging time per voltag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 while the lead-acid Battery that a pulse wave is not supplied decreased about 18 % of discharging capacity than the beginning, the lead-acid Battery that a pulse wave is supplied decreased a little amount much lower than 18 %, of discharging capacity and recorded the 0.56 % decrease, at a minimum, from discharging capacity at the 20 kHz frequency. This means that the sulfate on electrode plate is detached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rge transfer is highly activated at the 20 kHz frequency

Studies on decomposition of solvent for lithium-ion battery (리튬 이온 전지의 용매 분해 반응에 대한 연구)

  • Chung Kwang-il;Choi Byeong-doo;Kim Shin-Kook;Kim Woo-Seong;Choi Yong-Kook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1 no.1
    • /
    • pp.28-32
    • /
    • 1998
  •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of film and charge-discharge capacity of Li-ion cell in 1 M $LiPF_6/EC:DME$ (1 : 1, by volume ratio) electrolyte solution was studied using chronopotentiometry, cyclic voltammetry, chronoamperometry, and impedance spectroscopy. The first irreversible capacity was higher than the second irrversible capacity because of solvent decomposition. Especially, passivation film that is electron insulating and ionic conducting were formed on the MPCF by solvent decomposition during the first charge. The solvated Li is co-intercalated with solvent into MPCF electrode. Part of the MPCF is expoliated during co-intercalation of solvent-Li. The MPCF ends up nonuniformly covered by a relatively thick layer of exfoliated particles embedded in a matrix of product by solvent decomposition.

피치계 카본 부극재료의 리튬이차전지 반응특성 연구

  • 박영태;김정식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19-122
    • /
    • 1999
  • 페트롤리엄 피치와 콜타르 피치를 열분해하여 제조한 카본을 리튬이차전지용 부극재료로 사용한 반쪽전지를 제작하여 전극의 충방전 용량 및 cycle 특성, 카본의 열처리 온도와 용량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 충방전 용량은 콜타르 피치 카본의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 페트롤리엄 피치 카본에서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100$0^{\circ}C$ 이상의 온도부터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방전 횟수가 증가할수록 충전용량은 감소하지만, 가역특성(reversibility)은 90% 이상으로 향상되었다.

  • PDF

Quantitative Comparison of Packing States of Various Press Scraps (다양한 생압고철 충전 상태의 정량적 비교)

  • Sang-Hwan Lee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42 no.6
    • /
    • pp.358-368
    • /
    • 2022
  • In this study, visu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on the packing behaviors of various press scraps. The packing states after the initial charging step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The comparison targets were 300mm cubic press scraps, customized cubic press scraps, customized octagonal prism press scraps and customized cylinder press scraps. The customized press scraps were designed in customized sizes for furnaces with melting capacities of 1, 1.5, 2, 3, 4, 5 and 6t/h. The packing states such as the initial charging number, the additional charging weight percentage, the packing density and the gap volume percentage were comparatively evaluated.

Studies on Formation of Passivation Film on KMFC Anode with Initial Charge Temperature (탄소 부극에서 초기 충전온도별 부동태 피막 형성에 대한 연구)

  • Park, Dong-Won;Kim, Woo-Seong;Choi, Yong-Kook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6 no.4
    • /
    • pp.507-512
    • /
    • 2005
  • When carbon electrode is used as an anode in Li ion battery, passivation film forms on the electrode surface during the initial charge process due to so called Solid-Electrolyte Interphase (SEI). The passivation film formed by solvent decomposition during the initial charge process affects charge/discharge capacity. In this paper, 1 M $LiPF_6,EC:DEC$ (1 : 1, volume ratio) electrolyte with $Li_2CO_3$, at various temperatures,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ssivation film formed on Kawasaki Mesophase Fine Carbon electrode surface were investigated by using chronopotentiometry, cyclic voltammetry, and impedance spectroscopy. Experimental observations indicated that as solvent decomposition occurred, the decomposition voltage was strongly dependent on ionic conductivity, which was low in the process at low temperature. The impedance of passivation film formed during the initial charge process, were dependent on the temperature.

Improvement of Step-charging Characteristic for Ni-MH Battery by Selective Cut-off Method (선택적 충전단계절환에 의한 Ni-MH 전지의 계단충전 특성 개선)

  • 안재영;강신영;김광헌;임영철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3 no.4
    • /
    • pp.273-279
    • /
    • 1998
  • In this paper, the proposed charging system consists of step charging mode and time-sharing equalization charging mode. As $\Delta$V=O point is detected, the proposed cut-off method will selectively cut off the only battery to reach the $\Delta$V=O point, preventing serial-connected batteries from undercharging. In the start of each step, the equalization charging mode is performed to reduce the capacity difference among the batteries. Though it is added to simple circuit for selective cut-off, comparing with recently used step-charging method, this system can improve the life cycle of battery and charging efficiency, and be also very effective for preventing the batteries from overcharging and undercharging.

  • PDF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ell Performance for the Carbon Electrode by Impregnating $SnO_2$ ($SnO_2$ 첨가에 의한 리튬이차전지용 카본전극의 전지특성 개선)

  • Yang Seung-Jin;Kim Jung-Sik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57-160
    • /
    • 2003
  • mesocarbon microbeads (MCMB) 카본 분말에 제2상 첨가물로서 소량의 주석산화물$(SnO_2)$을 균일하게 분산 첨가시킴으로서 리튬이차전지의 부극재료로 사용되는 카본 분말의 전지 성능을 개선하였다. 주석산화물 첨가 방법는 전하적정법을 사용하여 Sn을 MCMB 분말에 삽입시키고, 다시 삽입된 Sn이 산화되도록 대기 중에서 $250^{\circ}C$로 1시간동안 후열처리를 하였다. 주석산화물이 첨가된 MCMB 카본분말로 Li/MCMB 전지 cell을 만들어 충방전시험을 수행한 결과, raw MCMB로 만든 전극보다 더 우수한 충방전 용량과 싸이클 특성을 나타내었다. 즉, 주석산화물 삽입에 의해 표면개질된 MCMB 카본 분말은 기존의 MCMB에 비해 높은 초기 방전용량과 충전용량을 나타내었고, 또한 높은 가역 특성과 좋은 cycleability를 보였다. 삽입된 $SnO_2$의 양이 증가할수록 높은 가역용량을 나타내었고 비가역용량 역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리튬이온전지용 탄소기반 음극재의 리튬저장능력 향상을 위한 나노구조체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Han-Bin;Lee, Myeong-Hun;Kim, Yeon-Won;Kim, Dae-Yeong;Gang,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137-137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리튬이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리튬이온 저장 용량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 방법은 솔루션 플라즈마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원자 단위의 리튬을 탄소 기반 물질의 내부에 도핑 시키고, 열처리를 통해 그 내부를 재설계하는 것이다. 리튬이온전지용 음극 활물질로 리튬금속 자체를 사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으나, 이는 충전 및 방전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리튬이 수지상으로 석출되어 내부를 단락시키거나, 리튬금속 자체의 폭발성에 의한 취급상의 제약이 있었다. 한편, 원자 단위로 탄소 내부에 도핑 된 리튬은 열처리 과정 동안 탄소 내부에서 확산함으로써 더 많은 리튬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고,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서서히 충전 및 방전 반응에 참여함으로써 전지의 성능을 개선시켰다. 리튬이 도핑 된 탄소의 전기화학적 테스트 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에서 보여진 초기 고용량 및 장기 사이클 특성은 탄소 내부에 도핑 된 리튬이 전지 성능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용량은 첫 사이클에서 형성된 solid electrolyte interphase의 비가역 용량을 보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탄소 내부에 원자단위의 리튬을 도핑시키는 새로운 접근은 리튬이온전지의 성능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리튬 이외의 다른 원소들, 즉 소듐과 같은 물질에 대하여 도핑을 시도한다면 새로운 분야에서 이와 같은 접근법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Analysis of Transient Voltages for Various Capacity of Sh.R during Energizing Transmission Lines (Sh.R의 용량 변화에 따른 시송전 계통 초기 가압시 과전압 분석에 관한 연구)

  • Yeo, Sang-Min;Lyu, Young-Sik;Joo, Haeng-Ro;Cho, Burm-Su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31-33
    • /
    • 2008
  • 전력계통에서 고장과 같은 어떤 원인에 의한 전계통 정전 또는 광역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빠른 시간 내에 다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러나 계통의 구성 형태, 부하 조건, 발전기의 종류 등에 의해 계통 복구시 부하 투입에 의한 발전기 응동, 송전선로 가압시 선로 충전용량에 의한 과도현상 등 다양한 형태의 과도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시송전 계통에서의 복구절차 수행시 송전선로를 가압할 때 발생하는 과도현상을 분석하였다. EMTP를 사용하여 시송전 계통을 모델링하였으며, 다양한 Sh.R 용량에 따른 과전압을 분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