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급항해사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난이도별 초급항해사의 운항기술 능력 분석

  • Lee, Myeong-Gi;Park, Yeong-Su;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89-190
    • /
    • 2018
  • 국내 해기 교육기관에서는 초급항해사들이 운항 경험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교육을 필수로 이수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교육 기간 및 내용에 대해서만 국내외 지침에 명시되어 각 교육기관에서는 자체 커리큘럼에 의하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어떠한 환경의 해역에서 시뮬레이션 실습을 수행하였는지는 초급항해사가 경험과 기술을 습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RK Model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난이도를 추정하고, 난이도에 따라 초급항해사의 운항기술을 타선박과의 이격거리, DCPA, PARK Model 위험도 값, 항로탈거리의 요소로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는 추후에 난이도 별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균일한 교육 커리큘럼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실습선을 이용한 선박 조우상황 분석을 통한 실습교육자료 제안

  • Park, Yeong-Su;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12-113
    • /
    • 2007
  • 실습생 및 초급항해사에게 항해 중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충돌회피를 위한 선박조종 실습은 법적 책임 및 타 선박과의 불규칙한 조우로 인하여 직접적인 충돌회피 조종 실습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타 선박과의 조우 상황 자체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나라호의 2007년 원양항해 중 타 선박과의 조우형태를 조사하여 해양계열 대학 실습생 및 초급 항해사에게 실제 해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우상황별 위험도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하여 충돌회피를 위한 효율적인 판단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실습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추후에는 이러한 자료를 선박조종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임의의 조우 상황하에서 안전한 선박조종이 가능하도록 교육 훈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실습교육에 이바지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Efficient Training Material through Danger Analysis to Various Encounter Types using Training Ship (실습선을 이용한 선박 조우형태별 위험도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실습 교육자료 개발)

  • Park, Young-Soo;Lee, Yun-S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2 no.1
    • /
    • pp.103-108
    • /
    • 2008
  • In the maritime universities, cadets of deck part should practice on board training using training ships of university or merchant vessels of company for 1 year according to STCW Convention. For training period, trainees are educated many education items as to positioning ability, chart work ability, vessel operation ability and cargo operation ability etc. Among many abilities, vessel avoiding ability which is demanded as a basic ability for deck officer can't be gained easily, because avoiding maneuver of ship controlled by cadets is not allowable regally and encounter situations occur randomly. This paper investigated CPA to the various encounter types with other vessels during the ocean going navigation of T.S Hannara. We analysis danger degree per each encounter type, and proposed a basic material of efficient training education about proper look-out and avoiding maneuver.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훈련 지침 및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Yun-Seok;An, Yeong-Jung;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60-262
    • /
    • 2014
  • 해양사고는 선박운항 또는 기기작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의 결여에서 기인되는 부분도 있으나, 사고의 많은 부분이 운항자의 정신적 해이 또는 주위상황 식별오류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해기교육이 강화되고 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다양한 교육훈련 과정이 개설되고 있지만 사고 발생율이 높은 하급면허를 소지한 항해사들은 영세한 선사들에 소속되어 시뮬레이션 교육의 기회가 많지 않다. 따라서 영세선사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초급 및 하급 항해사용 간이 시뮬레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이 시뮬레이터에 사용될 시나리오와 시뮬레이션 Debriefing에 이용하기 위한 자기평가서,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정량화 시킬 수 있는 평가 알고리즘을 항해사 및 해기교육 대상자들의 설문결과, 사고사례 통계조사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um of Nautical Science in major Maritime Universities (주요 해양대학의 항해학 전공 커리큘럼 비교 연구)

  • Kim, Sung-J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93-199
    • /
    • 2018
  •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AI, autonomous vessels will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 curriculum of nautical science in maritime university is not prepared for this trend. In addition, after the expiration of the mandatory boarding period, a number of junior merchant marine officers are leaving offshore jobs to find onshore jobs. This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iculum of nautical science in maritime universities. Since most of seafaring countries ratified STCW 2010, nearly all themaritime universities train their cadets by followings the procedures required by STC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these marine universities in oder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our curriculum of nautical science. This will ultimately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an ideal curriculum to prepare for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o prepare for a job on the grou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