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고압

Search Result 66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과학리포트-초고압의 세계

  • Lee, Gwang-Y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5 s.312
    • /
    • pp.14-15
    • /
    • 1995
  • 사람이 다이아몬드를 만든다는 것은 지금부터 30년전만 해도 하나의 꿈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초고압이 만들어내는 요술의 힘을 빌어 인조 다이아몬드를 공장에서 쉽게 만들고 있다. 이 요술쟁이 초고압은 과연 어떤 것일까? 우리나라에서도 인조 다이아몬드 개발에 성공, 88년부터 상품화해 수출까지 하고 있는데 이러한 신비로운 초고압의 세계를 훑어본다.

  • PDF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O.F케이블)의 개발현황 및 전망

  • 박중근;이응종
    • 전기의세계
    • /
    • v.37 no.10
    • /
    • pp.39-45
    • /
    • 1988
  • 당사의 초고압 전력케이블은 1978년 국내 최초로 154KV O.F케이블을 실용화한 이래, 해외로부터의 기술 도입과 이를 계량발전시킴으로써 현재는 초고압 케이블의 전 분야에 걸쳐 세계적, 최선진 기술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본 내용에서는 초고압 전력케이블의 주류인 O.F 케이블에 대하여 당사의 개발현황 및 향후 O.F 케이블 관련기술전망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초고압발생 및 측정

  • 조연옥
    • 전기의세계
    • /
    • v.37 no.7
    • /
    • pp.4-11
    • /
    • 1988
  • 본고에서는 초고압기술 중 전기응력에 대해서 주로 논하고자 한다. 절연체의 전기강도는 여러가지의 환경적인 요소들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절연체의 전기강도를 수량적으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요소들의 영향을 충분히 알아야 할 것이다. 이들 요소 중 전기응력에 관련된 것들은 전압의 크기 및 파형이므로 초고압계통에서 사용되는 절연체가 그 초고압ㅇ 잘 견딜 수 있는 지를 알기 위해서는 그 초고압계통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지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기응력에 관한 한 초고압에서 중요한 문제는, 초고압계통에서 일어날 수 있는 파형을 해석하고, 그 파형을 어떻게 실험실에서 모의 하여 발생하고, 발생된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이라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현재 전력계통 분야의 세계각국의 초고압연구를 간략하게 소개한 후 초고압 발생 및 측정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PDF

Toxicity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s Process (초고압 공정에 의한 홍경천의 독성 감소 및 항암활성 증진)

  • Kim, Cheol-Hee;Kwon, Min-Chul;Qadir, Syed Abdul;Hwang, Baik;Nam, Jong-Hyeon;Lee, Hyeon-Yong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15 no.6
    • /
    • pp.411-416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of toxicity and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from R. sachalinensi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s process. The cytotoxicity on human kidney cell (HEK293) and human lung cell (HEL299) was showed below 20.4% and 21.6% as compare to normal extracts in adding 1.0 $mg/m{\ell}$ concentration. This showed that toxic materials through ultra high pressure processing is broken or degraded. Because bond such as hydrogen bond, electrostatic bond, Van der waals bond, the hydrophobic bond, can be broken by high pressure. The anticancer activity was also increased in over 7% by high pressure processing in A549, AGS, MCF-7 and Hep3B cells. The result showed that extraction by high pressure have low cytotoxicity and high anticancer activity. So, the high pressure extraction technolog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ruption of new material with high biological activity.

전(電)력질주 - 효성 전력 퍼포먼스유니트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50
    • /
    • pp.72-77
    • /
    • 2014
  • 1962년 당시 중공업 불모지였던 이 땅에 본격적인 중공업 시대를 개막한 효성은 반세기를 훌쩍 넘긴 오늘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변화와 개혁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전해 왔다. 중전기기 신제품 개발에 힘을 기울여온 효성의 발자취는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고 할 정도로 효성은 국내 전력산업사(史)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이다. 154kV 환상망 구축사업의 중추적 역할 수행, 345kV 전력기자재 최초 납품, 765kV 초고압 변압기 국내 최초 개발 및 수출, 800kV급 2점절 초고압 차단기(GIS, Gas Insulated Switchgear) 세계 최초 개발, 1,100kV 극초고압 GIS 국내 최초 순수 독자 개발 등 효성의 초고압 분야는 화려한 역사를 자랑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세계 초고압 분야의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이에 비단 효성 뿐 아니라 국내 초고압 관련 기업들의 움직임도 주춤한 상태다. 문제는 이러한 난관을 어떻게 빨리 헤쳐 나가느냐에 있는데, 효성이 선택한 방법은 '고객제일주의'와 '신기술 개발'이다. 이는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이 기본을 준수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는 모두 알 것이다. 즉 50여년 전 아무 것도 없는 중공업 분야에서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겠다던 '초심'으로 돌아가 지금부터 다시 새 역사를 써나가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는 것이다. 그 중심에 우뚝 서 효성의 초고압 전력 분야를 책임지고 있는 전력 퍼포먼스유니트를 소개한다.

  • PDF

초고압 가공처리의 가열 효과

  • Hong, Seok-I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07-111
    • /
    • 2002
  • 초고압 가공처리는 별동의 화학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온에서 식품유래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품분야에서 주목받는 새로운 가공기술이다. 이러한 초고압 처리의 장점 덕분에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그대로 보존되는 고품질 식품의 제조도 가능하다. 고압 조건에서의 미생물 사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흔히 실험실 규모의 장비(그림 1)을 사용하여 소량의 미생물 접종액을 처리함으로서 대량 처리시(그림 2)의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 초기에 개발된 실험실 귬의 초고압 처리장비에는 일반적으로 고압용기 내부에 온도감지 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 압력 조건 하에서의 압축발열 및 순간 감압냉각 효과가 제대로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가열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초고압 처리기 특유의 가압 특성 대문에 실험 결과의 재현성을 얻기가 힘들고, 특히 대용량 생산설비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론적으로 초고압 처리는 매우 예측 가능한 공정이다. 즉 고압요기 내부에서는 어느 지점이던 간에 압력이 고르게 분포되고, 가열 확산에 근거한 처리공정과는 달리 압력이 모든 지점에 순간적으로 공정상 불균일이 야기될 소지가 있는 부분은 오직 압축에 다른 발열과 열 전달에 의한 온도 편차에 기인한다. 실제로 처리 대상 제품과 압력 전달매체의 압축시 발열정도 차이와 시료, 매체, 고압용기 간의 열 손실 또는 열 흡수 대문에 고압처리 공정에서 온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 PDF

A Study of the Variation in Intensifie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Varying with Pressure and Temperature (압력·온도 변화에 따른 초고압 발생기 성능특성 연구)

  • Kim, Hyoung-Eui;Lee, Gi-Chun;Kim, Jae-Ho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9
    • /
    • pp.1249-1255
    • /
    • 2010
  • An ultra high- pressure system generally consists of a hydraulic power unit, an oil supply unit, an electrical power supply device, and an electrical control device. The hydraulic power unit supplies the hydraulic power to the intensifier to create generate ultra high pressure. The intensifier amplifies increases the pressure using the oil supplied from by the hydraulic power unit. The electrical supply devices and control devices maintain are provided for the electric motors, valves, and sensors. In this study, instead of a flow-control device, a pressure-control type device was mounted on a manifold block in the hydraulic power unit instead of the flow-control type. A servo valve was fitted in the intensifier, an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intensifier varied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in the pressure cycle and with the temperature of the operating oil in the hydraulic power unit.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Small Colored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by using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초고압 처리가 꼬마칼라감자의 항산화 증진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Jin;Kwon, Min-Soo;Hwang, Young-Jeong;Choi, Mi-Sook;Rha, Young-Ah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0 no.4
    • /
    • pp.27-36
    • /
    • 2014
  • We investigated a method to improv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lored potato extract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The colored potato was extracted by water at $60^{\circ}C$(WE) and 300 MPa for 15 min (High Pressure Extraction, $HPE_{15}$) and 30 min (High Pressure Extraction, $HPE_{30}$). The extractions yielded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were 1.73(WE), 2.10($HPE_{15}$), and 2.41($HPE_{30}$)%.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of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were estimated as 48.21(WE), 50.20($HPE_{15}$) and 51.34($HPE_{30}$) GAL mg/g, respectively. The flavonoids contents of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were measured as 13.12(WE), 14.35($HPE_{15}$) and 15.17($HPE_{30}$) RE mg/g, respectively. Generally, for the contents of phenolic acid and flavonoids, the samples from HPE were higher than those from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HPE_{30}$ showed 76.21%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DA, %) in 1,000 ug/mL. The reducing power of $HPE_{30}$ also showed the high activity as 0.42. In generally, antioxidant activities of colored potato were increased by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We could tell that the HPE extracts of colored potato had a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ose from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The results of HPE showed obvious advantages in higher efficiency, shorter extraction time.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lueberry (Vaccinium ashei) by Using High-Pressure Extraction Process (초고압 처리가 블루베리의 항산화 증진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 Jin;Choi, Young Bum;Ko, Jung Rim;Kim, Young Eon;Lee, Hyeon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3
    • /
    • pp.471-476
    • /
    • 2014
  • We developed a method for improving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lueberry (Vaccinium ashei) extracts through an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process. Blueberries were subjected to water extraction at $60^{\circ}C$ and 300 MPa for 5 min (High Pressure Extraction, HPE5) and 15 min (HPE15). Extraction yields obtained by ultra high-pressure extraction process were 18.48, and 19.89%,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estimated to be 28.3, and 28.9 mg/g, whereas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as 5.9 and 6.0 mg/g, respectively. Generally, HPE resulted in higher yields than the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Further, HPE15 showed 53.84%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DA, %) at $1,000{\mu}g/mL$. Reducing power of HPE15 showed its highest activity of 0.21. In general, antioxidant activities of blueberry increased by HPE. Therefore, HPE of blueberry resulted in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obvious advantages in terms of higher efficiency, shorter extraction time, and lower energy costs.

Ginsenoside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Red Ginseng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초고압 처리한 홍삼의 ginsenoside 함량 및 항산화 활성)

  • Shin, Chang-Sik;Lee, Do-Hyun;Kim, Sung-Han;Shin, Min-Ho;Jeong, Chang-Ho;Shim, Ki-Hwa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4 no.6
    • /
    • pp.133-140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ginsenoside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red ginseng after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RGHHP). Crude saponin content in traditional red ginseng (TRG) and RGHHP were 21.93 and 27.29 mg/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s, crude saponin and ginsenoside increased after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TRG and RGHHP showed an increase 25.60% the highest content of Rb1 (14.10 mg/g and 17.71 mg/g). Also, Rg3 content compared with TRG and RGHHP increased 10.46%.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red ginseng against the DPPH and ABTS radical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extract and RGHHP higher than TRG. The reducing power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of the red ginseng were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FRAP of TRG and RGHHP were 0.30 and 0.36 absorbance,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RGHHP would have the protective potential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by free radic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