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

Search Result 10,56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ffects of Modified ultrafiltration at cardiopulmonary bypass animal experiment. (심폐바이패스 실험동물에서의 변형 초여과법 사용의 효과)

  • 한재진;원태희;박성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10
    • /
    • pp.874-882
    • /
    • 1999
  • 배경: 체외순환 후의 부종현상 및 이에 따른 여러 장치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 체외 순환 이탈 후 환자의 혈액을 짧은 시간에 관류하여 여과해 주는 변형 초여과법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에 대한 긍정적인 임상결과들의 보고도 있으나, 다른 한편 체외 순환 후 염증반응을 포함한 폐손상의 기전에 혈구 성분의 영향이 보고되고 있는 바, 변형 초여과법의 효과, 특히 폐 조직에 대한 영향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몸무게 15에서 22 Kg(평균 16.5$\pm$0.5)의 16 쌍의 잡견을 이용한 정소성 심장이식, 실험에서, 통상적인 인공심폐기 작동군과 인공심폐기 작동 후 변형 초여과 관류를 시행한 군으로 무작위 구분하였다. 변형초여과법은 체외순환 정지 후에 대동맥관에서 나온 혈류를 Roller pump를 거쳐 Amicon Diafilter 초여과 관에 150 mL/m 정도의 속도로 10~15 분 정도 관류시켜 정맥관을 통하여 우심방에 직접 주입하였다. 혈액 채취 및 폐생검은 심폐기 시작 전과 정지 직후, 그리고 변형초여과 시행 군은 초여과 완료 직후에, 대조군은 심폐기 정지 10~15분 후에 각각 시행하였다. 혈류역학 측정요소는 동맥압, 우심방압, 좌심방압 등이었으며, 혈액 검사 항목은 동맥혈 가스분석, 혈색소 농도, 헤마토크릿, 백혈구 수, 혈소판 수, 혈중 단백 성분, 알부민 성분 등이었다. 폐 생검 조직으로는 냉동 건조법을 이용한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고,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을 하였다. 결과: 변형 초여과 군에서 혈중 혈색소 농도는 수술전 10.3$\pm$1.7 mg/dL, 심폐기 정지 직후 6.3$\pm$1.7 mg/dL, 초여과 직후는 8.3$\pm$2.8 mg/dL의 변화를(p=0.0078, 0.0117), 혈중 총 단백질의 농도 변화는 4.3$\pm$0.9, 3.1$\pm$1.5, 4.1$\pm$1.6 mg/dL, 혈중 알부민의 농도는 1.9$\pm$0.5, 1.4$\pm$0.7, 1.8$\pm$0.8 mg/dL로서, 각각 초여과법의 시행 전후에 유의한 증가를 가져왔고(p=0.0280, 0.0277), 폐조직의 수분 함유량의 변화는 수술전 75.1$\pm$8.6%, 심폐기 정지 직후 82.8$\pm$6.0%, 초여과 직후 77.88%를 보인 반면, 대조군에서는 각각 74.7$\pm$4.9, 82.1$\pm$5.9, 82.3$\pm$5.1%의 변화를 보였다. 미세 구조의 관찰에서, 폐포의 내포세피의 융합 기저막층과 미토콘드리아에서의 부종은 변형 초여과 후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미토콘드리아내 크리스티의 파괴성 변화와 막성 파괴 성향이 초여과 후에 심화되게 관찰되었고, 세포질 내 소체의 팽창과 공포화 현상도 심폐기 가동 후 발생하여 초여과 후에 더 심화되게 관찰되었다. 세포질 내 소체의 팽창과 공포화 현상도 심폐기 가동 후 발생하여 초여과 후에 더 심화되게 관찰되었다. 폐조직 내의 백혈구는 심폐기 작동 후에 그 수에 있어서 증가하였으며 백혈구의 괴변, 탈과립 정도도 심폐기 작동 후 및 초여과 후에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결론: 변형 초여과법은 인공 심폐기 후의 혈색소 농도 및 혈중 단백질 농도의 복원에 효과가 있었으며 변형 초여과 관류후 폐의 미세 조직내에서 부종의 급격한 감소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연잎 효과를 모방한 초발수 표면 연구- 전산모사 해석을 통한 최적의 초발수 표면 도출

  • Choe, Se-Yong;An, Seong-Bae;Kim, Hyo-Jeong;Jang, Jun-Gye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67-74
    • /
    • 2016
  • 초발수 표면은 표면이 젖지 않으면서 물방울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표면을 말한다. 이는 자연에서 많이 관찰되며 예를 들면 연잎, 나비와 곤충의 다리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초발수 표면은 물방울과 접촉할 때 이루는 각이 $150^{\circ}$보다 크며, 표면을 $5^{\circ}$정도 기울이면 물방울이 굴러가기 시작한다. 특히 연잎 표면을 자세히 보면 마이크로/나노단위의 미세한 돌기가 표면 위에 존재한다. 이러한 연잎 표면의 구조에 따른 특성을 모방하여 표면 위에 인위적으로 다양한 모양, 크기의 돌기를 만들어 표면의 초발수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가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진행되면서, 학문적인 원인 분석 외에도 산업에서의 활용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전산모사 방법을 사용하여 표면 돌기와 관련된 다양한 변수(돌기의 모양, 높이, 너비, 돌기 사이의 간격, 표면과 물 분자 간의 에너지)에 따라 표면의 초발수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해보고, 초발수 현상의 특징과 그 발생 원인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최적의 초발수 표면을 제작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정보 초 고속도로

  • Won, Gwang-Il
    • Digital Contents
    • /
    • no.6 s.13
    • /
    • pp.49-56
    • /
    • 1994
  • 요즈음 각종 언론매체에서는 '정보 초 고속도로'라는 제목으로 혹은 이와 관계되는 기사가 많이 게재되고 있다. 그러나 기사들의 대부분이 '정보 초 고속도로'에 관한 단편적인 사항을 소개하기 때문에 독자에게 다소 혼란을 야기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정보 초 고속도로'에는 통신과 컴퓨터, TV영역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첨단기술이 많이 추가되기 때문에 독자가 이해하기에 난해한 부분이 많다. 따라서 '정보 초 고속도로'에 관련된 사항을 종합정리 및 체계화하고, 기술적인 용어에 대한 해설을 독자에게 소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 PDF

초정밀 비구면렌즈금형의 보정에 관한 연구

  • 강상도;김우순;장광호;김동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37-237
    • /
    • 2004
  • 최근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가공기계의 초정밀화로 인한 초정밀가공품의 수요가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렌즈 산업에서 초정밀가공기술의 적용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초정밀가공에서는 공구의 가공물on 대한 상대운동이 그대로 가공물에 전사되므로 생성되는 가공데이터의 정확도가 중요하다. 고정도의 렌즈와 렌즈금형들은 형상정밀도가 수십 나노미터에 이르는 초정밀 제품으로써 가격이 고가이다. 따라서 잘못 생성된 공구 경로는 시간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를 훼손시킬 수 있으므로 공구경로 보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Water Sterilizer using the Microwave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물 살균장치에 관한 연구)

  • Lee Chang-Ho;Lee Hwa-Y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06a
    • /
    • pp.168-171
    • /
    • 2004
  • 본 논문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물 살균특성을 실험 조사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살균장치를 설계 제작하고, 특성을 실험한 결과 매우 양호한 효과를 얻었다. 특히 세균 함유량이 많은 하천수를 마이크로파로 10초, 20초, 30초, 40초, 50초, 60초 살균시켜 수질 검사기관에 수차례 검사를 의뢰한 결과 살균한 물의 대장균수와 일반 세균수가 살균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ON/OFF Time of Aroma Emission System (자동차용 향 발생 장치의 향 분사 주기 연구)

  • 김익현;정안나;설정현;정순철;김승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29-23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자동차용 향 발생장치의 향분사주기에 대해 연구하였다. 평균나이 22+2세인 남녀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4가지 천연향(쟈스민 30%, 쟈스민 50%, 페파민트 30%, 페파민트 50%)을 사용하여 향에 순응화가 발생하는 시간과 향에 대한 순응화가 제거되는 시간 및 호감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쟈스민 30%의 순응화가 발생되는 시간은 1분 28초, 순응화가 제거되는 시간은 3분 15초, 쟈스민 50%에서 순응화가 발생하는 시간은 2분 41초, 순응화가 제거 되는 시간은 4분 3초, 페파민트 30%에서 순응화가 발생하는 시간은 1분 47초, 순응화가 제거되는 시간은 2분 59초, 페파민트 50%에서 순응화가 발생하는 시간은 1분 58초, 순응화가 제거되는 시간은 4분11초였다. 호감도 결과는 쟈스민 30%의 호감도가 0.94로 나와 가장 선호하는 향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스마트월(Smart-Wall): 원격 다지점 공간의 초실감 가상연결 기술

  • Kim, Do-Yeong;Gang, Jin-A;Lee, Mi-S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2
    • /
    • pp.34-40
    • /
    • 2015
  • 본고에서는 실감 영상회의와 몰입형 텔레프레즌스의 수준을 넘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원격 다지점(Multi-point)의 공간을 초실감적으로 가상 연결할 수 있는 스마트월(Smart-Wall) 기술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 초실감이란 UHD-4K/8K급 또는3차원 이상의 초실감 영상기술과 사람의 모든 발성대역을 재현할 수 있는 슈퍼와이드밴드 기반 초실감 음성처리 및 동급 수준의 미디어 통신 기술을 적용한 사용자의 서비스 인지품질 수준을 의미한다. 이러한 초실감 수준의 현장감과 몰입감을 멀리 떨어진 1:1 또는 다지점 간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고품질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월 핵심기술의 확보는 초실감 스마트워크 뿐 아니라 동급의 원격교육, 원격의료 서비스와 제품에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원격 다지점 공간을 초실감으로 가상연결 하는 스마트월 기술은 사용자가 마치 현장에 있는 것처럼 실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써, 실감 ICT 올림픽에 접목이 되면 현장에 참석한 것 이상의 실감있는 대면 대화, 인터뷰 및 협업작업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실감 ICT 올림픽에서 가장 인기있는 세계 최초의 기가미디어급 미래서비스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Effect of Persimmon Vinegar on Serum Lipid Profile in Rats with High Cholesterol Diet (감식초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한 흰쥐의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 정소형;김주현;정용진;최미자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9 no.4
    • /
    • pp.421-426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simmon vinegar on serum lipid components in the hypercholesterolemic Sprague-Dawley male rats. Fort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ed diets containing l% cholesterol for 4 weeks. Experimental diets added to distilled water, 1.5%, 3%, and 7% persimmon vinegar(PV) as drinking water.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LDL and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in serum and activity of AST, ALT in serum were assayed. Average food intake, weight gain and FER of experimental ra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contents of persimmon vinegar.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in serum were lowest in 7% persimmon vinegar group. However concentration of HDL cholesterol in serum was highest in 3% persimmon vinegar group.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in serum was significantly lower in persimmon vinegar group than control group. Activities of AST and ALT in serum were lowest in 7% persimmon vinegar group.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persimmon vinegar is effective in lowering serum triglyceride level.

  • PDF

The morpholog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Opuntia ficus-indica and Opuntia humifusa fruits (손바닥선인장(백년초, 천년초) 열매의 외관 및 성분특성 연구)

  • Kim, Mi-Hyun;Kim, Hee Jung;Jang, Mi;Lim, Tae-Gyu;Hong, Hee-Do;Rhee, Young Kyoung;Kim, Kyung-Tack;Cho, Chang-Wo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3 no.5
    • /
    • pp.711-717
    • /
    • 2016
  • Opuntia humifusa fruits were investigated. The length of minor and major axis, and weight of O. ficus-indica and O. humifusa fruits were compared as the morphological featur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such as color, moisture, crude protein, ash, fat, dietary fiber, mineral, and amino acids were evaluated. The values of O. ficus-indica fruits were higher than those of O. humifusa fruits in each morphological feature such as minor axis, major axis, and weight. According to the Hunter color index results, O. humifusa fruits showed higher values of L (lightness) and b (yellowness), whereas O. ficus-indica fruits showed higher value of a (redness). The ${\Delta}E$ value between two samples was 19.80. The O. ficus-indica fruits had higher carbohydrate content and lower content of crude ash than those of O. humifusa fruits. Both samples showed very high dietary fiber contents, and the major minerals were K and Ca. Glutamic acid was the major amino acids in both samples. In free amino acids contents, O. ficus-indica had higher tyrosine and lower glutamic acid level than those of O. humifusa fruits. ${\gamma}$-aminobutyric acid was found in both samples, whereas taurine was found in O. ficus-indica fruits only. Taken together, the morphological features and chemical quality of O. ficus-indica and O. humifusa fruits showed difference although both of them were originated from the same genus.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Flour Containing Cactus Chou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천년초 선인장 분말을 첨가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특성)

  • Kim, Kyung-Tae;Choi, A-Rum;Lee, Kyung-Seok;Joung, Yong-Myeon;Lee, Ki-Young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3 no.4 s.100
    • /
    • pp.461-468
    • /
    • 2007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flour that contained different amounts of cactus Chou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were investigated. The water absorption and peak time, as determined by a farinograph,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cactus powder, while stability, elasticity, and weakness decreased (p<0.05). RVA(Rapid Visco Analyzer) analysis showed that wheat flour retrogradation was retarded by increasing cactus powder content (p<0.05). The fermentation time of the bread increased with increasing cactus powder content, while the fermented volume and baking loss decreased (p<0.05). According to the sensory test, the most preferred bread contained 3% cactus powder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