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형 변화

Search Result 21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Body Shape Change with Aging -Focused on Elderly Males- (노화에 따른 체형변화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43-1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이즈코리아에서 2015년 이루어진 제7차 인체치수조사 데이터 중 60대 남성의 치수와 2014년에 이루어진 고령자인체치수조사 데이터의 70대와 80대 남성의 치수를 분석하여 신체적인 노화가 주로 나타나는 연령 구간과 노화에 따른 노년 남성 체형의 변화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년 남성의 경우 대체로 66-68세 사이와 75-77세 사이 그리고 84-85세 사이에 급격한 노화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60대와 70대에는 서서히 노화가 진행되다가 대체로 80대에 들어서면서 노화가 심화되어 신체적으로 체형의 변화가 급격히 나타나게 된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노화의 현상으로 신체의 둘레, 너비, 높이 등에서는 변화가 심화되나 둘레, 너비, 높이에 비해 두께의 경우에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노년 여성의 경우에는 등이 굽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노년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과는 반대로 뒤로 젖혀진 체형이 나타나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의복패턴 제작 시 앞중심길이와 등길이 설정에 있어서 노년 여성과는 반대로 등 길이를 짧게 하는 패턴상의 수정이 요구된다.

  • PDF

The Observation of the Shape Changes in 36th Week of Pregnancy Woman (임신월령(9개월)에 따른 임산부 체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이영숙;김은정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2.10a
    • /
    • pp.68-73
    • /
    • 1992
  • 현대 사회의 산업화 추세로 인해 여성 노동의 증가및 여성의 사회 활동 범위가 확대 됨에 따라서 임산부 여성도 일반인과 같이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부담이 가지지 않도록 적절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여성 의복에 관한 연구 방향은 정상 체형의 중년, 장년, 노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뿐 임신 시기가 한정되고 한정된 시간속의 체형 변화가 급격하기 때문인지 만족스러운 규격 치수와 등급 구별이 마련되어 있는 자료가 미미하다. 이에 임신기 여성중 만삭에 가까운 9개월된 여성의 체형을 body로 만들어 파악한 다음 pattern을 제시하여 좀 더 활동적이고 쾌적한 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Dosimetric comparison for Prostate VMAT of weight and photon energy change (전립선 암 입체적세기변조방사선치료 시 체형 및 에너지 변화에 따른 선량 평가)

  • Jo, Guang Sub;Kim, Min Woo;Baek, Min Gyu;Chae, Jong Pyo;Ha, Se Min;Lee, Sang Bong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30 no.1_2
    • /
    • pp.17-25
    • /
    • 2018
  • Purpose : To compare the radiation doses of prostate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changes in abdominal body shape and energy during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VMAT). Materials and Methods : Seve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VMAT treatment plan was established at 6, 10, and 15 MV while changing from -2.0 cm to 2 cm by 0.5 cm. Conformal index(CI), homogeneous index(HI), $D_{max}$, $D_{95%}$, $D_{50%}$ and $D_{2%}$ of PTV were examined in order to evaluate the change of dose in the target organ according to body shape change. Normal organ of the femoral head, rectum and bladder was analyzed to evaluate dose changes. Results : The dose of $D_{max}$ 6 MV in PTV increased to 107.2 % in 1.0 cm body shape reduction, and 10 MV and 15 MV dose increased to 107.1 % and 107.0 % in 1.5 cm body reduction, respectively. The dose of $D_{50%}$ 6 MV in PTV decreased to 99.64 % in 1.0 cm body shape increase, and in 10 MV and 15 MV dose decreased to 99.79 % and 99.97 % in 1.5 cm body increase, respectively. In 2.0 cm body type increase, the dose was decreased to 99.30 % and 99.52 %, respectively. Doses for rectum and bladder gradually increased with decreasing weight, and dose decreased with decreasing weight. 6 MV, and $V_{70Gy}$ at 10 MV increased from 11.50 % to 12.76 % when the external shape decreased by 2.0 cm. The bladder $V_{70Gy}$ also increased from 14.0 % to 15.2 %. It was also shown that the dose increased as the body weight decreased in the femoral head. Conclusion : In the treatment of VMAT, dose distribu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abdominal shape. SSD and CBCT were used to decrease the body shape by more than 1cm or more than 1.0 cm at 6 MV and the body shape by more than 1.5 cm or more than 1.5 cm at 10 MV or 15 MV. It is considered that a new treat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re-simulation.

  • PDF

The Effect of Subjective Body Type Recognition on Weight Change in Women with Normal BMI (체질 량 지수가 정상인 여성의 주관적 체형 인식이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

  • Park, Seo-Ye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4
    • /
    • pp.313-320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ffects of subjective body-forming perception on weight-controlling behavior and weight loss, and to suggest the need for proper information and education.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the 6th period (2013-2015), 6,238 women aged 19 and over who have a body mass index of $18.5-25kg/m^2$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level, the higher they were perceived to be obese, the more they chose to lose exercise and diet in order to lose weight across the board. The weight loss effort rate was higher in the obese body type recognition group, but the body weight type was the highest in the one year body weight change group (p < .001). As a result,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shape affected not only weight control behavior but also weight change (p < .001).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have a systematic education on healthy weight-controlling behaviors, proper body image, and healthy body type recognition.

The Effect of Sl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o Muscle Body Type and Subjective Pain Degree of Men Who Have Sacroiliac Joint Syndrome (8주간의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천장관절 증후군 남성의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

  • Baek, Soon-G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2
    • /
    • pp.651-65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sl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ffects muscle body type and subjective pain degree of 17 middle-age men who are diagnosed with sacroiliac joint syndrome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sacroiliac joint syndrome through tests like X-ray in S Orthopedics in C City and have had chronic lumbar pain for more than 6 months and the before and after results about subjective pain degree through three dimension Moire Muscle Body Type Tester and subjective pain degree through VAS Pain Awareness after sl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3 times a week, 30 minutes a time, total 24 times for 8 weeks have revealed the following: The change of muscle body type has been comprehensively improved in the statistic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and the subjective pain degree has also comprehensively decreased in the statistics. Therefore, sl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s proved to give positive affect to muscle body type and pain improvement of the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syndrome.

20대 여성의 신체 만족도 및 이상형에 관한 연구

  • 정재은;남윤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1-6
    • /
    • 1998
  • 의복은 사람의 신체적인 특징에잘 맞고 심리적으로 만족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식죽(1989)은 인간관계와 사회구조가 복잡하게 서로 얽혀 이루어진 현대사회에서는 의복에대한 욕구는 다면적이고 모든 기능을 동시에갖는 것이 요구되어진다고 하였고 정삼호(1988)는 성인여성들은 연려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체형변화를 의복으로 최대한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선택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의복을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함으로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얻으려고 노력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의복 착용 자가 의복을 통해얻는 심리적 만족도는 신체적 만족도와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적 만족도는 체형과 관련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정재은,1992). 이에 신체적 만족도와 의복행동 및 체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옥연(1984), 식죽(1988), Labat-Delong(1990), 김용숙 (1990), Shim(1991), 구자명.이명희(1994), 고애란.김양진(1996) 등은 신체 만족도와 의복행동간에 관련 이 있음을 밝혔으며, 임숙자(1986), 김양진.강혜원(1992)은 신체의 결함을 의복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고, 김정숙(1984)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복을 선택하므로써 안정감을 갖게된다고 하였다. 또한, Douty. Brannon(1984)은 여성은 마른것을 선호한다고 하였고 Clayton 등(1987)은 의복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의복 유행성 지각이 다름을 밝혔다. 그러나, 이에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심리 학적 입장에서 행하여진 연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Body Surface for Clothing Construction: Focus on Women Aged 60 or Older (의복설계를 위한 상반신체표면특성 연구 -60세 이상 노년여성을 대상으로-)

  • Haekyung Shin;Lee, Youn-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801-1808
    • /
    • 2001
  • 본 연구는 노년여성을 위한 의복 원형을 설계하기 위하여 60∼80세 의 노년여성을 대상으로 직접 계측을 실시하여 체형을 유형화하고 동작에 따른 체표면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반신 비만요인, 높이요인, 상반신 앞면길이, 어깨 형태, 상반신 뒷면 길이, 어깨 경사도, 목형태, 진동깊이의 8개 인자가 추출되었다. 군집분석에 의한 체형분류 결과, 유형 1은 상반신의 골격이 가장 작고 왜소하며 가슴의 하수가 작은편의 앞으로 굴신된 체형이며, 유형 2는 키가 작고 보통인 체형으로 상반신의 앞뒤면 길이가 짧으며 가슴의 하수가 크고 어깨가 넓고 약간 앞으로 숙여진 체형이다. 유형 3은 키가 가장 크고 등과 어깨가 두꺼운 골격이 큰 체형이다. 유형 4는 키가 약간 크고 마른 체형에 상반신 앞면길이 인자가 큰 유형으로 약간 뒤로 젖혀진 체형이라 할 수 있다. 동작에 따른 체표면의 변화를 델마토그래프법 (Dermatograph method)에 의해 측정 한 결과, 가로 방향에서 동작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기준선은 뒤목점-어깨끝점길이, 어깨 길이 및 앞가슴둘레선, 후액와선이며, 세로 방향에서는 어깨끝점-BP-허리중심점, 어깨중심에서 앞허리선까지의 앞길이 및 옆선길이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OF THE EAST COAST OF KOREA 2. Migration (꽁치의 어업생물학적 연구 2. 회유)

  • KIM Ki-Joo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6 no.1_2
    • /
    • pp.49-57
    • /
    • 1973
  • Based on the fork length data of 1960 and on the fishery statistical data of 1968, 1970 and 1971, a research was made on the migration of the Pacific saury in the waters off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e population is divided into four groups in terms of size as shown in Fig. 5. The four groups demonstrate more or less different pattern of migration,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Northward migration is brought out in order of size, i. e., the smaller move northward earlier than the larger do, and the order is reverse in the case of southward migration. The migration routes of each size group are presented in Fig. 8. Whether the fish takes its course to the north or the south, its distribution centroid within the fishing grounds is traced in general following the line between $130^{\circ}$ and $130^{\circ}$130^{\circ$x. long., although longitudinally a pronounced annual bias is found in its month position. The moving pattern of the distribution centroid is assumed to be related with the abundance of each group to a considerable extent.

  • PDF

Factors Affecting the Weight Control Intention of the Female Adolescent by Body Size - In Daegu Area - (청년기 여성의 체형에 따른 체중조절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 Ryu, Ho-Kyung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
    • v.16 no.4
    • /
    • pp.83-93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al intentions to diet in adolescent females. To explain the behavior intention to diet,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 Social Support, Control and the Stress Process Model ' and the ' Theory of Reasoned Actio ' was used.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self-questionnaires with 463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Daegu.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ing mea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AS computer program.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according to their current body size. The most powerful influencing factor related to perceived stress -that is dissatisfaction with body image- was the current figure, regardless of current body size. The fatter the current body size, the higher the score for the behavioral intention to diet. In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of dieting, the fatter the current figure, the higher the attitude score, and the belief of behavioral outcome was the main decision variable. For the score of the subjective norm, the overweigh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behavioral intention to diet were perceived stress and attitude toward dieting behavior, especially beliefs of behavioral outc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