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장-체중 관계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9초

이스라엘 잉어 Cyprinus Carpio의 체장 , 체중별 초음파 표적강도에 관한 연구 (Ultrasonic Target Strength of Cyprinus Carpio in Accordance with Body Length and Body Weight)

  • 신형호;윤갑동;박해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4호
    • /
    • pp.191-199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이스라엘잉어 Cyprinus carpio를 체장과 체중별로 분류하여 방위별 표적강도를 측정한 후, 체장 및 체중의 변화에 따른 표적강도와의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스라엘잉어를 대상으로 하여 측정된 방위별 표적강도는 부레의 위치변화에 따라 심한 변화폭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최대표적강도의 방위별 분포는 dorsal aspect인 경우 등쪽을 기준하여 $10^{\circ}$ 정도의 방위변화에서 최대였으며, side aspect인 경우 음원의 수직 측면상의 5$^{\circ}$~$10^{\circ}$에서 최대였다. 2. 이스라엘잉어에 대한 체장, 체중별 표적강도는 체장과 체중에 비례하여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체장(L) 및 체중(W)의 변화에 따른 표적강도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TS sub(L)=20 LogL-65.4. TS sub(W)=6.7 Log W-53.7. TS sub(L): 체장에 대한 표적강도(dB). TS sub(W): 체중에 대한 표적강도(dB).

  • PDF

서해산 대구 Gadus macrocephalus TILESIUS의 체장$\cdot$체중의 상관 관계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GADUS MACROCEPHALUS TILESIUS OF THE YELLOW SEA)

  • 정태영;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3_4호
    • /
    • pp.103-104
    • /
    • 1971
  • 1. 1964년 4월 7일자 1964년 5월 12일의 양일간에 기선 저인망으로 이획된 표본으로 군산 어협 위판장에서 채집된 체장 16cm로부터 33.9cm의 대구 247개체를 재료로 체장과 체중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 전 개체에서 체장의 신장에 따른 체중의 회귀를 나타내면 $Y=0.000001225X^{3.42706}$이었다.

  • PDF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의 체장$\cdot$체중의 상관 관계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SYNECHOGOBIUS HASTA)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7-119
    • /
    • 1970
  • 1967년 11월부터 1968년 12월까지 사이에 부산부근의 낙동강 유역인 선암, 가락, 성산, 하단에서 채집된 체장 7cm부터 33cm까지 사이의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 1,050개체를 재료로 체장$\cdot$체중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1) 전 개체에서 체장의 신장에 따른 체중의 회귀를 식으로 표시하면 $Y=0.09863X^{2.17926}$이였다. 2) 체장 20.5cm부터 27.5cm까지 사이에서는 성숙자 산란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상대 성장을 보이지 않는다 (Fig. 1). 3) 체장 7.5cm부터 19.5cm까지의 상대 성장은 $Y=0.04995X^{2.472l6}$, 체장 28.5cm부터 32.5cm까지의 상대 성장은 $Y=0.0004127X^{3.67265}$으로 표시되었다.

  • PDF

산란기를 전후한 천지천산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의 비만도와 체장 체중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BODY WEIGHT AND CONDITION FACTOR OF PLECOGLOSSUS ALTIVELIS IN CHUNJI STREAM BEFORE AND AFTER SPAWNING PERIOD)

  • 김을배;정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51-255
    • /
    • 1976
  • 1973년 8월 25일부터 1974년 9월 14일에 걸쳐 제주도 서귀포소재 천지천에서 채집한 총 362미의 은어에 대하여 체장, 체중관계와 비만도를 산란기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장, 체중관계에 있어 산란전과 산란기에는 그 관계식이 각각 $W=0.008639\;L^{3.1806}$$W=0.01830\;L^{2.7689}$로써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자웅간에는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2. 평균체장이 산란기에 감소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산란에 참여한 대형어의 폐사에서 온 은어 특유의 현상이라 보았다. 3. 비만도는 산란전인 8월에 평균 $13.45\%_{\circ}$ 였던 것이 9월부터 점차로 감소, 11월 29일에 가서 최저로 평균 $10.25\%_{\circ}$였으며, 다음 해인 2월에는 $11.18\%_{\circ}$로 고복단계에 있었다. 4. 월년어의 대부분은 全전장 $11\~12cm$ 미만의 소형어였다.

  • PDF

한국 서해산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MANCHURICA JORDAN ET THOMPSON, IN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정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54-160
    • /
    • 1970
  • 우리나라 서해안의 참조기를 대상으로 1967년 6월부터 1968년 5월 사이의 자료에서 체장, 체중 및 인문(鱗紋)조사를 실시하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윤문은 연 1회 형성되고, 형성 시기는 $4\~7$월로, Bae(1960)가 발표한 산란기와 일치되고 있다. 2. 윤군(輪群)별 각 윤경(輪徑)적 평균 성장률은 0.73이었다. 3. 체장(total length)과 인경(鱗徑)과의 관계는 직선 회귀로,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61.350R+50.184 4. 체중과 체장(total length)과의 관계는 지수 곡선으로 다음과 같다. $$W=4.298L^{3.227}\times10^{-3}$$ 5. Walford의 정차도에 의하여 산출된 이론적인 최대 체강은 346.9mm이었고,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_{n+1}=0.6866L_n+10.8730$$ 6. 연령과 체장(total length)과의 관계를 von Bertalanffy의 성장 방정식에 적응시킨 결과 다음과 같았다. $$L_t=346.9(1-e^{-0.376(t+0.609)})$$

  • PDF

알라스카만산 적어, Sebastes alutus Gilbert의 성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of Pacific Ocean Perch, Sebastes alutus Gilbert, in the Gulf of Alaska)

  • 장창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1-178
    • /
    • 1981
  • 1978년 5월에서 1980년 8월까지 알라스카만에사 한국 트룰어선의 어획물중에서 무작위 추출된 651마리의 적어를 사용하여 비늘 판독에 의해 성장을 연구하였다. 비늘에 형성되는 윤문은 눅역지수의 월변화에 의해 $2\sim5$월에 년 1회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므로 이윤문을 년윤으로 간주하였다. 표본어소의 윤경을 측정한 결과, 제1윤경을 제외한 전륜경에서 리현상이 확인되었고, 이 원인을 비늘의 수축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없었으므로 산술평균법으로 리보정을 하여 윤문 형성시의 평균 수경을 추정하였다. 이 윤경으로 인경일체장 관계식을 사용하여 계산체장을 구해 버탈란피의 체장 성장식, $1_t=357.8(1-e^{-0.6124(t+1.8566)})$을 산출하였다. 이 식에 체장체중관계식을 침입하여 극한 체중($W_{\infty}=784.4g$)을 구하였다. 초기성장률 변화설을 검토한 결과, 그 원인이 초기 생활단계에서의 서식처 이동으로 인한 생태적 변화에 있기보다는 직선회귀법에 의한 리현상의 포정에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산 민물 새우류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2. Palaemon modestua의 생태 (BIOLOGICAL STUDIES ON THE FRESH-WATER SHRIMPS IN KOREA 2. The Ecology of Palaemon modestua)

  • 정경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0-116
    • /
    • 1970
  • 낙동강산 민물 새우, Palaemon modestua의 성장, 산란 및 성비등의 생태에 관해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산란기간은 $4\~9$월 사이이며, 주 산란기는 7월이다. 2. 만 1년만에 생식 행위를 하며, 산란 후 10월 말경까지는 대부분 사멸하는 것 같다. 3. 성비 (수컷/암컷$\times$100)는 일평균 $78.5\%(44.2\~95.5\%)$이며, 4월과 9월에는 $44.2\%,\;44.9\%$로 하락하였다. 4. 포란 개체의 최소의 크기는 체장 29mm, 체중 0.5gr, 갑장 7mm 내외였다. 5. 포란 미수의 출현이 가장 많은 체장은 $31\~41mm$ 내외이었다. 6. 체장(X)과 난수(Y)의 회귀 관계식은 $$Y=0.0000203937X^{3.5668}$$이었다. 7. 체장(X)과 체중(Y)의 회귀 관계식은 $$female\;:\;Y=0.099801X^{2.85407}$$, $$male\;:\;Y=0.004198X^{3.40614}$$이었다. 8. 두흉 갑장(X)과 체중(Y)의 회귀 관계식은 $$female\;:\;Y=5.56008X^{2.25503}$$, $$male\;:\;Y=5.09541X^{2.28875}$$이었다. 9. 두흉 갑장(X)과 체장(Y)의 회귀 관계식은 female : Y=5.07540+3.36057X, male : Y=4.90514+3.47791X이었다.

  • PDF

꽁치의 어업생물학적 연구 1. 척추골수, 새파수 및 상대성장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OF THE EAST COAST OF KOREA 1. Numbers of Vertebrae, Gill Rakers and Relative Growth)

  • 김기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6
    • /
    • 1971
  • 1970년 5월, 7월, 12월에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어획된 꽁치에 대해서 척추골수, 새파수 및 상대성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척추골수는 65개를 mode로 하고 $64\~66$게가 전체의 $90\%$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평균 척추골수는 64.80이다. 새파수는 12월에 있어서 $33\~44$개의 범위에 있으며 평균치는 37.08이다. 2. 중형군($26.0\~28.0cm$대)과 대형군($30.0\~31.0cm$대)으로 구분하여 척추골수라 새파수를 보면 북상기의 중형군은 남하기의 대형군과 그 수가 닮아 있고 남하기의 중형군은 북대기의 대형군과 그 수가 닮아 있다. 3. 척추골수와 새파수와의 사이에는 상관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12월에 있어서 척수골수는 대형군이 중형군보다 많으나 새파수는 중형군이 대형군보다 많다. 4. 체장에 따른 두장비의 변화는 체장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다. 5. 체장과 두장과의 관계 및 체장과 체중과의 관계는 북상기와 남하기에 따라 그 경향이 다르다. 6. 7월의 중형군에서 12월의 대형군까지의 체중 증가량은 12월의 중형군에서 7월의 대형군까지의 체중 증가량의 약 2배 이상이 될 것이라 추정된다. 7. 체장에 따른 비만도(내장 제외한 체중으로 계산)는 12월에서는 거의 일정하나, 7월의 손 꽁치 어업에서 어획되는 산란중의 군중에서는 중형군과 대형군이 상이하다. 그리고, 12월의 비만도는 7경의 비만도보다 높다.

  • PDF

한반도 서남 연안 붉바리(Epinephelus akaara)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Epinephelus akaara in the South Western Sea of Korea)

  • 이태원;이창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22
    • /
    • 1996
  • 한반도 서남 연안에서 채집된 붉바리의 이석을 이용하여 연령을 사정하고, 이석 윤문의 폭으로부터 체장을 역추정하여 체장과 체중의 성장을 추정하였다. 붉바리의 이석은 박편을 제작하여 암시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연륜이 비교적 용이하게 구분되어 연령을 사정할 수 있었다. 붉바리의 주산란기는 7월이고 겨울에 연륜이 형성되기 때문에 각 연륜이 형성되었을 때의 나이는 연륜의 수에서 0.5를 감하였다. 관찰된 최대 연령은 9세이었으며, 최대 체장은 47.0cm이었다. 체장(L, cm)은 이석의 장반경(R, ${\mu}m$)에 유의하게 일차 비례하였다(L= -2.84+0.0070 R). 붉바리는 유어기에 이석의 성장이 체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것으로 보이며, 1세 이후는 체장과 이석의 성장이 비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륜이 형성되었을 때의 체장을 역추정한 각 나이별 평균 체장은 Von Bertalanffy의 성장식 Lt = 55.6[1-exp{-0.161(t+0.631)}]로 유의하게 나타낼수 있었다. 체장-체중(W, g)의 관계식 W=0.00608$L^{3.21}$을 이용하여 나이에 따른 체중(Wt) 성장식은 Wt=2422[1-exp{-0.161(t+0.631)}]$^{3.21}$로 표시되었다. 붉바리는 2세까지 성장률이 빨랐고, 그 이후 감소하지 만 5세 이후에도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 PDF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 Bate의 생물학적 연구 (A BIOLOGICAL STUDY OF PENAEUS JAPONICUS BATE)

  • 변충규;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3-102
    • /
    • 1970
  • 1. 1969년 5월 20일부터 거제도 동쪽 연안 장승포, 농포 지선에서 숙란을 가진 어미를 체집하여 두흉갑장과 체장 및 체중과의 관계와 성장에 대하여 조사 검토하였다. 2. 거제도 동쪽 해역에 출현하는 보리새우의 두흄갑장의 평균 범위는 5월산 51mm, 6월산 57mm, 7월산 47mm 이며, 9월산은 50mm였다. 3. 거제도산 보리새우는 조기 산란군과 후기 산란군의 2계군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채집된 보리새우 모하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및 체중 (W)자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5월산 $$L=2.6544{\iota}+3.1258$$ $$W=1.892{\iota}^{1.9844}$$ 6월산 $$L=2.8659{\iota}+2.1796$$ $$W=1.082{\iota}^{2.4323}$$ 7월산 $$L=2.5840{\iota}+3.3090$$ $$W=1.290{\iota}^{2.3094}$$ 9월산 $$L=2.4234{\iota}+4.5775$$ $$W=1.599{\iota}^{2.1857}$$ 관계식들은 회귀 직선과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고, 두흉갑장에 대한 체장, 체중조성은 월산 어미가 가장 높은 편이었다. 5. 6월 산과 9월산 어미의 두흉갑장과 체장, 두흉갑장과 체중과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다 같이 유의의 차가 없이 거의 같은 크기였다. 6. 양식장에서 성장된 보리새우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체중(W)의 관계식은 거제도산 $$L=3.7738{\iota}-0.0005\;(r=0.934)$$ $$W=0.4690{\iota}^{3.0713}$$ 오마도산 $$L=2.9933{\iota}+1.6.155\;(r=0.990)$$ $$W= 0.6328{\iota}^{2.6579}$$ 금당도산 $$L=3.2749{\iota}+0.9055\;(r=0.983)$$ $$W= 0.5768{\iota}^{2.8076}$$ 으로서 거제도산의 조성비가 높은 편이었다. 7. 보리새우 유생기의 경과 일수에 따른 체장의 성장식은 $Z_1\~Z_3$ L=0.1279D+0.2686 (r=0.979) $M_1\~P_6$ L=0.1697D+0.5634 (r=0.994) $P_7\~P_{21}$ L=0.1344D+1.9501(r=0.978)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