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세포

검색결과 645건 처리시간 0.026초

체세포 복제 자견의 성장 및 혈액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Growth and Hematologic Characteristics of Cloned Puppies)

  • 김동훈;최미경;노진구;박종주;염동현;김현민;최봉환;김동교;박진기;류재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9-235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health conditions of four genetically identical somatic cells cloned Labrador retriever puppies by estimation of body weight and analysis of hematologic and serologic characteristics. Naturally ovulated oocytes and donor cells were used for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Donor cells and enucleated oocytes were followed by electric fusion, chemical activation and surgical embryo transfer into the oviducts of surrogate females. Two recipients became pregnant; two maintained pregnancy to term, and four live puppies were delivered by Caesarean section. The cloned Labrador retrievers were genetically identical to the nuclear donor dog. The body weight of clone-1, -2, -3, and -4 was increased from 0.66, 0.40, 0.39, and 0.37 kg at birth to 6.2, 6.6, 6.2, and 6.0 kg at 8 weeks of age, respectively. Although clone-4 had lower numbers of RBC than reference range, the most of RBC and WBC related heamatologic results of cloned puppies were not different when compared to reference range. In serological analysis, Glucose, ALP and inorganic phosphate level of four cloned pupp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ference rang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our cloned dogs. This study suggests that cloned puppies derived from SCNT did not have remarkable health problems, at least in the growth pattern and hematological and serological parameters.

액체배양을 이용한 단기 벼 형질전환 방법 (Rapid Agrobacterium-mediated genetic rice transformation method using liquid media)

  • 양대화;장안철;안일평;김해정;김동헌;이효연;서석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37-42
    • /
    • 2013
  • 본 연구는 종자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를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해 감염하여 고체배지에서 배양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형질전환에 소모되는 노동력과 시간, 비용을 단축하고자 감염과 공동배양, 균제거와 캘러스 선발까지 액체배양을 시도하였다. 성숙 종자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를 바로 아그로박테리움으로 감염함으로써 조직배양으로 인한 체세포 변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감염부터 그 후 캘러스선발까지 총 4단계의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였으며, 감염된 캘러스로부터 재분화 시킴으로써 형질전환 식물체를 얻는 방법을 새롭게 수립하였다. 배양과정 중 감염과 공동배양 기간을 3일로 단축시킴으로써 캘러스의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였고, PCR 분석을 통해 원하는 목표 유전자가 형질전환체에 안정적으로 도입이 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새로운 액체배양 방법은 우수한 농업적 형질을 가진 벼 품종 개발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황기류 식물 3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Cytogenetic Analyses of Astragalus Species)

  • 김수영;최혜운;김찬수;성정숙;이중구;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0-254
    • /
    • 2006
  • 황기속 식물 3종 (황기, 제주황기, A. mongholicus)을 대상으로 핵형 분석과 45S와 5S rDNA를 이용한 bicolor-FISH를 수행하였다. 체세포 염색체 수는 모두 2n=2x=16으로 관찰되었고, 염색체의 평균 길이는 $2.19{\sim}5.73\;{\mu}m$이였다. 황기의 염색체는 4쌍의 중부염색체 (염색체 3, 5, 6, 7)와,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1, 2, 4, 8)로 구분되었다. 제주황기는 2쌍의 중부 염색체 (염색체 4, 8)와 6쌍의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1, 2, 3, 5, 6, 7)로 A. mongholicus는 2쌍의 중부 염색체 (염색체 7, 8)와 6쌍의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1, 2, 3, 4, 5, 6)로 각각 구분되었다. bicolor-FISH 기법을 이용하여 45S와 5S rDNA의 염색체상의 위치를 확인한 결과, 황기와 A. mongholicus에서는 1쌍의 45S와 5S rDNA가 8번과 7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제주황기의 경우 1쌍의 45S rDNA는 8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와 2쌍의 5D rDNA는 7번과 8번 염색체에서 각각 관찰되어 세포유전학적 차이를 보였다.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 (Sex Differentiation of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영돈;노섬;장영진;백혜자;안철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0
    • /
    • 1996
  • 조피볼락 (S. schlegeli)의 성분화 과정을 구명하기 위해 시원생식세포의 출현과 원시생식소 형성, 그리고 암${\cdot}$수의 성분화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시원생식세포는 출산후 2일, 전장 6.3mm 개체에서 장관과 중신사이의 섬유성 간충직에 묻혀 식별되었다. 출산 65일 전장 $5.2\~5.9cm$ 개체에서, 생식소의 주변 부위에 강 (cavity)을 형성하고 다수의 생식원세포로 구성된 생식소는 난소로 발달한다. 이 시기에 체세포들이 곡정세관을 형성하는 생식소는 정소로 분화된다. 출산후 115일, 전장 $7.0\~7.2cm$ 치어들에서, 생식소는 흑색소를 함유하는 정소와 흑색소가 없는 난소로 구분된다. 따라서 조피볼락은 초기 성분화 단계에 자상을 거치지 않고 난소와 정소로 분화되는 분화형의 자웅이체에 속한다. 출산후 12개월된 개체들의 성비는 1 : 1이었다.

  • PDF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 인공종묘의 생식소 발달과 성비 (Gonadal Development and Sex Ratio of Artificial Seedlings of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 곽은주;이경우;최낙현;박충국;한경호;이원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7-302
    • /
    • 2006
  • 황점볼락, Sebastes oblangus의 인공종묘의 성분화 과정 및 성결정을 조사하기 위해 출산 직후부터 370일령까지 조사하였다. 출산 직후 난황기 자어(7.10-7.77 mm)에서 시원생식세 포와 생식융기는 분리된 채 중신관과 장간막 사이에 나타났고, 출산 후 5일령 전기자어(7.12-9.68 mm)에서는 서로 융합하였으며, 출산 후 45일령 후기자어(18.6-20.4 mm)까지는 미분화 생식소 상태였다. 출산 50일 치어(20.0-24.5 mm)에서 생식소 전단부에서 양쪽 끝의 체세포 조직이 분열 신장되어 난소의 분화가 시작되어 60일 치어(25.5-32.0 mm)에서 완전 한 난소강이 형성되었다. 출산 80일령 치어(37.3-47.2 mm)의 난소에서 난원세포가 감수분열을 개시하여 염색인기 난모세포(chromatin nucleolus oocyte) 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 후 일령이 증가하여 130일령(68.0-86.0 mm)에서 주변인기(perinucleolus stage)의 난모세포가 나타났으며, 출산 후 370일령(101.0-116.0 mm)에서 전난황형성기의 난모세포들이 출현하였다. 황점볼락 인공종묘의 성비 조사결과 난소분화 완료 후에 암컷만 나타나 출산후 100일까지 자연수온보다 높은 수온에 의해 전암컷화 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소실질내 유전자 도입에 의한 형질전환동물의 생산 II. 형질전환 한국재래산양의 생산 (Production of Transgenic Animals by the Testis-Mediated Gene Transfer II. Production of Transgenic Korean Native Goats)

  • 윤창현;장규태;김성현;박미령;주학진;오석두;이병오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18
    • /
    • 1999
  • 정소내 성숙한 정자를 생산하는 전능성을 가진 정조세포는 체세포와 동일수준으로 외래 유전자를 삽입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세포가 반수체 이후의 단계로 분화한 경우에는 왜래 유전자를 삽입하기보다는 단순히 결합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외래 유전자를 정소실질내 주입함으로써 형질전환 동물생산이 가능한지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하여, 한쪽 정소를 거세한 한국 재래산 양을 사용하였다. Liposome /DNA 복합체를 1 : 2의 비율로 희석한 후 정소실실내에 주입하여 정자를 경유한 유전자 전이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결보존한 정액을 인공수정하기 위하여 PGF$_2$$\alpha$(0.15mg/kg/BW)를 근육 주사함으로써 인위적으로 발정을 유도한 후, 인공수정을 이용하여 임신과 분만을 유도하였다. 이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CR에 의하여, 유전자 도입 후 채취한 정액에서 외래유전자는 80일 이상 존재하였으며, 가장 높은 전이율은 40 일째 얻어졌다. 이들 결과는 정조세포에 외래 유전자가 성공적으로 삽입되었음을 제안하였다. 2. 23 두 (평균 96 % 의 발정 유기율)의 재래산양에게 인공수정을 실시한 결과 이들 중 4두가 임신되어 7두의 자양이 생산되었다. 3. 생산된 7두의 산자중 genome DNA를 추출하여 PCR 및 Southern blotting을 실시 한 결과 2두가 형질전환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정자를 매개로 한 정소실질내 외래 유전자의 주입법은 형질전환의 생산을 위한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 가능함을 제안하였다.

  • PDF

체세포에 있어서 Knock-in 벡터 상동영역 구조에 따른 Knock-in 효율 (Knock-in Efficiency Depending on Homologous Arm Structure of the Knock-in Vector in the Bovine Fibroblasts)

  • 김세은;박다솜;구덕본;강만종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41권1호
    • /
    • pp.7-16
    • /
    • 2017
  • The knock-in efficiency in the fibroblast is very important to produce transgenic domestic animal using nuclear transfer. In this research, we constructed three kinds of different knock-in vectors to study the efficiency of knock-in depending on structure of knock-in vector with different size of homologous arm on the ${\beta}-casein$ gene locus in the somatic cells; DT-A_cEndo Knock-in vector, DT-A_tEndo Knock-in vector I, and DT-A_tEndo Knock-in vector II. The knock-in vector consists of 4.8 kb or 1.06 kb of 5' arm region and 1.8 kb or 0.64 kb of 3' arm region, and neomycin resistance gene(neor) as a positive selection marker gene. The cEndo Knock-in vector had 4.8 kb and 1.8 kb homologous arm. The tEndo Knock-in vector I had 1.06 kb and 0.64 kb homologous arm and tEndo Knock-in vector II had 1.06 kb and 1.8 kb homologous arm. To express endostatin gene as transgene, the F2A sequence was fused to the 5' terminal of endostatin gene and inserted into exon 7 of the ${\beta}-casein$ gene. The knock-in vector and TALEN were introduced into the bovine fibroblast by electroporation. The knock-in efficiencies of cEndo, tEndo I, and tEndo II vector were 4.6%, 2.2% and 4.8%,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ize of 3' arm in the knock-in vector is important for TALEN-mediated homologous recombination in the fibroblast. In conclusion, our knock-in system may help to create transgenic dairy cattle expressing human endostatin protein via the endogenous expression system of the bovine ${\beta}-casein$ gene in the mammary gland.

체세포 복제돼지 생산에 있어서 대리모의 선발과 배란상태 분석 (Selection of Surrogates and Analysis of Its Ovulation Status for the Production of Somatic Cell Cloned Piglets)

  • 현상환;정연우;이은송;김현욱;김근형;정의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28
    • /
    • 2006
  • Production of cloned pig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has unlimited value for developing critical biotechnology such as xenotransplantation.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this technology, and several litters of live piglets have been produced after transfer of SCNT embryos. However, the efficiency is very low compared to piglet production by artificial insemination or natural mating. So far, most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in vitro production of SCNT embryo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a surrogate recipient (gilts) for transfer of SCNT embryos to improve pregnancy rate. Potential surrogate gilts over 7 months of age were checked for their estrous status by observing external signs; vaginal fluid, vulva redness, vulva swelling, and standing response to back pressure. Viscosity of vaginal fluid was evaluated and classified as none (0), medium (1), and strong (2). Vulva redness and swelling was respectively assessed by none or shrink (0), medium (1), strong (2). Back pressure was estimated by an immediate move (0), standing less than 10 sec (1), and standing over 10 see (2). And then ovulation status of each surrogate was classified as pre-ovulation (PO-17 surrogates), just prior to ovulation (JPO-20 surrogates), in ovulation (IO-12 surrogates), just after ovulation (JAO-14 surrogates) and after ovulation (AO-24 surrogates) at the time of surgery for embryo transfer (ET). Real-time ultrasonographic scanners have been used for pregnancy diagnosis by observing amniotic vesicles. The first pregnancy diagnosis was done on Day 30 after ET and then repeated 2-week interval. In the results, SCNT embryos transferred into JPO surrogates gave better pregnancy rates (45%) than others (4% to 11%) on Day 30 after ET. These result indicates that surrogate gilts in a status just prior to ovulation can offer optimal condition to establish pregnancy by transfer of SCNT pig embryos.

젖소의 건유기 유방염 치료에 있어서 생분해 cephalexin microspheres의 효과 (Effects of Biodegradable Cephalexin Microspheres in Dry Cow Mastitis Therapy)

  • Hwang, Cheol-Ya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8-235
    • /
    • 2002
  • 유방염은 젖소에 있어서 유량의 감소, 유질 저하로 인한 우유 폐기문제, 젖소의 도태, 치료비 및 노동력의 부담등을 초래하는 가장 경제적 손실이 큰 질환이다. 현재까지 비유기 최종 착유 후에 항생제를 주입하는 건유기 치료법이 유방염 관리에 가장 효과적이며 폭넓게 쓰이고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건유기 치료는 건유기 주입 항생제 제품들이 건유기 초기에만 지속적인 활성을 지니기 때문에 건유기 말기와 분만 전기에 있어서의 신규 감염은 방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유기 유방염 관리를 위해 PLGA를 이용한 서방형 생분해 cephalexin microsphere를 제조하여 이의 임상적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PLGA는 무독성의 조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약물 방출 조절 체계의 일환으로 인정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 cephalexin microsphere는 표면에 특징적인 구멍을 가지고 있는 구형 모양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약물 방출 시험에서 초기 과다 방출 이후로 21일간 약물의 방출이 점차 감소한 뒤 3주와 4주 사이에 2차 방출을 보이는 맥동성 방출 양상이 관찰되었다. 현장적용 시험에서는 cephalexin microsphere를 주입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분만 후 신규 감염율 및 치료율, 평균 체세포 수의 변화의 측면에서 볼 때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생분해 microsphere를 이용한 건유기 치료법은 건유기 동안 신규 감염을 예방하고 기감염을 감소시킴으로써 종전의 건유기 치료를 좀 더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내배양에 의한 쪽파의 체세포 염색체 배가 (Chromosome Doubling of Allium wakegi Araki by In Vitro Cultures)

  • 임순희;안장순;정창남;한태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59-264
    • /
    • 2002
  • 쪽파의 배발생 캘러스 유도에는 2,4-D의 단독첨가가 보다 효과적이었으나, 2,4-D의 농도가 높을수록 기형배의 배발생율이 높았다. BA를 혼합첨가하였을 때는 기형배가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배형성을 위한 외식편으로는 경정이 가장 좋았으며 그 다음 인편, 엽조직 순이었다. 또한 0.09 M의 sucrose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발생 callus 유기가 가장 좋았다. 2,4-D와 BA의 농도가 상이한 배지에서 유기된 배발생 callus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의 염색체 변이율은 8∼33.3%였으며, 4배체와 2배체+4배체의 혼수체가 나타났다. 염색체 변이율은 인편 유래의 식물체에서 18.7%로 가장 높았다. 경정 부위에서 유기된 배발생 callus는 33.5%로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지만, 염색체 변이율은 7.0% 정도로 낮았다. 또한 0.26 M sucrose배지에서 배양한 식물체에서 염색체 변이율이 높았으며. 0.09∼0.20 M sucrose배지에서 분화된 식물체에서 염색체 변이율은 15.2∼16.6%로 거의 안정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