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계적인 보전계획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zing the Implement System Shift of Land Policies (토지정책 추진체계 변화 연구)

  • Kim, Mi-Suk;Yun, Jeong-Ran;Park, Sang-Ha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4
    • /
    • pp.439-452
    • /
    • 2011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s of the land policies implement system based on analysis of existing those of Korea with the paradigm shift of land policies. We classify the land policies into land ownership, land use, land development and land management ones, and then analyze their implement system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follows : firstly, the land policies implement systems have been set to large scale and rapid development. Secondly, although the systems have been specialized by their areas, the comprehensive manage systems for the harmony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are lacking. Thirdly, the parts of the central government powers related to land use has been hand covered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participations of residences private companies have enlarged in the land development. Fourthly, the purposes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on land use have been changed from tax collection into planned land use, but the information management has not met the need of planned land use. This study shows that firstly, the implement system focusing on large development projects might be no longer effective because of high possibility of the property prices stabilization, so moderately small ones must be found. Secondly, the system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and to realize the efficient utility of land is needed. Thirdly, it is necessary to take the actual measures to participate a variety of subjects. Fourthly, the system modification of the land information manage system as land policies infra is also needed to establish integral land policies.

A Basic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경관생태계획 모형설정을 위한 기초적 연구)

  • Ra, Jung-hwa;Cho, Hyun-Ju;Lee, Hyun-Tae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4
    • /
    • pp.48-64
    • /
    • 2008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t a systemic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to cope with the destroyed landscape problems which was caused by massive development project and thoughtless development in country areas.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si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there are 60 planning index items which are nature conservation area,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nd build and manage wetland biotope and so on. total number of planning index is 34 after finalizing the physical index items. As a result of on-spot research, all 34 planning index after literature analysis is existing. Also, there are 38 finally-selected index which includes 4 added planning index in the process of research like natural vegetation in frequently-used spot. As a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on detailed planning index, most are above 5 points, which is relatively high.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patterning for the detailed planning index, it was classified with seven elements. The first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was set with integrated analysis on result of pattering for the detailed planning index and importance of detailed planning index. Based on first model, to make more systematic landscape, the analysis of MCB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MCB analysis according to planning index, it is confirmed that each planning index shows maximum. As a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on the 9 plans keynote, the average importance point was 4.62 for conservation area and 4.54 for enrichment area respectively. By integrating the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on basic aims of the first model, MCB analysis and plans, we set the second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In vertical transition, for example, 'conservation area' showed the importance point above 5.2 for all planning index except setting recreational space. Also, the analysis on parallel structure showed that relation between 'additional improvement, management, and connection' and other planning index is above 5.3 and importance on correlation with 'the part which should be protected from nature and landscape' marked 6.07 which is the highest.

Assessment system of physical habitat based on stream types (하천유형에 따른 물리서식처 평가체계)

  • Kim, Ki 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5
    • /
    • 2022
  • 하천의 서식처 특성 즉, 수리, 하도 및 하안 특성 평가의 목적은 하천기본계획 수립과 하천복원사업의 실행과정에 있어 기본방향의 설정 및 통합적 평가기준으로서 사업의 성공여부를 평가하고, 또한 하천 이용과 보전, 나아가 복원계획에 대한 잠재적인 적합성의 근거를 파악하고 이에 가치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실무자가 적용할 수 있는 물리 서식처의 수리 및 하도 특성 평가를 위한 지표와 정량적 평가기준을 마련함에 있어 선진국 하천의 분류체계 및 물리 서식처 평가기준을 검토하였다. 또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체계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개발 목적에 따라 하천의 물리, 생태, 경관, 이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하천환경의 다양성과 고유성을 제대로 반영한 평가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하도특성을 지배하는 주요 인자로 하상경사와 하상재료를 조합하여 급경사, 중경사, 완경사로 하천유형을 분류하고 하도 및 수리, 하안 및 식생, 하천교란 등의 3개 영역으로 하천을 세분화하여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또한 하천환경의 수리 및 하도특성의 정도는 두 가지로 첫째는 하천의 자연적인 모습인 참조하천의 관련된 것이고 나머지는 인간에 의해 교란된 비교하천으로 보았으며, 인간에 의해 교란된 정도와 서식처 기반 수준에 따라 1등급에서 5등급으로 등급화하여 평가체계를 구성하였다.

  • PDF

Criteria of Evaluation Method of Importance of Individual Plant to Establishment of the Conservation Rank (보전등급 설정에 대한 식물개체의 중요도 평가의 기준)

  • Song Jong-S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9 no.1
    • /
    • pp.63-68
    • /
    • 2005
  • To evaluate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local areas, the method using the individual plant was discussed here. Based on Ohba's(1979) and Okuda and Nakamura's systems(1989), 9 items were proposed. The items evaluated were classified in 4 criterias: quality, quantity, function and vitality. This evaluation method could be used to promote spatial planning and to alleviate other administrative problems. Also it could be applied to decide the conservation level of plant individual.

도시권하천의 수자원 최적관리방안

  • 심순보;이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6.07a
    • /
    • pp.179-180
    • /
    • 1986
  • 우리나라 도시권 하천의 특성은 크게 두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대하천의 분류를 끼고 그 중·하류에 위치하여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역활을 하는 다목적 댐을 가진 경우와, 큰 하천의 지류이거나 자체 유역내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 조절 능력을 가진 시설을 갖지 못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수도권 지역의 한강 분류와 부산권의 낙동강 하류, 대청댐 하류-금강 하구언 지역 등은 모두 다 상류에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조절 능력을 가진 다목적 댐을 가진 도시권을 가지고 있다. 한편 대구권은 낙동강 제1 지류 금호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주권은 금강의 지류인 무심천 하류에 대전권은 대전천 하류 및 갑천 유역에 위치하고 있으나 상류에 수자원 조절용 댐이나 도시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한 적정 시설물이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도시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인 문제점은 해당 도시로부터 많은 각종 용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의 한계성이 크다는 것이다. 직상류에 팔당댐이 운용되고 있는 한강의 경우, 팔당댐은 한전에 의하여 발전전용댐으로 건설되어 저수 및 갈수기엔 하류의 각종 요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하천 유지 용수의 공급을 현재로서는 제도상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금강 하류의 인접지역(전주, 이리, 군산 등)에 광역 금강 상수도 망으로서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대청댐으로서는 하류지역의 요구에 맞추어 댐 운영을 할 수 있는 여건에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구권이 있는 금호강은 상류에 영천댐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유역 변경하여 포항 지역에 용수 공급을 하고 있으나 막상 금호강 자체유역에는 안정된 하천 유지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HEC-6를 이용한 하상변동 모의 방법

  • 우효섭;유권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02b
    • /
    • pp.95-133
    • /
    • 1995
  • 1) 하천 종횡단 자료, 유사량 자료, 수문 자료 등을 입력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하는 소하천은 지류(tributary)라 하고, 단순히 유량의 유입 또는 자료만을 입력하는 소하천, 첩수로, 배수로, 취수구 등은 국소 유입점이라 하여 구분함. 2) 각 행이 필수적(required)으로 필요한가 선택적(optional)으로 필요한가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1필수 : 반드시 필요하며 빠질 경우 실행되지 않음, 2선택 : 필요할 때만 입력하면 되며 없어도 무방, 3한번필수 : 반복적으로 수행 또는 입력하는 경우, 처음 수행시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다음부터는 입력값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만 입력하는 경우, 4특수선택 : 특별한 경우를 모의하고자 할 경우만 선택. 3) HEC-6는 조도계수를 지정된 단면의 상류에 적용하나 HEC-2는 그 단면의 상하류에 적용한다. 그러나 그 결과는 어느 방법이나 거의 일치한다. 4) 우리나라의 하천과 HEC-6모형이 개발된 미국의 하천이 다름을 유의 하여야 한다. 여기서 제방이라함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공제방이 축조된 곳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미국의 서부 건조지역을 흐르는 하천과 같이 유량 변화가 거의 없는 하천에 하도의 양쪽에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연제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만제 유량의 개념도 원래 모형에서 제시된 의미와는 달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89)의 연구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유사량 공식에 따라 계산된 유사량이 큰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대상하천의 상황에 적합한 공식을 선정하는데 상당히 신중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위한 교재, 교구의 개

  • PDF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양손실량 예측 및 침사지 설계

  • 우효섭;김창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8.02d
    • /
    • pp.1101-1179
    • /
    • 1998
  • 최근에 내무부에서는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사유출 피해 중 인명과 재산 피해와 같은 재해 성격을 가진 대규모 토사유출을 사전에 미리 저감시킬 목적으로 재해영향평가제를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엔지니어링 업계에서는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과 침사지 설계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으나 이 분야의 기술축적과 자료부족으로 과업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엔지니어링 업계의 기술적인 어려움을 다소 나마 해소할수 있도록 개발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방법과 침사지 설계 기준에 대해 외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 동안 국내에서 수행한 각종 재해영향평가 자료를 검토하여 제시한다. 먼저, 재해영향평가제의 취지, 토사유출과 재해, 토사유출 재해 저감대책 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다음, 침식량 예측 방법으로 미국의 범용토양 손실공식(USEL) 방법의 적용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침사지 설계 편에서는 침사지 설계 개념과 구체적인 설계 절차를 제시하고 참사지 규모의 결정방법을 소개한다. 본 강좌의 교재는 미국교통연구단(TRB)의 국립합동도로연구프로그램(NCHRP)#70 자료를 주로 참고하였다. 이 자료는 부록에 원본 전부를 수록하였다. 다만 아직 이 분야 연구가 미흡한 관계로 본 강좌에서는 재해저감 측면에서 합리적인 침사지 설계 기준을 완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로 국립방재연구소의 박무종/강대환 연구팀이 기존의 재해영향평가서 자료 중에서 10개를 선정하여 침사지 소요수면적 산정, USEL 적용, 강우침식도 R의 산정 등에 대해 사례 조사 분석한 결과를 부록에 수록하였다.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

  • PDF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of Forest Ecosystems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 생물다양성(生物多樣性) 보전전략(保全戰略))

  • Shin, Joon 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4 no.3
    • /
    • pp.377-393
    • /
    • 1995
  • Forest ecosystems are major reservoirs because forest lands are up to 65% of the national land of Korea. Biodiversity is the basis of forest conservation as well as development of forest ecosystem productivity. When we are going to establish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however, we need to have a good eye in order that we are not limited only to species but we can also understand whole ecosystems. Therefore, to develop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development process of biodiversity on the earth, the fundamental logic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conservation system and steps of the conservation procedures are discussed. In conclusion, research subjects needed urgently are recommended.

  • PDF

Ecological Network for Landsca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경관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생태네트워크의 국제적 동향)

  • Hong, Sun-K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7 no.5
    • /
    • pp.12-25
    • /
    • 2004
  • Integration system of conservation ecology, ecosystem management and land planing in landscape scale is major principle strategy for national management system of environmental resource and biodiversity. Current conservation strategy is concerned with not only population and habitat level but also ecosystem and landscape level. In especially, ecological networking to link core areas or major habitat patches is most eminent and emerging issue in European Union (EU) and North America. Moreover, the promotion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 system in EU is focused on national cooperation to construct ecological corridor for key habitat that distributed in many countries. Integrating landscape ecology into conservation ecology and restoration have important role to stimulate the network system in regional and national level. In this review paper, comprehensive and necessary considerations arisen from the view of landscape ecology were discussed for the present situations of wildlif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Especially, the conservation strategy and policy of biodiversity were addressed in broad sense including habitat protection, legal approaches, and ecological network programs. Finally, a national ecological network system was suggested for environmental policy in Korea in global consideration after the Korean Unification.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농업·농촌유산 유지·보전 평가지표 개발)

  • Kim, Eun Ja;Jeong, Won Ill;Lee, Yoo Kyoung;Lim, Chang Su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1 no.4
    • /
    • pp.1191-12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aintenance preserve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The major steps for this study are 1) drafting the evaluation criteria for maintenance preserv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2) verifying the evaluation criteria, and 3) determining the weighting values of the confirmed evaluation criteria. First, to deriv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maintenance preserv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evalu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including research on the indexes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the degree of the maintain preservation of heritage. A total of 31 evaluation criteria were selected. Second, to verify the selected 5 evaluation items and 31 evaluation indexes, the Delphi Method was implemented. Using traditional 3-step Delphi Method consisting of close-ended forms, with a panel of 41 experts, the researchers verified 5 evaluation items 31 evaluation indexes, two for each evaluation area validity. The confirmed evaluation areas are 5 items of management plan, management support system, surroundings of heritage, local network, heritage utilization and 31 criteria were preservation maintenance, performance plan, resident community composition, monitoring, act of parliament fulfillment, ecosystem management, landscape harmony, restoration and transmission plan and enhancement of residents' capability, etc. in the order. Through maintenance preservation evaluation index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it can be utilized as sustainable development of plur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