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청소년 역량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9초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의 해외(싱가포르, 미국, 호주)와 한국의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and Domestic case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ject: Focusing on Singapore, the U.S., and Australia)

  • 이주용;이은진;백형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89-80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교 중심의 정신건강 사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국내외 학교 중심 정신건강 서비스 사례를 비교하여 국내 상황에 적절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외와 국내 서비스 주관 기관의 온·오프라인 공적 자료 및 학술 논문 등을 활용하여 서비스 배경, 목적 및 운영방식을 확인하였다. 국외 사례에서는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수립계획, 사업 수행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성으로 사업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주도적 정책 수행기관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전달하고, 정부 부처 및 기관 간 의사소통과 협력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의 정신건강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심각도에 따른 다단계적 개입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정신건강 욕구에 반응하고 있었다. 국내 학교중심 정신건강사업은 여전히 도입 단계로, 국내에서도 정부 부처 간의 협조체계, 효과적인 운영체계마련과 학생, 보호자, 교사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전공만족도의 성별·대학유형별 차이와 대학교육 서비스 영향요인 분석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by Gender and University Type and Analysis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Factor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 한미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5-9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대한 성별, 대학유형별(국공립, 사립) 차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 서비스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자료를 활용하여 총 1,220명으로 설정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하여 spss 23.0으로 t-test 그리고 입력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전공만족도에 대하여 성별, 대학유형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둘째, 대학교육의 서비스 요인 중에서는 교육과정, 교육내용, 학생지원제도, 교수진의 순서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시설은 전공만족도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의 경쟁력인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와 학생들의 요구를 기반으로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의 질 확보 및 학생들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재구성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처방안 분석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Countermeasures of School Violence)

  • 최지원;홍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53-63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 학교폭력이 점점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므로, 학교폭력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그에 비추어 현행 학교폭력의 대응방안과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학교폭력의 원인, 피해유형의 변화 가운데 사이버 폭력의 비중 증가에 따른 예방과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학교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며, 코로나19 이후 교육환경 변화로 인한 학교폭력의 최근 실태와 특징의 비교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인지함으로써, 학교폭력의 예방에 관한 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대처방안에 대하여 올바른 방향성에 대하여 모색해보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교육부 2021 1차 학교폭력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교육환경 변화를 감안한 심리. 정서 결손 해소의 방안과 학교의 교육적 해결역량이 강화되어야 하며 교사의 책임강화와 효율적인 대처능력의 향상으로 학교폭력 예방 및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문화 청소년의 지각된 차별감이 민족정체성 혼란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역량을 통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Ethnic Identity Conflict: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through Bicultural Competence)

  • 김지원;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151-164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garding feelings of conflict over their ethnic identity b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role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and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mediated by bicultural competence. A total of 234 middle school students (grades 7-8; 139 girls and 95 boy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which the father is Korean and the mother is not,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via SPSS 26.0 and Process (Version 4.1) MACRO.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cultural competence mediated th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feelings of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Enhanced bicultural competence resulting from a lower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contributed to a reduction in feelings of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Seco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f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was not. Thus, the mediation relationship (lower perceived discrimination increased bicultural competence and, thus, reduced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grew stronger as the level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increa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cover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ethnic identity develop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particularly highlighting the important role of Korean fathers within multicultural households.

방임 및 보호 아동·청소년 원가정 회복지원 시범사업의 현황과 과제 (Recovery Support Service for Neglect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of Origin: Status and Suggestions)

  • 정지영;안진경;김은혜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3호
    • /
    • pp.87-102
    • /
    • 2021
  • 정부의 아동학대 대응체계가 전면 개편되고 있으나 최근에도 아동·청소년 대상의 학대와 방임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학대 행위자의 75%가 부모라는 점은 재발 위험이 높을 가능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가해 부모에 대한 교육과 치료를 통한 가족 관계 및 양육환경의 개선 및 가족기능회복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임 및 보호 아동·청소년과 부모의 지속적인 관계 개선을 통해 원가정의 건강성 회복을 도모하는 시범사업의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기반의 원가정 기능회복지원 사업의 확대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시범사업은 2020년 6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코로나-19의 확산 및 사업운영 인력의 개인역량, 타 가족사업과의 협력, 지역 자원 활용 정도 등에 따라 서비스 제공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럼에도 원가정 회복지원 서비스 제공과정이 보다 체계화 되었고, 학대 재발 방지를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반이 형성되었다. 이에 원가정 회복지원 사업이 보다 확대되기 위해서 첫째, 기존 아동 학대 보호 기관과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범정부적 협업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며, 둘째, 원가정 대상자 발굴을 위한 지역별 사례 발굴 경로가 다양하게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시범사업 운영기관의 노하우를 타 지역 센터와 공유함으로써 동반성장 체계를 마련하여 안정적인 사업운영 체제가 조성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내 기존 보호 아동 기관과의 서비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예방이나 재발 방지 차원에서 '원가정 보호' 및 모니터링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토대로 지역별 특색을 살리며 서비스 표준화를 모색할 수 있는 운영지침과 성과평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정보윤리 담당교사의 전문성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about Professionalism of the Information Ethics Teachers)

  • 김길모;김성수;김성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1
    • /
    • 2014
  • 정보화 사회의 발달로 우리의 삶은 더욱더 편리해지고 윤택해졌지만, 반대급부로 역기능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역기능은 특히 10대 청소년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그 문제점이 커져만 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보윤리교육을 강화해야하는데 교육의 주체인 정보윤리 담당교사의 전문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윤리 담당교사의 전문성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정보윤리교육의 초석을 놓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해 정보윤리 담당교사의 전문성 구성 요인을 개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예비 문항을 구성한 다음, 전문가 검토를 통해 예비 문항을 정선한 후 사전 검사와 본 검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문항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규준표를 작성하여 평가도 구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서 최종적으로 정보윤리 담당교사의 전문성 평가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평가도구를 통해, 첫째 정보윤리 교사에게 필요한 자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둘째 정보윤리 담당교사의 역량 배양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마지막으로 이 평가도구를 통하여 체계적인 정보윤리 담당교사 연수를 위한 교육과정을 제안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정교과에서의 저출산.고령사회를 위한 교육과 실천 사례 (Education and Application for low Fertility.Aged Socie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전미경;오경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5-116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를 위하여 가정교과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가정교과 교육의 내용요소를 찾고, 정부에서 진행 중인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정책에서 가정교과 교육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과 실천방안을 강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 중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듣는 '가정'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하기 위하여 가정교과는 선택으로서의 결혼, 가족생활역량의 강화, 건강한 가족문화 형성, 더불어 사는 이웃의 교육내용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이러한 교육내용은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사회책임 강화', '일과 가정의 양립 가족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건강하고 보호받는 노후 생활 보장' 등의 새로마지플랜2010 사업과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저출산 고령사회 시행 계획에 포함된 '가족 친화 및 효문화 함양 교육 강화', '저출산 고형사회 관련 학교교육 강화', '양성평등 사회 조성 가치관 교육 강화' 등의 내용과 일치하였다. 셋째, 서울 중구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듣는 가정 수업"을 실시한 결과 참가자들의 긍정정적 반응을 얻었고, 사회교육 현장에서도 중추적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가정교과는 청소년들의 '저출산 고령사회'에 대한 의식을 함양시키고 이에 대한 가치판단과 자기 주도적 해결 능력을 양성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저출산 고령사회 대비 교육이 실천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가정교과 성취기준의 서술방식 개선 방향 - 미국 국가 기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Direction for Revis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U.S. National Standards)

  • 김은정;권유진;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5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중등 가정과교육 성취기준의 서술방식 특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로는 1) 한국과 미국의 성취기준의 특징을 각각 살펴보고, 2) 주어진 분석 준거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성취기준의 특징을 비교하고, 3) '청소년의 발달'과 '가족의 이해'라는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영역 및 특징을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파악하게 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성취기준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우리나라의 성취기준은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개발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학습자가 함양하게 될 역량에 초점을 두어 구체적인 행동 동사로서 개발되어야 하며, 셋째, 성취기준 개발을 통해 가정과교육의 개념, 내용, 범주 등을 분명하게 명시하되 가정과교육의 범주를 '가족' 혹은 '가정'이라는 테두리로 제한하기보다는 이웃과 사회, 공동체, 더 나아가 전지구적인 문제에 관심을 돌릴 수 있는 성취기준 개발이 요구되며 향후 관련 연구가 요청된다.

  • PDF

애니메이션 감상을 통한 근대 과학기술 문명 탐구 - 미셸 오슬로의 <세 명의 발명가>를 중심으로 (Learning the Civilization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Animation Film: Focusing on Michel Ocelot's )

  • 윤경희;최정윤;박유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267-297
    • /
    • 2017
  • 본 연구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예술 감상 수업을 진행할 때 미셸 오슬로의 단편 애니메이션 <세 명의 발명가>를 교재 텍스트로 활용하기를 제안한다. 이 작품은 우선 이국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 아름다운 이미지, 흥미진진한 줄거리로 인해 학습자들의 호기심과 주의력은 물론 지적 욕구와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오슬로는 이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오로지 종이 공예만 사용했는데, 이는 전통적인 민속 예술의 명맥을 이으면서 애니메이션의 역사에서는 여성 감독 로테 라이니거의 기술을 부활시킨 것이다. 이 작품은 여성과 아동 인물도 발명가로 설정함에 따라서, 성인 남성만 지식과 기술이라는 인간적 역량의 주체로 간주했던 근대의 인간상을 전복한다. 애니메이션의 상상력은 비트루비우스적 인간의 이미지로 표상되는 인간우월주의적 근대인을 넘어서 포스트휴먼을 생성시킨다. 포스트휴먼은 인간이 과학기술, 상상력, 윤리적 실천을 통해 다른 타인들뿐만 아니라 세계 안의 모든 생명체와 무생물 물질과 탈중심적인 평등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이를 교수 학습하는 과정에서 예술뿐만 아니라 과학, 윤리, 사회 등 타 교과와의 통합 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애니메이션의 감상은 이처럼 포스트휴먼이라는 첨단의 주제에 당면하여 통합 교과 수업을 수행하는 데 매우 적합한 교육적 방법이 될 수 있다.

신경심리학적 이론에 근거한 수학학습장애의 유형분류 및 심층진단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Neuropsychological Approaches to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an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est)

  • 김연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3호
    • /
    • pp.237-259
    • /
    • 2011
  • 수학 학습장애는 정상적인 수학적 역량 획득을 저해하는 학습 장애의 한 유형으로, 아동, 청소년의 5- 10% 정도가 겪는 학습 장애의 한 분야이다. 현재 수학학습장애를 진단하기 위하여 기초학력평가나 표준화된 검사가 사용되고 있다. 검사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사전지식을 파악하고, 취약한 영역을 찾는 것 역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학학습장애의 유형을 파악하고, 중재의 출발점을 알려줄 수 있는 포괄적인 진단 검사가 포함해야 하는 구성요소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신경심리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수학학습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인 인지적 요인들을 찾고, 관련되어 활성화 되는 두뇌 영역과 그들의 세부적 기능을 살펴본다. 또 수학학습장애 아동의 신경심리학적 특징을 살펴 본 다음 수학학습장애의 유형을 분류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심층 진단 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