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As youth school violence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is study needs to actively respond to school violence to prevent and reduce the proportion of secondary cyber violence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chool violence. By recognizing problem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c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COVID-19, we intend to find the right direction for schools, families, and communities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The analysis data is a psycholo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through the first survey of school violence in 2021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meaningful to suggest directions and alternativ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solve school violence problems by strengthening teachers' responsibility and improving their ability to cope efficiently.
본 연구는 청소년 학교폭력이 점점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므로, 학교폭력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그에 비추어 현행 학교폭력의 대응방안과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학교폭력의 원인, 피해유형의 변화 가운데 사이버 폭력의 비중 증가에 따른 예방과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학교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며, 코로나19 이후 교육환경 변화로 인한 학교폭력의 최근 실태와 특징의 비교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인지함으로써, 학교폭력의 예방에 관한 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대처방안에 대하여 올바른 방향성에 대하여 모색해보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교육부 2021 1차 학교폭력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교육환경 변화를 감안한 심리. 정서 결손 해소의 방안과 학교의 교육적 해결역량이 강화되어야 하며 교사의 책임강화와 효율적인 대처능력의 향상으로 학교폭력 예방 및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