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은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향상시킬까?: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 Kim, Jong-Seong;Kim, Do-Hyeon;Lee, U-Jin;Kim, S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57-6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업가지수를 활용하여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이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검증해 보는 데 있다.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의 3개 영역(인지, 사회, 정의), 9개 하위요소(혁신성, 적극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리더십, 공감,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기효능감, 모호함에 대한 인내)를 교육 사전-사후로 나누어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고등학생의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사전-사후 대응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구성하는 인지, 사회, 정의영역 중인지영역과 정의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마지막으로 9개 하위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 및 위험감수성 요소를 제외하고 7개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을까?: 4가지 영역에 대한 교육효과성 검증

  • 김종성;김도현;이우진;김수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89-9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효과성검증에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4가지 변인(자기주도학습, 메타인지, 진로정체성, 기업가인식)이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및 2021년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메타인지, 진로정체성, 기업가인식 요소를 교육 사전-사후로 나누어 대응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2020년 및 2021년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메타인지, 진로정체성, 기업가징신 요소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는 향후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연구에 있어 교육대상자의 역량 변화와 성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요소 간의 관계 분석을 하는데 있어 기반이 되는 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 2개의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 Kim, Ga-Yeong;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09-118
    • /
    • 2019
  •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혁신 및 국가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업가정신교육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Katz, 2003; Kurako, 2005). 한국 정부는 '창의인재양성'이라는 교육정책 목표로 기업가정신교육 예산이 증가시키고 있으며, 교육 대상자도 대학생 및 성인 대상을 중심에서 중 고등학생으로까지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가정신교육은 창업가적 스킬을 발전시키고 진로선택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Linan, 2004), 다수의 기관에서는 저마다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정의 및 운영방식을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수준의 프로그램에서는 교육의 효과성을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로 측정하고 있지만, 사회에 진출하기에 이른 시기인 청소년에게 그 지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2개의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기관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청소년에게 적합한 효과성 지표를 제시하고, 두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의 교육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심층인터뷰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김종성;김도현;이우진;김수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37-4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및 2021년 J사-S사의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여한 25명을 대상으로 그룹인터뷰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관한 교육 효과를 탐색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분석 결과, J사-S사의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은 창업에 대한 프로세스를 경험한 이후 개인역량, 진로역량이 강화되고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 양적연구가 밝혀내지 못한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연구 효과성 연구에 있어 교육참가자의 개인 역량 및 태도, 성장에 미치는 요인을 질적 성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청소년 기업가 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 교육만족도의 조절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Bae, Mi-A;Kim, Jong-S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35-39
    • /
    • 2021
  • 청소년 기업가정신에 관한 관심과 기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이 중요시됨에 따라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부터 체계적인 기업가 정신 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가 정신교육의 만족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별과 부모 창업의 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 기업가정신의 주요 구성요소 '진취성', '위험 감수성', '혁신성'과 긍정심리자본의 '희망',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낙관주의'를 독립변수로 하였는데,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중학생) 총 204명의 응답을 회수 후 실증분석을 시도 했다. 또한 기업가정신 교육의 만족도를 조절변수로 하는 연구 모형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기업가정신 및 긍정심리자본과 창업 의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 교육의 만족도가 조절 효과 여부를 확인하여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잠재적 창업가가 될 수 있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영향요인을 검증하고 연구자료에 다양하게 비교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Youth Entrepreneurs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효과성 검증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을 활용한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 Kim, Jongs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3
    • /
    • pp.129-140
    • /
    • 2019
  •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our new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 In this study, I suggest design thinking as a new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 which is consist of 9 dimensions: opportunity discovery, opportunity utilization, creativity capac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 self-preservation, social problem solving, and educational program objectives. To verify this new program, I conduct a pilot test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sample target is randomly selected one class in each school. My main finding is two. First, our new program successfully improves Youth entrepreneurship. Particularly, the improvement of opportunity utiliz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re prominent. As reasons, studies about food industry entrepreneurship is an unfamiliar subject for adolescent. Considering that entrepreneurial intention rapidly changes after the experience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researchers need to focus on this variable. Second, I confirm the effects of gender, motivation, prior experience, interest oneself and other's recommendation about the entrepreneurship program. As a result, gender and prior experience do not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voluntary interest and other's recommendation are influential.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influence of a teacher.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examine the more specific mechanism of each dimension in the future.

A Comparative Study o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Development Trends of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for Youth (한·미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동향 비교)

  • Li, Zhangpei;Park, Changun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8 no.10
    • /
    • pp.251-259
    • /
    • 2018
  •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ntrepreneurship of youth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youth,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youth between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And entrepreneurship is also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organization, which is understood as a process by an individual and a group of entrepreneurs who possess qualities and abilities with social opportunities, and move them into action and practice. There is a need for a comprehensive entrepreneurial mentality training and execution center for youth. To discussion social 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The United States uses Junior Achievement ASK model. In contrast, South Korea through systematic and proactive education development, but due to the lack of standard founding education content. Therefore, it presented the need for professional institutions for comprehens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operation. Korea is not well organized with the lack of standard start-up education contents, so it is urgent to develop and distribute education actively. Although the United States has been leading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foundations are conducting education more actively.

청소년 창업 역량이 창업가적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Jun-Hy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67-73
    • /
    • 2019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받은 청소년의 창업역량이 창업가적 프로세스에 미치는 효과를 기업가정신의 매개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은 주식회사 슘페터 청소년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18년 10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슘페터 기업가정신 프로그램 커리큘럼의 학습 목표 및 활동내용을 분석을 통해 다양한 키워드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변수를 채택하여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창업역량(창의성, 기회발견, 문제해결력) 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창업가적 프로세스(자기효능감, 목표설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청소년의 창업역량이 생기면 창업의지와 창업행동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How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Relational Support Affect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of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교육만족도와 관계적 지원이 한국 고등학교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ang, Jun-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1
    • /
    • pp.573-58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effect of bo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relational support on the self-effica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hen eventually on their entrepreneurship. Testing self-efficacy as a mediator is another aim of this stud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o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relational support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Self-efficacy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ship. The core part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bo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relational support in fostering the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can serve as practical guidance when making decisions regarding the adequate pedagog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promote entrepreneurship among the adolescents.

The Effect of Role Model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 Juvenile (창업역할모델과 기업가정신교육이 한국 청소년들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ang, Jun-Hwa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2
    • /
    • pp.1-11
    • /
    • 2017
  • Preparing juvenile for future careers in global market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education today. This study attests the impact of role model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Total 217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rom 11 different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role model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ntrepreneurship as well as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Entrepreneurship was also positively related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tudents. The findings imply that both the role model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crucial elements to foster entrepreneurship as well as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relevant authorities for takeaway in designing effective pedago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