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각 자극

Search Result 25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스텝과 사운드의 정량적 감성반응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Quantitative Analysis of Emotional Reaction Related with Step and Sound)

  • 정재욱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11-218
    • /
    • 2005
  • 디지털정보기기의 등장은 정보의 대량생성과 대량소비라는 사회 혁명적 요소와 더불어, '기능을 위한 종속관계의 형태소멸' '유기능 무형태(宥機能 無形態)' 라는, 디자인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형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디자인 행위는 그 관심이 시각적 대상(對象)에서 벗어나 인간과 기기(器機)사이의 '관계'에 집중되고 있으며, 그 결과 디자인의 감성적 요소가 접목된 감성인터페이스라는 새로운 분야가 형성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검색에 있어서, 이러한 감성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효과음과 걸음걸이(step)이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에서 수집된 감성어 사이의 유사성을 수량적으로 계측-분석한 후 시각화하는 것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취하였다. 감성연구에 있어서 개인적인 견해 및 청각정보와 걸음걸이의 특징, 사례연구 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하였고, 음에 관한 실험내용은 본인의 선행연구내용을 인용하였다. 걸음걸이에 대해서는, 자극에 대한 감성반응치를 수량화이론 1류를 이용한 회귀식으로 추출함으로써 걸음걸이의 물리적 요소와 감성반응 사이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정리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응용한 프로토타입의 제안은 검색환경과 사용성 평가에 대한 구체적 연구를 진행 한 후, 이어지는 연구에서 제안 할 예정이다.

  • PDF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Therapy Using Korean Traditional Rhythmic Modes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주민애;박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22-232
    • /
    • 2017
  • 본 연구는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시에 소재하는 요양원의 장기요양보호 적용을 받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치매진단 환자 13명이며, 상지기능평가(MFT),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검사(관리기능)에 대해 음악치료 전 후의 점수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악장단의 청각적 자극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일상생활은 물론 치매평가의 관리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임상현장에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국악장단을 활용한 음악중재의 타당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프로그램의 개발 시 국악장단이 이들의 신체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감성전달을 위한 매체별 모션그래픽의 시각적 표현기법 분석 (Visual expression technique analysis of motion graphic by media for emotion communication)

  • 윤황록;경병표;이동열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21-926
    • /
    • 2009
  • 인류가 등장한 이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많은 영상 디지털 미디어들이 성장하고 확장되어져 왔다. 영상디지털 미디어들은 수신자와 송신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긴밀하게 한다. 미디어의 변화와 테크놀로지의 발전 속에 등장한 영상디지털 미디어는 시각과 청각의 결합을 통해 시각적 정보전달과 시간적 단축을 가져왔다. 이러한 영상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 형태로 등장한 것이 모션그래픽이라는 분야이다. 모션그래픽의 발전은 기존의 미디어가 표현해 내지 못하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기법과 표현효과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영화의 타이들, 텔레비전의 프로그램 타이틀, 그리고 광고를 비롯한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표현기법들은 수용자들의 감성을 자극하여 감성커뮤니케이션적인 작용 또한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션그래픽이 수용자들에게 얼마만큼 효과적인 의미전달 매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그 특성을 알아보고, 모션그래픽이 감성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수용자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적용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 PDF

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및 상호작용 체험 - 디지로그 북 응용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Digital Storytelling and Interaction based on Book - Application Scenario for Digilog Book)

  • 김혜선;우운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52-557
    • /
    • 2008
  • '디지로그 북 (Digilog Book)' 은 아날로그 책과 디지털 콘텐츠의 장점을 통합함으로써, 아날로그적 감성과 디지털 오감을 함께 느끼도록 개발하고자 하는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전자책이다. 기존의 책이라는 콘텐츠 위에 디지털적인 내용을 삽입하여 책을 보는 독자가 시각, 청각, 촉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경험을 입체적으로 즐기게 한다. 또한 책에 있는 내용을 디지털 스토리화하여 독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다른 내용을 경험할 수 있으며 책이라는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개념 연구과정에서 디지로그 북 응용시나리오를 중심으로 디지털스토리텔링 및 상호작용체험의 내용을 만들어 구체화시키고 시각화해 봄으로써 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스토리텔링 및 상호작용의 내용과 범주를 확인할 것이다. 이처럼 응용시나리오에서 확인된 내용은 디지로그 북 저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저작도구개발을 위한 내용구성, 화면구성, 저작기능 정의, 저작인터페이스, 저작시스템 구성 등 저작기술개발의 방향과 지침을 만드는 지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에듀테인먼트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Edutainment platform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 김정은;최이규;신병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5-7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의 교육 및 치료에 있어서 감각, 인지훈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에듀테인먼트 플랫폼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임베디드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여기서 재생할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도구, 학습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관리도구, 학습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발달장애 아동의 특성을 관찰 분석하여 개발한 하드웨어는 주의집중을 위한 감각훈련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도록 시각, 청각, 촉각 등의 자극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특수교사 이외의 비전문가도 쉽게 교육용 콘텐츠를 만들고 학습 현장이외에서도 학습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학습한 결과를 다음 학습단계로 적용할 수 있도록 이를 보관하고 살펴 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간, 장소의 제한 없이 효과적으로 반복 학습을 수행이 가능하다. 개발한 플랫폼을 직접 교육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주의집중과 학습 능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전자파 차폐소재와 청각자극에 나타난 뇌파전위의 변화 - (A Study on the Effects of Electromagnetic Wave on Human Body - The Variation of Electroencephalogram by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 Materials and Aural Stimuli -)

  • 이수정;이태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03-510
    • /
    • 2004
  • The study is one of fundamental researche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smart clothing and textile products with blocking properties from electromagnetic waves by analyzing human physical symptoms in using electromagnetic products in such an environments. Among various textiles in the experiment, nano silver has shown the best blocking performance from electromagnetic waves, which decreases depending on the distance. The power spectrum distribution and the incidence of electroencephalogram between blocking materials and aural stimuli has shown that, ${\beta}$, wave appeared to be active in all channels except for $T_4$, whereas all waves appeared with processed materials and especially with nano silver silk(NSS), ${\alpha}$, ${\beta}$, ${\theta}$, ${\gamma}$ waves appeared active in all regions. As for the brain mapping of ${\alpha}$ wave according to time, there found a strong activity in $P_3$, $P_4$ of the parietal lobe, with all materials on all time regions. With silk nylon metal(SNM) and NSS, it appeared strong in $F_3$, $F_4$ as well. As for ${\beta}$, wave, the activity appeared strong in frontal lobe before 7min. 30sec, where it tends to diminish abruptly in 7min. 30sec. to 13min. 30sec. region. After 13min., it regained gradually. With NSS, it appeared strong in all areas except for the farthest $T_4$. The appearance of ${\nu}$ wave can be deduced as it can affect human body with its toxic property while the silver particles become nano-sized. Therefore, the study conducted with human participants requires a proper particle size of it which would not penetrate cellular tissues and a proper binder and binding treatment for it, to prevent the physical fatigues and the potential diseases. However, it is highly required for back-up researches to verify various aspects in applying nano silver to textile products.

청각적, 시각적 자극제시 방법과 음절위치에 따른 일반아동의 음운인식 능력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in terms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us and syllable posi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 최유미;하승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123-12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syllable identification task according to auditory and visual stimuli presentation methods and syllable position. Twenty-tw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 4-6)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syllable words were used to identify the first syllable and the final syllable in each word with auditory and visual stimuli. For the auditory stimuli presentation,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test word only with oral speech. For the visual stimuli presentation, the test words were presented as a picture, and asked each child to choose appropriate pictures for the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asks were presented visually, the performances of phonological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resenting with auditory stimuli. Also, the performances of the first syllable identifi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ast syllable identification. When phonological awareness task are presented by auditory stimuli,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all the steps of the speech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the phonological awareness performance by auditory stimuli may be low due to the weakness of the other stages in the speech production process. When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re presented using visual picture stimuli, it can be performed directly at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stage without going through the peripheral auditory processing, phonological recognition, and motor programming. This study suggests that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syllable position of the tasks. The comparison of performances between visual and auditory stimulus tasks will help identify where children may show weakness and vulnerability in speech production process.

산모의 심장소리가 미숙아의 체중, 생리적 반응 및 행동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ternal Heart Sound on the Weight, Physiologic Responses and Behavioral States of Premature Infants)

  • 염미경;안영미;서화숙;전용훈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211-219
    • /
    • 2010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measure the effects of maternal heart sound on body weight, physiologic reactions (heart rate [HR] and cortisol) and behavioral states of preterm infants. Methods: Thirty-five preterm infants were recruited from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a university hospit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al and informed consent were obtained. The inf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18) with an auditory stimulation for 7 days of life, a continuous delivery of maternal heart sound using MP3 attached inside the incubator, or to a control (n=17) without any auditory stimulation. The outcome variables, daily variations in weight, HR and behavioral states, and differences in cortisol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variations of daily weights (F=3.431, p=.011) and in cortisol (t=3.184, p=.006) between groups, but no difference in variations of daily HR (F=0.331, p=.933) and behavioral states (F=1.842, p=.323).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e safety of continuous maternal heart sound as no changes in HR and behavioral states occurred, and the efficacy as weight increased and cortisol decreased. This auditory simulation may lead to more efficient utilization of energy in preterm infants by consistently providing familiar sounds from intrauterine life and blocking noxious sounds from NICU environments.

청각자극의 세기에 따른 노인의 인지 반응시간 분석 (The Analysis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 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1-40
    • /
    • 200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the cognitive reaction time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and to differentiate the cognitive reaction time between older people and adults. Method: 49 subjects consisted of 32 older people and 17 adults. Cognitive reaction time was assessed with Simple Auditory Reaction of Foundation I in PSS CogReHab.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ing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lder people regardless of sexual distinction in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in adult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lder people who got a job or not in 90 dB of auditory stimuli. 4.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was slower than ad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between older people and adults in 70 dB of auditory stimuli. 5.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did not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lastic 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lowing of the cognitive reaction time in auditory stimuli to aging in older people. Therefore, applying silver industry and development of equipment for older people may maintain independent life.

  • PDF

리듬청각자극(RAS)을 사용한 소뇌 별아교세포종(CA) 환아의 보행훈련 사례 연구 (Case Study of Gait Training Using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RAS) for a Pediatric Patient with Cerebellar Astrocytomas)

  • 김수지;조성래;오수진;곽은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2호
    • /
    • pp.65-81
    • /
    • 2010
  • 본 연구는 소뇌 별아교세포종 발병으로 인해 소뇌 수술을 받은 12세 환아의 보행 기능 개선을 위해 RAS 보행훈련을 실시하여 보행인자의 변화를 관찰한 사례연구이다. 객관적 분석을 위해 VICON 370 Motion Analysis System을 이용한 동작분석을 RAS 보행 훈련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매 회기 30분씩 총 9회의 훈련을 실시한 결과 시공간적 지표 중 분속수, 보행속도, 보행시간, 보장, 활보장의 증가와 운동형상학적 지표의 움직임이 정상범주의 형상과 근접해가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RAS 보행훈련 후 보행의 효율성이 증진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신체적 재활이 요구되는 여러 대상군에게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효율성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