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첨단차량

Search Result 23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Lane Changing Model with regard to Safety Distance of Vehicles (차량간 안전거리를 고려한 차로변경 모형개발)

  • Choe, Ji-Eun;Ryu, Byeong-Yong;Bae, Sang-Hun;Gang, Seung-P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6
    • /
    • pp.109-118
    • /
    • 2009
  • The conventional lane changing model has been developed without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vehicles at target lane. Thus, existing lane changing models have limitation to apply in real world. In this paper, lane changing model consider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and calculated the safety distance between subject vehicle and adjacent vehicles for lane changing as well. Simul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the efficiency of the developed lane changing model in this paper. Several scenarios were carefully examined by safety distance between subject vehicle and adjacent vehicles. In the result, it was verified that if gap between subject vehicle and adjacent vehicles is larger than safety distance, lane changing behavior between subject vehicle and adjacent vehicles avoids collision. The suggested lane changing model may be applied at the future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advanced safety vehicle.

Analysis of Car Following Model of Adaptive Cruise Controlled Vehicle Considering the Road Conditions According to Weather Circumstance (기상상황에 따른 노면상태를 고려한 첨단차량 추종거동 모형의 분석)

  • Kim, Tae-Uk;Bae, Sa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2 no.3
    • /
    • pp.53-64
    • /
    • 2013
  • The car-following model is one of core models in Advanced Vehicle & Highway Systems (AVHS). The car-following model has been developed in aspects such as human factor and reduction error rates. However, the consideration of safety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 has not been completed yet. In this paper, therefore, changes of driving condition for car-following due to different road condition were dealt with, and optimal safety distance corresponding to road condition such as dry, wet and snowy were computed. The GMIT(GM Model with Instantaneous T) model was picked over for simulation of adaptive cruise control applied the suggested optimal safety distance. As the results, the 1.7 times longer safety distance was required for wet road condition than dry road condition, and the 5.6 times longer safety distance was required for snowy road condition.

차량 성능향상을 위한 전자제어시스템

  • Mun, Hui-Chang;Kim, Jeong-Ha
    • ICROS
    • /
    • v.16 no.2
    • /
    • pp.20-25
    • /
    • 2010
  • 자동차에서 전자제어기술은 차량의 성능향상을 위한 전자제어기술과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전자제어기술로 나눌수 있다. 차량전자제어기술은 발전을 거듭할수록 자동차는 영화속의 자동차처럼 스스로 지능을 가진 첨단차량으로 진화해 갈 것이다.

Human-in-the Loop Evaluation of Advanced Safety Vehicles Using a Vehicle Simulator (차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첨단안전차량의 Human-in-the Loop 성능평가)

  • 이경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26 no.4
    • /
    • pp.6-10
    • /
    • 2004
  • 자동차의 능동안전(Active Safety)을 중요시하는 경향은 1990년대부터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사고발생 후에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Passive Safety 기술과 사고를 방지하고 사고의 피해를 줄이는 Active Safety 기술의 효과적인 조합을 통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차량을 첨단 안전차량(ASV, Advanced Safety Vehicle)이라 한다.(중략)

  • PDF

첨단도로교통체계(IVHS)를 위한 통신

  • 이재홍;박찬범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2 no.4
    • /
    • pp.105-114
    • /
    • 1995
  • 날로 심화되고 있는 교통혼잡과 이에 따른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해결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도로 증설 등 교통시설의 확충과 병행하여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도로의 운영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이것을 포괄적으로 첨단도로교통체계(IVHS:Intelligent Vehicle Highway System)라 하며, 이것은 교통관제, 교통정보, 차량운영, 차량제어, 대중교통 등의 분야로 구분된다. 이 글에서는 첨단도로교통체계의 정의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고, 첨단도로 교통체계를 위한 통신의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연구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국내에서의 첨단도로교통체계를 위한 통신의 연구동향과 개발방향에 대하여 검토한다.

  • PDF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y on Environmental Effect through Adaptation of Advanced Safety Vehicle (첨단차량 도입 시를 고려한 환경적 효과의 정량적 분석 방법론 개발)

  • Choi, Ji-Eun;Bae, Sa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9 no.6
    • /
    • pp.94-104
    • /
    • 2010
  • The capacity of highway is restricted and traffic congestion is caused by increasing traffic demand. Also, greenhouse gases are increased by traffic congestion. 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is an idea of interest to reduce greenhouse gases. However, CDM's cases applied in traffic field are rare. Thus, it is necessary that methodology to reduce greenhouse ga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CDM. A methodology for identify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as developed in this paper. This methodolog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baseline methodology registered at UN. Travel time and speed in the conventional traffic condition and in the automated traffic condition are compared by BPR function. The calculated speed applied to emission factor equation and then $CO_2$ emissions was calculated. A simulation was execut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ethodology. In the result, advanced vehicle's $CO_2$ emissions are more than conventional vehicle's $CO_2$ emissions in the stable flow condition. However, advanced vehicle's $CO_2$ emissions are less than conventional vehicle's $CO_2$ emissions in the unstable flow condition. It is assure that capacity of highway is enhanced and efficiency of highway is improved by adopting advanced safety vehicle in the smart road.

첨단 자동차 연구개발의 기술 동향

  • Yun, Bok-Jung;Kim, Jeong-Ha
    • ICROS
    • /
    • v.18 no.2
    • /
    • pp.21-29
    • /
    • 2012
  • 최근 자동차 연구개발에 있어 내연기관을 대체하는 친환경 자동차기술과 더불어 무인자동차, 자율주행기술이 많은 부분에서 시도되고 실현되어가고 있다. 지능형 자동차라는 개념에서 적용되었던 운전자안전보조시스템, 편의지원과 사고경감 시스템 등이 하나로 통합되어 무인자동차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또 차량에 고가의 센서를 장착하여 주변환경이나 운전자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에서 IT 융합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기술 (V2I, V2V, V2N & V2X)을 접목시키는 방안을 통하여 개개의 차량은 물론 교통체계의 전체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차량기술은 새로운 교통문화(차량공유시스템, 군집주행)의 개발과 또다른 교통체계의 연구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ITS System and Its Communication Requirements (첨단운송체계(ITS) 서비스 정의 및 통신 기술)

  • O, Yeong-In;Yun, Cheol-Sik;Kim, Eung-Bae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2 no.3 s.45
    • /
    • pp.11-17
    • /
    • 1997
  •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는 H/W 중심의 차량 및 교통 기반 기설에 통신.전자.제어.컴퓨터 등 S/W 중심의 기술을 적용하여, 각 차량 및 교통 시설(신호등, 도로, 교통 안내 표지판, 도로 상황판 등)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도로 교통 시설의 이용 효과를 극대화하고, 그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교통 수요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종합 기술 체계이다. 이러한 최첨단 도로교통 관리의 ITS를 이용한 서비스는 각 나라마다 달리 정의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첨단교통정보시스템(ATIS), 상용차량 운행관리 시스템(CVO), 차량 및 도로 시스템(AVCS) 그리고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APTS)의 5개 분야로 나누어진다(1). 이 다섯가지 ITS 서비스 시스템은 공통적으로 정보 수집, 정보 처리, 정보 전달, 정보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각종 검지기, 차량 단말, 노변 단말 등의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정보(정보 수집)는 관련 통신 방식(정보 통신)을 통하여 중앙 정보 처리 센터에 전달되어 그 서비스 요구 사항에 따라 처리(정보 처리)되고, 생성된 정보는 해당되는 통신 채널을 거쳐(정보 통신) 각종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정보 전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ITS체계의 정의, 목표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전달하는 과정과 이에 요구되는 통신 체계에 대하여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