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첨단복합재료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ydy on the Development of Mica/Epoxy Compisite Materials(3) (마이카/에폭시 복합재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3))

  • 박정후;곽영순;정은식;신중홍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1 no.2
    • /
    • pp.115-125
    • /
    • 1988
  • 지금까지 발전기 전동기 및 전력용 변합기와 같은 중전기에 사용되고 있는 복합절연재료인 유리섬유 강화프라스틱은 단가가 높고, 기계적 특성이 비등방성이며 기게적 응력이나 서어비스 중에 계면보이드의 발생으로 문제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플레이크상의 필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플레이크상 재료인 마이카를 이용하여 현재 대형 발전기나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 절연용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는 마이카 페이프/에폭시 복합재료를 제작한 후, 이 재료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과 최적 제작조건 등에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아미노 실란 게면 결합제를 필라에 적용하여 시료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 PDF

나노 전도성 Filler를 이용한 박막 고분자 PTC 특성 연구

  • 강영구;조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51-354
    • /
    • 2003
  • 최근 안전 분야에서 기능성 고분자 재료의 응용분야로서 첨단 전기전도성 고분자복합재료를 이용한 섬유상, 구형, flake 등 각종 형상의 금속, 흑연, carbon black, whisker 등의 전도성 filler를 고분자 matrix에 혼입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성형가공하여 복합성형체를 제조하고 electrical hazard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전기방지효과, 자기발열체, 전자기파 차폐효과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성형체상으로 가공된 소재로 화학공장, 산업설비, 각종 제조설비의 제조 공정용 제어, 과전류차단 및 외부 전자기파에 의해 발생되는 이상작동 등을 방지하는 안전시스템 소재용으로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후막형 폴리머PTC의 전기적 특성

  • 강영구;유동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92-195
    • /
    • 2003
  • 최근 첨단기술 집약형 자동화 시스템과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산업은 고도화, 정밀화되고 있다. 특히 안전분야 중 기능성 고분자 재료의 응용 분야로서 carbon black, carbon fiber, graphite, 금속 분말 등의 전도성 충전재를 고분자 matrix에 혼입하여 전도성 복합재료를 성형가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이용한 복합성형체는 과전류 차단, 회로 보호, 전자파 차폐효과 등의 특성을 이용한 electrical hazard 감소 효과, 제어설비, 자동화 설비, 제조설비 등 각종 산업설비의 정밀제어, 과전류차단 및 외란 방지 등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중략)

  • PDF

Insulating breakdown properties at interface layer in mica-epoxy composite material (마이카-에폭시 복합재료의 계면에서의 절연파괴특성)

  • 김태성;구할본;이은학;임장섭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5 no.2
    • /
    • pp.224-236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내부전극을 갖는 마이카-에폭시 복합시료의 계면정합상태에 따른 계면층에서의 절연파괴특성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계면은 이상수지층으로 작용되며 마이카는 계면결합제와의 화학적반응 및 흡착에 의해 친수성이 적어짐을 확인하였고 또한 계면의 정합상태는 계면결합제의 수용액 농도에 의해 좌우되었다. 계면정합이 불량하면 인가전압의 상승에 따라 부분방전량의 증가 및 발생빈도의 직선적인 증가 특성이 보이며 계면정합이 양호한 경우는 방전량이 포화되는 시점에서 발생빈도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되었다.

  • PDF

A Basic study of Electrical Properties in the PZT/Polymer Piezoelectric Composites for Ultrasonic Transducer Applications (초음파 변환기 응용을 위한 PZT/고분자 압전 복합재료의 전기물성에 관한 기초연구)

  • 이덕출;김진수;김용혁;김재호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2 no.1
    • /
    • pp.14-24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1-3형 PZT/Epoxy 압전복합재료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D-E 곡선, 펄스응답특성 및 유중발생전압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압전복합재료의 음향임피던스는 PZT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펄스응답특성은 단일상 PZT의 특성에 비하여 아주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PZT 체적비가 40% 이상에서는 펄스응답특성이 거의 일정하게 되었다. 유중에서의 발생전압은 PZT체적비, 시편두께 그리고 유중압력이 증가함에 따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제작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고분자재료의 성형방법 및 그 개선방향

  • 윤재륜
    • Journal of the KSME
    • /
    • v.28 no.6
    • /
    • pp.525-529
    • /
    • 1988
  • 고분자 및 복합재료 성형기술의 향상은 다른 재료의 생산기술에서 요구되는 것과 같이 고정밀 도를 성취하기 위한 기술, 전산기를 이용한 가공공정의 자동화, 풍부한 데이터베이스 및 소프트 웨어의 개발, 재료 및 성형장비의 표준화, 고급인력의 양성 등이 절대적인 필수조건이다. 필자는 아직 국내의 사정에 익숙하지 못해서 여러면에서 부족한 국내의 산업수준을 고려할 때 국내의 고분자관련산업도 많은 발전을 요구한다고 판단된다. 자동차,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첨단산업 으로부터 장난감, 스포츠용품까지 널리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의 가공기술 개발에 과감한 투자를 하여야 할 것으로 확신한다.

  • PDF

Experimental Assessment of Tensile Failure Characteristic for Advanced Composite Laminates (첨단복합재료 적층판의 인장 파손특성 시험적 평가)

  • Lee, Myoung Keon;Lee, Jeong Won;Yoon, Dong Hyun;Kim, Jae Ho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10
    • /
    • pp.959-965
    • /
    • 2017
  • In recent years, major airplane manufacturers have been using the laminate failure theory to estimate the strain of composite structures for airplanes. The laminate failure theory uses the failure strain of the laminate to analyze composite structures. This paper describes a procedure for the experimental assessment of laminate tensile failure characteristic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assessment metho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response variable being the laminate failure strain and with the regressor variables being two-ply orientation ($0^{\circ}$ and ${\pm}45^{\circ}$) variables. The composite material in this study is a carbon/epoxy unidirectional (UD) tape that was cured as a pre-preg at $177^{\circ}C(350^{\circ}F)$. A total of 149 tension tests were conducted on specimens from 14 distinct laminates that were laid up at standard angle layers ($0^{\circ}$, $45^{\circ}$, $-45^{\circ}$, and $90^{\circ}$). The ASTM-D-3039 standard was used as the tes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