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도 시스템

Search Result 6,17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The Availability Calculation Method for RAM System of Railroad Systems (철도시스템의 RAM 체계구축을 위한 가용도 적용에 관한 연구)

  • Park, Jun-Seo;Kim, Jong-Woon;You, Won-Hee;Kim, Jae-Hoo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6.11b
    • /
    • pp.180-18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철도시스템의 RAM 체계구축과 관련하여 R. A. M 중 하나의 필수 요소이며, 실제 운행하고 있는 철도시스템이 얼마나 잘 운행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철도시스템 가용도(Availability)에 대하여 해외규격, 국내외 발주사양 등을 통해, 가용도 계산방법 등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백분율 % 값으로 계수화된 가용도 목표가 요구된 발주사양의 경우에도 수요처에 따라 가용도 목표의 계산방법이 다르며, 각각의 시스템에 맞춰 수정된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우리나라 철도환경 및 시스템에 맞는 가용도 계산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 철도시스템에 맞는 가용도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외규격, 국내외 발주사양 분석 결과들과 관련 문헌들을 바탕으로 철도시스템 가용도 계산 방법(안)을 만들어 국내 철도시스템에 제안해 보았다.

  • PDF

Setting the Service Reliability Target for Meeting the Punctuality Requirement of the Railroad System (철도시스템 정시성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서비스 신뢰도 목표값 설정)

  • Kim, Jong-Woon;Park, Jun-Seo;Chung, I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4 no.1
    • /
    • pp.6-10
    • /
    • 2011
  • This article deals with a problem of setting reliability targets of the railroad systems where the punctuality target is given to the operator and a penalty is imposed for the year when the target is not met. The operator should set the reliability targets of the railroad system and sub-systems because the reliability affects the expected number of years when the penalty is imposed. This paper presents a procedure for setting the service reliability target and equations to calculate the expected number of years when the penalty is imposed and the probability that the operator should pay the penalty per year according to the mean kilometer between service failures of the railroad system and sub-systems.

GIS를 이용한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정보시스템 개발

  • 이사로;송원경;박종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03a
    • /
    • pp.221-23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관련 공간정보를 검색 및 출력 등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철도 노선 중 낙석 및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춘선, 영동선, 중앙선, 태백선, 정선선의 2.5km 혹은 5km 반경 지역에 대해 철도 관련 정보, 각종 지도 관련 정보, 지형분석 정보, 수문기상 정보, 현장 조사된 낙석 관련 정보 등 각종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정보시스템은 보기환경, 테이블환경, 차트환경, 레이아웃환경, 프로젝트환경 등 5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정보시스템의 기능은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입력, 검색, 출력 뿐 아니라 자료 변환, 자료 및 범례 편집, 라벨 생성, 화면 확대, 축소, 지도 작성, 그림 편집, 문자 DB 관리, 차트작성, 도움말 등 다양하다. 본 정보시스템은 ArcView의 스크립트 언어인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고 풀다운 메뉴 및 아이콘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개발되었다.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개발된 정보시스템은 낙석 및 산사태 관리 및 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 및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철도 자동 진로 설정

  • Lee, Nak-Yeong;Park, Seong-Jeon;Lee, Geun-Seok;Jeon, Deok-Hyeon;Lee, Gwang-Hyeong
    • IE interfaces
    • /
    • v.2 no.1
    • /
    • pp.29-35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대우엔지니어링 철도사업부가 연구하였던 A공장 내의 철도시스템의 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사례를 중심으로, 철도시스템의 특성 및 자동제어시스템의 특성을 정리하고 시스템 설계방법을 논의 하고자 한다. 철도상의 최소경로 진로설정 문제는 철로의 특성상 특수한 제약이 있기 때문에 다른 일반적인 최소경로 선택방법에 따라서 기관차의 진로를 결정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팀이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구현한 철도제어시스템에서는 각 출발지와 목적지별로 가능한 경로를 나열한 table들을 자성하였으며, 이 table들을 이용하여 최소경로를 선택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 Design System for High Speed Railroad (고속철도 자동 선로 설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Yi, Soo-Bong;Kim, Woo-Saeng;Kim, Joo-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527-1530
    • /
    • 2003
  • 한국에 고속 철도가 도입됨에 따라 고속 철도 전용의 선로 설계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속 철도 전용의 시스템은 국내에서 개발되지 않아, 외국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 실정에 맞는 고속 철도 자동 선로 설계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해 보았다.

  • PDF

Applications of Renewable Energy for Railway System (국내외 철도 시스템의 신재생에너지 적용현황)

  • Park, Haneol;Kim, Duk-Hyun;Kim, Dae-Ny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35.1-135.1
    • /
    • 2011
  • 철도 선진국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철도 시스템 적용이 가속화 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철도 시스템에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상당수의 신규 역사가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고, 단순히 유휴지를 이용한 풍력 발전 시스템을 넘어서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하거나 차량 외부에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소 에너지를 연료로 하는 연로전지의 경우 기존 전기철도의 대체 연료로서 주목을 받으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현재는 시험 운전 단계에 이르러 있다. 지열의 경우에는 벌써 오래전부터 승강장 또는 선로의 해빙장치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되고 있다. 이밖에 수력 및 해양 에너지의 경우 전철전력의 청정 에너지 공급원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차량이나 역사 내에서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수확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기술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에너지 문제와 온실가스 감축 의무 부담이 날로 가중되는 현 시점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전기철도 시스템 적용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확실한 대안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전기철도 시스템의 신재생에너지 적용 기술과 적용 방안에 대해 고찰한다.

  • PDF

On the Use of Architectural Models Reflecting Functional Safety Standards in the Development of Rail Systems Safety Architecture (철도시스템 안전관리 체계개발에서 기능안전 표준을 반영한 아키텍처 모델의 활용)

  • Jeong, Ho-Jeon;Lee, Jae-Che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11a
    • /
    • pp.615-623
    • /
    • 2013
  •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시스템들은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시스템들은 더욱 커진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위험을 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 복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고장은 바로 큰 재산피해나 인명피해와 직결 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철도, 항공, 해양 등의 산업에서는 각 산업에 적합한 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표준 및 매뉴얼을 제정하여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시스템에서 전장품 및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기능안전이 안전분야의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IEC 61508, ISO 26262, IEC 61511 등 기능안전관련 표준들이 제정되어 기능안전을 달성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국내 철도산업에서도 철도안전법의 재정을 기점을 철도 산업전반에 걸쳐 많은 환경변화가 이뤄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 안전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한편 다양한 운영체계를 갖고 있는 철도시설 및 운영기관이 존재하는 국가 철도 안전관리체계의 안전규제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요구사항의 분석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의 설정은 현재에 대한 분석과 미래의 철도안전시스템의 특성을 구조화하여 향후 비전을 프레임워크로 표현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안전관리체계의 도입 배경 및 도입 현황에 대해서 분석하고, 최근 기존의 안전관리체계와 더불어 최근에 안전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기능안전 표준을 반영한 안전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아키텍처를 구현하고자 하며 이때, 모델링을 바탕으로 한 접근을 제시한다.

  • PDF

Reliability Analysis of Hot-Standby Sparing System with Common Cause Failures for Railway (공통고장모드를 고려한 대기 이중계 구조의 철도 시스템 신뢰도 분석)

  • Park, Chan-woo;Chae, Eunkyung;Shin, Duck-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0 no.3
    • /
    • pp.349-355
    • /
    • 2017
  • Failures of railway systems can result in train delays or accidents, and therefore high reliability is required to ensure safety of railway systems. To improve reliability, railway systems are designed with redundant systems so that the standby system will continue to function normally even if the primary system fails. Generally, overall system reliability can be evaluated by the reliabilities of the parts of the whole system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dundant system considering common failures in case of each system is not conform physical, functional and process independent.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hot-standby sparing system is analyzed the independent systems and dependent systems with common failures. The reliability for the standby system can be effectively analysed using Markov models, which can model the redundant configuration and the state transition.

열차무선시스템 최신 연구 동향

  • 김백현;신덕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7 no.2
    • /
    • pp.17-22
    • /
    • 2004
  • 최근에는 이동체 통신이나 컴퓨터등의 정보통신기술이 현저하게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열차의 고속화 고밀도화를 위해 열차제어 분야에 무선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일본, 미국등의 철도 선진국에서 활발히 수행되어지고 있다. 무선을 이용한 열차제어시스템의 시술개발은 철도에 커다란 경제적 이득을 창출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특히 유럽의 경우 통화 단일화와 회원국간의 비과세 교역등의 경제적인 제도뿐 아니라, 철도 분야에 있어서도 유럽횡단고속철도망(Trans-European High Speed Rail Network)의 구축을 위한 신호 시스템의 표준화를 위해 유럽연합과 국제철도연합(UIC: Union Internationale des Chemins defer)의 지원화에 ETCS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중략)

디지털 철도 경영을 위한 e-KNR 추진 현황

  • 양현욱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2.05a
    • /
    • pp.63-72
    • /
    • 2002
  • 통합정보 시스템으로 운용 효율, e-Biz를 통한 수입, 맞춤 서비스로 고객 만족 ㆍ 정보기술을 활용한 모든 운영업무의 전면 재설계 ㆍ오프라인과 온라인 결합 ㆍe-Bussiness 지원시스템 구축 ㆍTSR, TCR에 대비한 유연한 시스템 ㆍ철도 G2B 구축 ㆍ전자정부 연계 시스템 구축 ㆍ물류정보시스템 기반구축(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