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도운영이슈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ICT 기반 차상제어시스템 개발에 따른 운영 이슈 분석 (Analysis of Operational Issues for ICT-based On-Board Train Control System)

  • 김영훈;최원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575-583
    • /
    • 2011
  • 철도 지선 구간의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ICT 기반 차상제어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열차제어방식과 달리 선로 주변 신호기와 고정폐색장치를 없애고 이동폐색방식을 적용하며 차상에서 선로전환기와 건널목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ICT 기반 차상제어시스템 개발 이전에 고려해야 할 주요 운영 이슈 사항을 분석하며 주요 대상은 열차운행준비, 운전 편의성, 관제역할, 폐색방식, 그리고 운영비용을 고려하였다. 열차 출발 전에 기관사가 DMI를 통해 입력하여야 할 입력데이터를 정의하였고 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UML 도구를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기관사의 운전 편의성 측면에서는 역 진입 시의 제동시점 지원 필요성과 기관사의 원활한 운전 훈련을 위한 운전시뮬레이터가 필요하다. 기관사가 선로전환기와 건널목을 직접 제어하는 업무절차를 UML 도구로 설계하였다. 기존 운영 방식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고정폐색방식과 이동폐색방식 간에 비교 분석하였으며, 비용 측면에서는 기존방식과 ICT 방식의 신호설비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 이점을 제시하였다.

철도시스템 안전관리 체계개발에서 기능안전 표준을 반영한 아키텍처 모델의 활용 (On the Use of Architectural Models Reflecting Functional Safety Standards in the Development of Rail Systems Safety Architecture)

  • 정호전;이재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3년 추계학술대회
    • /
    • pp.615-623
    • /
    • 2013
  • 오늘날 기술의 발전으로 시스템들은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는 시스템들은 더욱 커진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위험을 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 복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고장은 바로 큰 재산피해나 인명피해와 직결 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철도, 항공, 해양 등의 산업에서는 각 산업에 적합한 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표준 및 매뉴얼을 제정하여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시스템에서 전장품 및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기능안전이 안전분야의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IEC 61508, ISO 26262, IEC 61511 등 기능안전관련 표준들이 제정되어 기능안전을 달성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국내 철도산업에서도 철도안전법의 재정을 기점을 철도 산업전반에 걸쳐 많은 환경변화가 이뤄지고 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 안전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한편 다양한 운영체계를 갖고 있는 철도시설 및 운영기관이 존재하는 국가 철도 안전관리체계의 안전규제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요구사항의 분석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의 설정은 현재에 대한 분석과 미래의 철도안전시스템의 특성을 구조화하여 향후 비전을 프레임워크로 표현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안전관리체계의 도입 배경 및 도입 현황에 대해서 분석하고, 최근 기존의 안전관리체계와 더불어 최근에 안전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기능안전 표준을 반영한 안전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아키텍처를 구현하고자 하며 이때, 모델링을 바탕으로 한 접근을 제시한다.

  • PDF

철도 전력망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 시스템 (EV Charging System through the Rail Power Grid)

  • 류성한;이태훈;조용찬;박래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40-1241
    • /
    • 2011
  • 이 논문은 LS전선, 서울 메트로, 철도기술연구원(KRRI)이 공동으로 연구한 '도시철도 연계 EV 충전 시스템' 프로젝트와 LS전선, 환경공단이 공동 개발한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을 바탕으로 내용을 구성 하였다.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구축은 크게 3가지 이슈 -전력 연계, 충전 시설, 충전기 운영 통신 시스템-가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철도 전력 인프라망을 연계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들, 충전 인프라 운영 시스템에 대한 실증 내용을 논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향후 계획도 포함되어 있다.

  • PDF

ICT기반 차상제어시스템 개발에 따른 운영 이슈 사항 분석 (An operational issues analysis of ICT-based on-board train control system)

  • 김영훈;최원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43-1048
    • /
    • 2011
  • In the case of a low density branch line, these areas are operating at a loss. So much money is used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cost. To solve the problem, our institute have a project to develop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train operation system. In a similar research in the Europe, The UK's Transport Research Laboratory experienced analysis of operational issue for developing ERTMS from Level II to Level III. In this paper, we study about railway operational issues before development of ICT based train operation system. An analysis target of operational issues are railway business process & data, drivability and moving or virtual block system.

  • PDF

미경험 교통수단에 대한 이용자 선택행태 분석: Personal Rapid Transit 사례를 중심으로 (An approach to capture travelers' choice behaviour in response to unexperienced transportation modes: A case study of Personal Rapid Transit)

  • 유정훈;신승권;최정윤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0-1738
    • /
    • 2011
  • Personal Rapid Transit(PRT)는 경쟁력 있는 건설비와 운영비로 보행중심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대중교통 중심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바람직한 교통수단으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RT 도입시 PRT 이용경험이 없는 사람들의 교통수단선택 행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RT 선택행태 분석의 핵심 이슈는 경험해보지 못한 교통수단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지와 평가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가이다. PRT 도입전후의 교통수단 선택에 대한 RP와 SP 자료를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PRT 선호에 대한 bias를 최소화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설문응답자의 성실한 답변을 방해하는 수많은 SP 설문항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복잡한 fractional factorial 설계를 사용하지 않았다.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이 교통수단선택과 관련된 설명변수들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산선택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PRT 시스템 특성과 운영방식하에서의 교통수단선택을 추정하였으며, 2개의 대상도시에 대해 PRT 이용수요를 예측하였다.

  • PDF

북한 건설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전략 (Operating Strategi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Nurturing North Korean Construction Workers)

  • 정인수;이규;박형근;이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262-269
    • /
    • 2019
  • 본 연구는 남북 경제 협력 및 상호 발전의 근간이 되는 인프라 건설 수요의 확대에 따른 북한 건설기능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건설분야별 교육 훈련을 위한 직종의 분류와 각 교육 훈련 과정의 개요와 편성 시간 등을 분석하여 건설현장 기능인력 양성의 관점에서 교육 훈련 대상 및 범위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접경지역 남북한 경제협력 관련 이슈를 분석하여 지역적 특성을 도출하고,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북한 건설기능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사회-산업-생활 인프라의 3가지 유닛으로 구분하였다. 사회인프라 유닛은 접경지역 전체의 공통 수요로 도로, 철도, 항만 등의 건설과 함께 점검 및 유지보수가 포함된다. 산업인프라 유닛은 접경지 서쪽의 경제특구(혹은 추가로 지정되는 경제특구)를 중심으로 산업설비 수요 대비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생활인프라 유닛은 경제 특구 등의 배후 주거단지와 접경지 내륙, 동쪽 관광 벨트 구측을 위한 대형복합시설, 주거시설, 라이프라인 등 기반 시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다.

도심지 터널 근접시공에 의한 기존 지하철 구조물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existing subway structure by adjacent excavation in urban tunnelling)

  • 한상민;이동혁;박두희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39-357
    • /
    • 2021
  • 도심지에서의 교통인프라 개발이 활발해 지고, 대심도 지하터널을 이용한 도시의 기반시설 확충으로 인하여 기존 운영되거나 설치된 시설물 또는 구조물 상호 간의 근접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근접시공으로 인한 시설물 또는 구조물에 미치는 안정성 확보여부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관련법에 의하여 지하터널공사에 따른 지하안전영향 평가를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접시공으로 인한 정거장구조물 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동북선도시철도 터널이 계획된 노선 상부의 지하철 6호선 고려대역 정거장 구조물을 대상으로 신설터널에 의한 기존 구조물에 미치는 안전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거장구조물의 안전영역 평가 및 굴착방법에 대한 검토와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상세검토를 수행하였다. 구조물 손상도 평가, 궤도 틀림 및 기존 구조물과 건물 안정성 평가 결과 근접터널공사에 따른 기존 정거장 구조물의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도심지 터널공사에서 근접시 공시 기존의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검토하는 경우 기본적인 기초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